“제2의 헬리움 될까?” … TGE 앞둔 피기셀(Piggycell), 실물 인프라 기반 Web3 하반기 최대 기대주 부상

| 토큰포스트

1.4만 충전기·9백만 온체인 기록 기반…한국판 DePIN, 글로벌 무대 데뷔 임박

전 세계 Web3 투자자들의 시선이 ‘충전돼지’로 쏠리고 있다.

한국 토종 DePIN(탈중앙 물리 인프라 네트워크) 프로젝트 Piggycell(피기셀)이 오는 9월 예정된 토큰 생성 이벤트(TGE)를 앞두고, 하반기 블록체인 시장 최대 기대주로 급부상했다. 이미 14,000개 이상 실물 충전기와 100,000개 이상의 배터리를 보유하고, 국내 시장 점유율 95% 이상을 달성한 상태. 이번 TGE는 단순한 상장을 넘어 Piggycell이 전 세계 투자자 앞에서 실체를 증명하는 데뷔 무대가 될 전망이다.

Helium·Aethir 이어지는 DePIN 흥행 계보…Piggycell은 “더 생활 밀착형”

DePIN 분야는 이미 Helium(헬리움)과 Aethir(에이서)의 성공으로 그 가능성을 입증했다. Helium은 전 세계 무선망을 분산화하며 한때 시가총액 50억 달러를 넘겼고, Aethir는 GPU 인프라 공유로 상장 당일 수십억 달러 규모의 거래량을 기록하며 존재감을 과시했다.

Piggycell은 이 계보의 다음 주자다. Helium이 무선망, Aethir가 클라우드 컴퓨팅을 다뤘다면, Piggycell은 일상 속 필수 인프라인 ‘모바일 에너지’를 무대로 삼았다. 스마트폰 충전, 배터리 공유, 마이크로 모빌리티 등 실생활에 밀착된 인프라를 블록체인으로 전환하며 DePIN의 대중성과 실용성을 모두 갖춘 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수백만 유저 기반…DePIN 중 가장 ‘실체 있는’ TGE

Piggycell의 강점은 단연, 실물 기반의 압도적인 데이터다. 현재 국내에서만 400만 명 이상의 유료 사용자와 14,000여 개 충전 스테이션을 운영 중이다. 오픈 베타 테스트에서는 단 2주 만에 9,423,761건의 온체인 기록이 생성됐다. 단순한 추정치나 백서가 아닌, 실사용과 실시간 트랜잭션이 입증된 유일한 DePIN TGE 프로젝트라는 점에서 투자자들의 기대가 집중되고 있다.

Web3 업계 관계자는 “대부분 TGE 프로젝트는 비전이나 기술만 강조하지만, Piggycell은 이미 시장에서 검증된 실사용 모델”이라며 “TGE 직후 곧바로 실생활에서 작동하는 토큰 경제를 구현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차별점”이라고 설명했다.

대기업도 선택한 Piggycell…Web2의 신뢰도 함께 담는다

Piggycell은 이미 국내 대기업들의 신뢰도 확보했다. 하이트진로는 전략적 투자자로 참여했고, KT는 공중전화 부스를 Piggycell 스테이션으로 전환하며 공공영역까지 협력을 확대했다. 단순한 스타트업 제휴가 아닌, Web2 대기업이 선택한 Web3 인프라라는 점에서 시장의 신뢰도를 크게 끌어올렸다.

이러한 대기업 파트너십은 곧 유저 온보딩의 가속화로 이어진다. Piggycell은 지갑 생성이나 복잡한 절차 없이 충전만으로 보상을 받을 수 있는 ‘Charge-to-Earn’ 모델을 통해 Web3 진입 장벽을 낮췄고, NFT로 충전기를 소유해 수익을 배분받는 ‘Dominate-to-Earn’ 구조를 통해 일반 사용자도 손쉽게 인프라 소유에 참여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글로벌 상장 임박, 시가총액 기대감 ‘상승세’

Piggycell은 현재 글로벌 1~2위 거래소들과 상장 일정을 조율 중이다. TGE 직후 단숨에 글로벌 커뮤니티와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다. Helium과 Aethir 사례처럼, 상장 당일 대규모 거래량이 발생할 경우 시가총액 수십억 달러 달성도 현실적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해외 블록체인 VC 관계자는 “Piggycell은 단순히 ‘한국산’이라는 타이틀이 아닌, 세계적으로도 유례없는 ‘대중형 DePIN 모델’”이라며 “단순한 토큰 발행이 아닌, 수백만 실사용자가 있는 실물 기반 TGE라는 점에서 글로벌 유저와 투자자에게 매우 매력적인 프로젝트”라고 평가했다.

“실체 있는 Web3, 이제는 Piggycell”

TGE는 종종 허울뿐인 프로젝트의 포장 행사로 치부되곤 한다. 그러나 Piggycell은 다르다. 이미 한국에서 시장을 증명했고, 글로벌 VC의 투자와 대기업의 신뢰를 얻었으며, 수백만 유저의 데이터를 온체인에 쌓아왔다.
9월, 세계 시장은 Helium 이후의 DePIN 성공 스토리를 목격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그 주인공이 Piggycell일 가능성은, 점점 높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