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올해 첫 '완전 담보형 엔화 스테이블코인' 출격 예고…모넥스·JPYC 가세

| 서지우 기자

일본이 세계 최초로 스테이블코인 규제체계를 수립한 국가라는 점은 잘 알려져 있다. 하지만 그동안 블록체인 기반 엔화 연동 스테이블코인 개발에는 소극적인 태도를 보여왔다. 일본 정부와 민간 기업들이 수년간 관련 인프라를 조용히 구축해온 가운데, 올해 하반기 처음으로 완전 담보형 엔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출시에 나설 계획이다.

웹3 인프라 기업 스타테일그룹(Startale Group) 일본 지사장 데즈카 타카시는 최근 외신과의 인터뷰에서 “일본이 스테이블코인 규제를 먼저 정비했음에도, 실제 기술 적용이나 산업화 측면에선 미국보다 뒤처진 것은 양국 간의 철학적 차이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미국의 최신 스테이블코인 규제안인 GENIUS법이 일본의 2년 전 입법과 유사하게 포괄적 법률 체계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시장이 안도하는 분위기였다"고 덧붙였다.

이러한 변화의 중심에는 일본 도쿄에 본사를 둔 금융그룹 모넥스그룹이 있다. 모넥스그룹은 현재 엔화 연동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검토 중이며, 이는 엔화 기반의 국제 송금과 기업 간 결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해법이 될 수 있다는 기대를 받고 있다.

회사 회장 마츠모토 오키는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스테이블코인 발행은 상당한 인프라와 자본이 필요한 일이지만, 우리가 이를 외면한다면 시장 흐름에서 뒤처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직 발행을 명확히 확정하진 않았지만, 마츠모토는 “이 시장 기회에 대해 적절히 대응하겠다”고 밝히며 가능성을 열어뒀다.

한편 모넥스 외에도 일본 현지 핀테크 기업 JPYC 역시 올 가을 중 일본 최초의 엔화 스테이블코인 출시를 준비 중이다. JPYC의 스테이블코인은 은행 예치금과 국채로 1:1 담보되는 구조로 알려졌다. 이는 일본의 규제 안에서 요구하는 '완전 담보' 기준을 충족하는 모델로,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처럼 일본은 규제 설계에서 앞섰지만 실제 발행 및 유통에 있어서는 신중한 접근을 이어왔다. 그러나 최근 들어 민간의 참여와 정부의 정책 기조 변화가 맞물리며 스테이블코인 생태계 활성화에 다시 불이 붙을 조짐이다. 미국 및 기타 주요국들과의 격차를 해소하고, 실사용 기반의 블록체인 결제 솔루션을 구축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