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라루스가 강도 높은 서방의 제재 속에서 암호화폐 확대 활용이라는 돌파구를 모색하고 있다. 알렉산드르 루카셴코(Alexander Lukashenko) 벨라루스 대통령은 최근 중앙은행 및 민간은행 수장들과의 회의에서 디지털 토큰 사용을 확대하라고 직접 지시했다. 그는 "최근 5년 사이 국가 경제와 금융 부문이 유례없는 도전에 직면했다"며 "정부와 벨라루스 중앙은행에 구체적인 지침을 내렸다. 이제 행동할 때다"라고 강조했다.
이 같은 입장은 불과 며칠 전 루카셴코 대통령이 의회에 암호화폐 규제를 위한 투명한 법적 틀 마련을 요청한 데 이은 추가 조치다. 당시 그는 거시경제 둔화의 주요 요인 중 하나로 미국과 유럽연합의 제재를 꼽으며, 수출 감소가 경제 전반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지지한 데 따른 제재 이후, 비(非)CIS 국가로의 수출이 급격히 줄어들면서 타격이 컸다.
벨라루스는 지난 수년간 암호화폐와 디지털자산에 대해 상당히 진보적인 접근을 보여왔으며, 이번 발언은 그 흐름을 제도적 수준에서 더욱 강화하려는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국제사회 시각은 엇갈린다. 일부 서방 국가는 벨라루스가 암호화폐를 통해 제재 회피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이번 조치를 계기로 블록체인과 디지털자산 인프라 확대가 본격화될 가능성이 점쳐지며, 벨라루스는 경제 회복의 대안으로 가상자산 활성화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암호화폐 산업이 독립적 금융수단으로 자리 잡는 과정에서, 루카셴코의 이번 지시는 그 전환점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