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산업은 2025년 들어 실사용 기반 성장이 본격화되며 단순한 기대감과 투기를 넘어서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비용 효율성과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를 앞세운 네트워크들이 디파이(DeFi)·대체불가능토큰(NFT) 생태계를 확장시키며 수천만 명의 신규 사용자 확보에 나선 것이다.
기술적 혁신과 연동된 이 성장세의 핵심 지표는 다름 아닌 '활성 사용자 수'다. 이 수치는 실제 거래를 수행하는 고유 지갑 주소 수로 측정되며, 프로젝트의 트래픽과 실질 사용률을 입증해준다. 특히 비트코인(BTC) ETF를 통한 기관 자금 유입, 메이저 플랫폼과의 파트너십, 스테이블코인 채택 증가 등이 사용자를 블록체인 생태계로 끌어들이는 촉매 역할을 하고 있다는 평가다.
2025년 기준, 성장세가 가장 두드러진 10대 블록체인 프로젝트에는 솔라나(SOL), 폴리곤(MATIC), 아비트럼(ARB), 옵티미즘(OP) 등 기존 강자 외에도 새롭게 떠오른 프로토콜이 다수 포함됐다. 각 프로젝트는 레이어1(L1) 또는 레이어2(L2) 구조를 채택, 확장성과 비용 절감을 놓고 치열한 경쟁을 벌인다. 레이어1은 자체 합의 메커니즘 기반 네트워크, 레이어2는 해당 레이어1 기반의 확장 솔루션을 뜻한다. 예를 들어 이더리움(ETH)은 L1 블록체인이고, 폴리곤은 이더리움 기반의 L2 솔루션이다.
다만, 이처럼 급증하는 사용자 수에도 불구하고 과장된 메트릭 발표, 확장성 대비 속도·보안의 트레이드오프, 규제 압력, L1-L2 간 기술 충돌 등 걸림돌 역시 존재한다. 활동 주소 수 외에도 완전 희석 가치(FDV) 역시 중요한 분석 요소다. 이는 발행 가능한 모든 토큰이 유통된다고 가정했을 때의 이론적 시가총액으로, 과대평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척도다.
현재 가장 빠르게 성장 중인 프로젝트 중엔 솔라나(SOL)가 단연 눈에 띈다. 솔라나는 독자적인 PoH(Proof-of-History) 합의 방식으로 초당 수천 트랜잭션을 처리할 수 있는 L1 블록체인이다. 올 6월 기준 월간 활성 사용자 수는 5,700만 개를 기록했으며, 토큰 30일 거래량은 2842억 달러(약 395조 700억 원)에 달한다. FDV는 1억 720만 달러(약 1,488억 원)로 집계된다. 디파이와 NFT에 중심을 둔 생태계 확장과, 최근 밈코인 기반 고빈도 거래, 파이어댄서(Firedancer) 클라이언트를 통한 네트워크 안정성 강화, 기관 채택 등이 주요 성장 동력으로 꼽힌다. 다만 과거 잦았던 네트워크 장애와 중앙화 논란, L2 기술과의 경쟁은 여전히 리스크로 남아 있다.
블록체인이 단순히 유망 기술이라는 수식어를 넘어 실제 사용자에게 선택되는 인프라로 자리잡기까지, 2025년은 분기점이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제는 투자자뿐만 아니라 개발자와 기업도 ‘실제 사용하는 사람이 있는가?’라는 질문에 주목하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