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라나(SOL), 리테일 위한 실물자산 수익형 S-토큰 출시…RWA 대중화 박차

| 서도윤 기자

세계 최대 블록체인 중 하나인 솔라나(SOL)에서 기관급 수익률을 리테일 투자자에게 제공하는 실물자산(RWA) 기반 토큰 상품이 출시됐다. 새 상품은 RWA 프로토콜 업체 스플라이스(Splyce)와 친타이(Chintai)가 선보인 ‘S-토큰(S-Token)’ 기반 구조로, 솔라나 생태계 내 실물자산 토큰화 활용도를 한층 끌어올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번에 소개된 S-토큰은 사용자가 직접 실물자산을 보유하지 않고도 해당 자산에서 발생하는 수익률을 누릴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들 토큰은 실제 자산이 담보로 뒷받침되는 대출 구조를 통해 간접적으로 수익을 반영한다. 일반 투자자들이 그동안 접근하기 어려웠던 기관 전용 RWA 상품의 벽을 낮춰주는 구조다.

친타이는 S-토큰을 통해 실물자산 수익을 보다 폭넓게 확장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RWA 상품은 자본 요건과 규제 문제로 인해 기관 투자자에 국한돼 있었다. 친타이 측은 이러한 폐쇄적 구조가 리테일 참여를 가로막는 핵심 장벽이라고 지적했다. 반면 S-토큰 모델은 규제를 준수하면서도 일반 사용자에게도 동일한 수준의 수익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해법이란 설명이다.

스플라이스를 통해 리테일 사용자는 기존 웹3 지갑을 그대로 활용해 이 상품에 접근할 수 있다. 탈중앙화 금융(DeFi)이 강조하는 퍼미션리스 환경을 유지하면서도 규제 요건에 발맞춘 것이 특징이다. 회사 측은 “S-토큰은 스테이블코인 USDC, USDT만큼이나 개방적인 구조"라며 “다만 자금세탁방지(KYC/AML) 요건에 따라 거래는 실명 확인 절차를 거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첫 번째 S-토큰 프로젝트는 친타이 네트워크에서 킨 캐피털이 출시한 토큰화 부동산 펀드 ‘킨 펀드(Kin Fund)’와 연동될 예정이다. S-토큰이 실물자산과 블록체인 기술 간 간극을 효과적으로 메우며 솔라나 기반 RWA 시장의 확산에 기폭제가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