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스테이블코인 규제, 디파이 파생상품 위축 우려…'사실상 거래 불가'

| 서지우 기자

홍콩의 신규 스테이블코인 규제가 온체인 파생상품 거래에 제약을 준다는 지적이 나왔다. 세바스찬 파라데스(DBS 홍콩 CEO)는 최근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AML(자금세탁방지) 및 KYC(고객신원확인) 요건을 강조하며, 이로 인해 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한 디파이 기반 파생상품 거래가 심각한 제한을 받을 것이라고 밝혔다.

파라데스 CEO는 “현재 국내 규제 체계하에서는 블록체인 상에서 스테이블코인을 기초 자산으로 활용한 파생상품 거래가 사실상 어렵다”며, “DBS는 관련 법적 흐름을 예의주시하면서, 규제에 부합하는 방식의 스테이블코인 인프라 확장에 주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홍콩 당국이 지난 8월 1일부터 스테이블코인 법제를 전면 시행한 데 따른 반응이다.

해당 법안은 미인가된 스테이블코인 유통, 프로모션 행위를 형사 처벌 대상으로 명시했으며, 정부가 허가한 발행사에 대한 공식 등록 목록을 함께 공개해 스테이블코인 산업을 보다 엄격히 관리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

스테이블코인 업계 비판도 이어지고 있다. 법안이 처음 발표됐을 당시 홍콩에서 활동 중이던 복수의 스테이블코인 기업들은 예상보다 강도 높은 규제에 따른 영업 손실을 입었고, 일부 회사는 두 자릿수 매출 감소를 기록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번 규제의 핵심은 금융 안정성과 자금세탁 방지에 있으며, 홍콩 정부가 글로벌 디지털자산 허브로 자리잡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려는 차원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업계는 과도한 규제가 디파이 생태계의 자율성과 확산 속도를 저해할 수 있다는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