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자흐스탄, 바이낸스 손잡고 국영 암호화폐 펀드 출범…BNB 초기 편입

| 서지우 기자

카자흐스탄 정부가 세계적인 가상자산 거래소 바이낸스와 손잡고 국가 지원 암호화폐 투자펀드를 출범했다. 국영 '알렘 크립토 펀드(Alem Crypto Fund)'는 BNB(BNB)를 초기에 편입하며 국가 차원의 디지털 자산 전략을 본격화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 펀드는 카자흐스탄 인공지능디지털개발부가 설립하고, 아스타나 국제금융센터(AIFC) 산하 카자흐스탄벤처그룹이 직접 운용한다. 펀드의 출자 규모나 향후 포함될 암호화폐 목록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초기 자산으로 BNB를 선택한 것은 바이낸스와의 긴밀한 협력 관계를 반영한다.

카자흐스탄 정부는 성명을 통해 "펀드의 주된 목표는 디지털 자산에 대한 장기 투자와 전략적 준비금 구축"이라고 밝혔다. 특히 이번 조치는 지난주 카자흐스탄이 솔라나(SOL) 블록체인 기반의 자체 스테이블코인 KZTE를 출시한 데 이은 것으로, 동국의 디지털 전환 가속 의지를 보여준다.

바이낸스와 카자흐스탄 정부의 파트너십은 2022년 장펑 자오(Changpeng Zhao, 일명 CZ) 당시 CEO가 디지털 개발부와 가상자산 규제 프레임워크 개발을 위한 협약을 체결하며 본격화된 바 있다. 이번 펀드 조성은 실행력 있는 전략적 협력의 한 축으로 풀이된다.

한편 유럽에서는 폴란드가 암호화폐 산업에 대한 고강도 규제 초석을 마련하며 업계의 반발을 사고 있다. 폴란드 하원이 지난 금요일 통과시킨 '가상자산시장법(Crypto-Asset Market Act)'은 암호화폐 서비스 제공업체(CASP)에 대한 면허 의무화와 함께 감독 기관 지정을 골자로 하고 있다.

법안은 폴란드금융감독원(KNF)을 책임 기관으로 삼고, 거래소, 발행사, 커스터디 제공자 등 국내외 모든 관련 기업들이 KNF의 인가를 받아야만 활동할 수 있도록 했다. 라이선스 취득을 위해서는 자본 적정성, 내부 통제, AML(자금세탁방지) 정책 등 다양한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논란이 되는 대목은 특정 위반 행위에 대해 최대 1,390만 즈워티(약 38억 9,200만 원)의 벌금과 최고 2년 징역형까지 부과될 수 있다는 부분이다. 이는 EU의 미카(MiCA, Markets in Crypto-Assets Regulation) 규제를 따르는 동시에 강력한 법 집행 수단을 마련하려는 목적이다.

그러나 과도한 규제 강도에 이미 커뮤니티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유럽 연합 규율과 조율은 불가피하더라도, 초기 산업 진입 장벽이 너무 높아질 수 있다"며 우려를 표했다. 법안은 현재 상원 심의 단계에 있으며, 향후 시행 시점과 적용 범위에 대한 추가 논의가 이어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