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니모카브랜즈, 비트겟 UEX 모델 조명

| 토큰포스트

세계 최대 규모의 통합형 거래소(UEX)인 비트겟은 29일 애니모카브랜즈의 신보고서 ‘Exchanges’ Next Phase: Reaching the Mainstream’ 에서 자사의 개념이 차세대 중앙화 플랫폼의 사례로 소개됐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거래소가 단순 암호화폐 매매 기능을 넘어 토큰화 자산과 실물 금융을 포괄하는 ‘온체인 경제의 주 관문’으로 진화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보고서는 중앙화 거래소가 OTC 단계를 넘어 다층적 금융 플랫폼으로 발전해 왔으며, 향후 대중 확산의 관건은 단순 거래를 넘어 결제·디파이(DeFi)·토큰화 자산 접속을 통합 제공할 수 있는지 여부라고 지적했다. 이 맥락에서 비트겟의 UEX 구상은 리테일과 기관 시장 모두에 새로운 참여 방식을 제시할 잠재력이 있다고 평가했다.

비트겟은 이미 제품 혁신을 통해 UEX 전략을 구체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AI 기반 트레이딩 어시스턴트 ‘GetAgent’, 조기 온체인 토큰 접근을 위한 Onchain 통합, 주식 선물 등 토큰화·현물 연계 상품은 보고서가 제시한 하이브리드 모델 수요와 부합한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거래·투자·실물 활용을 하나의 플랫폼에서 연결하는 거래소가 차기 단계의 승자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결론냈다.

그레이시 첸 비트겟 CEO는 “거래소는 더 이상 ‘거래 전용’일 수 없다. 중앙화와 탈중앙 세계 사이를 단순하고 강력하게 연결하는 다리가 되어야 한다”며 “UEX 모델은 그 미래를 가리키며, 이번 보고서는 우리가 그 길이 옳다고 확신하는 이유를 뒷받침한다”고 말했다.

밍 루안 애니모카브랜즈 리서치·데이터 총괄은 “보고서는 비트겟과 같은 거래소가 유동성 허브에서 문화·금융 관문으로 진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며 “게임·결제·디지털 정체성·토큰화 자산이 결합된 접근 가능하면서도 확장 가능한 온체인 세계로의 이동”이라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선도 거래소의 조건으로 기관 신뢰 제고와 리테일 친화적 사용자 경험 강화를 동시에 꼽았다. 비트겟의 UEX 전환은 파트너십과 제품 혁신을 차세대 수준으로 끌어올린 사례로, ‘범용 관문(Universal Gateway)’의 운영 표준을 제시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비트겟은 “UEX는 단일 플랫폼에서 디지털 자산·토큰화 자산·AI 도구를 아우르며, 온체인 경제로의 진입 장벽을 낮추는 전략”이라며 “리테일과 기관의 요구를 함께 충족하는 통합형 거래 인프라 구축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