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로비의 화요일 아침, 아미나는 유럽 고객에게 송장을 발송하고 낮에는 미국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 USD코인(USDC)을 지갑에 받는다. 얼마 지나지 않아 이를 모바일 머니 플랫폼 엠페사(M-Pesa)로 현금화한다. 한때 실험으로 여겨졌던 이 같은 거래 방식은 이제 케냐 현지에서는 일상적인 금융 행위로 자리 잡았다. 이러한 변화의 중심에는 스테이블코인과 모바일 송금 간의 연결고리를 제공하는 코타니페이(Kotani Pay) 같은 서비스가 있다.
대서양 반대편의 나이지리아 라고스에서는 소상공인 치네두가 테더(USDT)로 운영 자금을 보관하며 환율 급변 속에서도 안정적으로 상품을 수입하고 있다. 예외적인 사례가 아니다. 2023년 7월부터 2024년 6월까지 나이지리아에서만 스테이블코인을 이용한 거래량이 약 305억 8,000만 달러(약 42조 1,000억 원)에 달했다. 이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국가 중 가장 큰 규모다.
이 같은 확산은 순전히 기술이 아닌 경제적 필요에서 비롯됐다. 전통적 해외 송금은 2024년 3분기 기준 평균 8.45%의 비용이 들지만, 디지털 기반 서비스는 이 수수료를 4% 수준까지 낮췄다. 여기에 스테이블코인을 거쳐 현지 통화로 출금할 수 있는 수단까지 더해지며 200~1,000달러 구간(약 28만~139만 원) 송금에 있어 절대적인 비용 절감 효과를 가져오고 있다.
시장의 상황에 따라 수수료와 접근성은 달라지지만 핵심은 같다. 인플레이션, 환율 제어, 고비용 송금이라는 삼중고 속에서도 아프리카 수백만 명의 가계와 자영업자들은 스테이블코인을 통해 실질 가치를 유지하고 빠르게 자금을 이동시키고 있다. 스마트폰 하나로 안정적인 ‘디지털 달러’를 사용하는 지금의 흐름은 단순한 유행이 아니라, 현지 재정 생태계의 일부로 깊게 뿌리내리고 있는 중이다. 다만 준비금 투명성과 보안, 규제 변화에 따른 위험은 여전히 해결 과제로 남는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