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ETH) 기반 상장지수펀드(ETF)가 출범 초기 순조로운 유입세를 보이며 시장 진입의 물꼬를 텄지만, 이후 흐름은 뚜렷한 사이클을 드러내는 등 제한적 성과에 머무르고 있다. 이와 달리 솔라나(SOL)는 다양한 기반시설을 갖추며 ETF 시장 진입을 위한 발판을 다지는 동시에, 현물 ETF 상장을 위한 규제 환경의 완화까지 업고 본격적인 반격을 준비하고 있다.
2024년 7월 23일 미국에서 출시된 현물 이더리움 ETF는 첫날에만 약 1억 700만 달러(약 1,487억 원)의 순유입을 기록하며 높은 관심을 끌었고, 이를 통해 투자 자문사(RIA) 및 기관투자가의 접근성이 대폭 개선됐다. 하지만 이후 수개월 동안 이더리움 ETF는 유입과 이탈을 반복하며 순환 흐름을 나타냈다. 특히 2025년 8월 말부터 9월 중순까지는 연속 유입으로 총 운용자산(AUM)을 끌어올렸지만, 이러한 흐름이 장기 상승으로 이어졌다고 단정하긴 어렵다.
이에 비해 솔라나는 시장 인프라 측면에서 괄목할만한 진전을 이뤘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는 2025년 3월 17일부터 SOL 선물 상품을 거래소에 상장했으며, 옵션 상품도 10월 13일 상장을 목표로 승인 절차를 밟고 있다. 이는 기존 비트코인(BTC), 이더리움 중심의 파생상품 시장에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며, 전통 금융과 연결된 유동성 확보 가능성을 높이는 조치다.
변화는 제도 차원에서도 감지된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2025년 9월,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을 제외한 주요 디지털 자산의 상장 절차를 간소화하는 일반화된 상장 기준(Generic listing standards)을 승인했다. 이로써 특정 자산에 대해 개별적으로 승인 절차를 거치지 않고도 현물 기반 ETF를 선보일 수 있는 길이 열렸다. SOL ETF가 미국 내에서 본격 추진될 수 있는 제도적 틀이 마련된 셈이다.
한편, 미국 외 지역에서는 이미 솔라나 기반 ETF 상품이 유통되고 있다. 유럽의 21셰어스(21Shares), 캐나다의 3iQ 등은 규제된 환경하에서 SOL을 포함하는 투자 포트폴리오를 제공 중이다. 이러한 글로벌 흐름은 솔라나가 이더리움을 넘어서는 데 필요한 기반 생태계와 기관 접근성을 빠르게 보완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궁극적으로 SOL이 ETH를 가격과 펀더멘털 측면에서 뛰어넘기 위해서는 ETF 승인만으로는 부족하다. 지속적인 자금 생성(flow), 효율적인 헤징, 실제 온체인 거래 활성화, 그리고 개발자 커뮤니티의 확장이 동시에 이뤄져야 한다. 다만 현재까지의 흐름만 놓고 보면, 솔라나는 해당 조건 중 상당 부분을 충족시킬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고 평가받는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