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스닥에 상장된 자산관리 기업 프레스티지 웰스가 사명을 '오렐리온 트레저리'로 변경하고, 나스닥 최초의 테더골드(XAUT) 기반 기업 재무 플랫폼을 출범한다. 월가의 주요 기업들이 디지털 자산 도입에 나서는 가운데, 이번 행보는 귀금속과 디지털 자산을 결합한 새로운 형태의 재무 솔루션을 지향하는 프로젝트로 주목된다.
회사에 따르면 이번 재무 플랫폼 구축을 위해 총 1억 5,000만 달러(약 2,085억 원)의 자금이 조달됐다. 우선, 앤타알파 플랫폼 홀딩 컴퍼니와 테더 운영사 TG 커머디티즈 S.A. de C.V.를 포함한 기관 투자자들로부터 약 1억 달러(약 1,390억 원) 규모의 PIPE(Private Investment in Public Equity) 투자를 유치했다. 아울러 앤타알파 매니지먼트로부터는 3년 만기의 선순위 부채로 5,000만 달러(약 695억 원)를 추가 확보했다.
오렐리온 트레저리는 확보한 자금의 대부분을 테더골드(XAUT) 매입에 사용할 예정이다. 이는 해당 회사의 주요 준비자산이자, 디지털 금에 해당하는 용도로 활용된다. 테더골드(XAUT)는 실물 금에 연동된 안정적인 시가를 유지하는 스테이블코인으로, 기존의 법정화폐 기반 스테이블코인과 차별화된 성격을 지닌다.
회사 대표 비요른 슈미트케(Björn Schmidtke)는 “비트코인(BTC)의 장기 성장성에 대해서는 여전히 긍정적이지만, 우리는 인플레이션에 대응할 수 있고 전기요금 등 일상적인 지출에도 활용 가능한 ‘안정적인 스테이블코인’이 필요하다”며 “XAUT는 진정한 디지털 골드”라고 강조했다.
이번 오렐리온의 테더골드 기반 전략은 스테이블코인의 쓰임새가 점점 다양화되는 가운데, 기업 재무에서도 그 효용을 입증할 수 있는 사례로 평가된다. 월가에서도 테더골드 같은 실물 기반 디지털 자산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는 상황에서, 오렐리온 모델이 이후 다른 기업들의 벤치마크가 될 가능성도 높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