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라나(SOL) 공동 창립자인 아나톨리 야코벤코(Anatoly Yakovenko)가 이더리움(ETH) 레이어2(L2) 네트워크의 탈중앙성과 보안성에 대해 강한 의구심을 표명했다. 그는 26일 진행된 온라인 토론에서 이들 확장 솔루션이 가진 기술적 한계를 조목조목 지적하며 파장을 일으켰다.
야코벤코는 “L2가 이더리움의 보안을 그대로 계승한다는 주장은 잘못됐다”고 단언했다. 그는 레이어2 확장 솔루션이 지나치게 복잡한 코드 구조를 지니고 있어 전수 감사가 어려우며, 이로 인해 소프트웨어 결함 위험이 상당하다고 경고했다. 아울러 사용자 자금이 다중서명 방식으로 관리되는 구조상, 소유자의 동의 없이 자금이 이전될 수 있는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그는 “L2 로드맵이 시작된 지 벌써 5년이 지났지만, 솔라나 상에서의 웜홀 ETH와 코인베이스 기반 ETH 간의 최악의 시나리오 리스크는 사실상 동일하다”라며, “기본적으로 이더리움 L1 지분자에게 제공되는 수익 구조도 유사해진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이 문제는 어떤 방식으로 접근하더라도 오류”라고 덧붙였다.
이번 발언은 이더리움 생태계 확대의 핵심 전략으로 자리 잡은 레이어2 기술에 대한 중요한 반론으로 해석된다. 최근 아비트럼(ARB), 옵티미즘(OP), 폴리곤(MATIC) 등 주요 L2 네트워크가 시장 점유율을 넓히고 있지만, 그 이면에 존재하는 보안 구조와 탈중앙화 수준에 대한 논란은 여전히 진행형이다.
야코벤코의 주장은 솔라나가 자체 체인의 보안성과 직접 처리 방식을 전략적으로 강조해온 입장과 맞닿아 있다. 솔라나 생태계에서는 별도의 L2 없이 확장성과 처리 속도를 확보해왔다는 점에서, 이번 발언은 L1 중심주의 관점에서 L2 중심 확장 전략에 가한 직접적인 도전으로도 풀이된다.
이더리움 진영에서는 아직 별다른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았지만, 해당 논쟁은 L2 기술의 보안성과 신뢰성에 대한 산업 전반의 재평가를 촉발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