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최대 거래소 코인베이스(Base) 생태계를 기반으로 한 원화 연동 스테이블코인 'KRWQ'가 출시됐다. 이는 암호화 프로젝트 프랙스(Frax)와 AI 에이전트 플랫폼 아이큐(IQ)의 협업으로 탄생했으며,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중 최초로 멀티체인을 지원한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두 회사는 코인데스크에 밝힌 공식 성명에서, KRWQ를 프랙스의 지원 아래 완전 담보 방식으로 발행한다고 밝혔다. 이는 코인베이스가 후원하는 블록체인 플랫폼 베이스(Base) 상에서 처음으로 등장한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으로, 미국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인 USDC와 거래쌍을 이루며 암호화폐 거래소 에어로드롬(Aerodrome)에서 거래를 시작했다.
KRWQ는 단일 블록체인에 국한되지 않고 레이어제로(LayerZero) 및 스타게이트파이낸스(Stargate Finance) 등 크로스체인 프로토콜을 통해 다양한 네트워크 간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계됐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서로 다른 블록체인 간 자산 이동에 따른 불편함 없이 원화 기반 거래를 보다 유연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국 정부와 금융 당국도 최근 스테이블코인 관련 규제 프레임워크 마련에 속도를 내고 있다. 한국은행은 민간 은행들이 주도적으로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도록 유도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국내 시장에서도 원화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관심이 크게 높아지고 있다. 다만, 이에 대한 우려도 제기된다. 카이아 디엘티재단(Kaia DLT Foundation) 의장 서상민 박사는 최근 인터뷰에서 "중앙은행이 발행자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먼저 제시해야 금융 리스크를 줄이고 건전한 혁신을 유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IQ 공동 창업자 나빈 베타나야감(Navin Vethanayagam)은 KRWQ에 대해 "미국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이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지금, 신뢰할 수 있는 원화 스테이블코인은 그간 제대로 출시된 적이 없었다"며 "KRWQ는 이 시장의 핵심 공백을 메울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출시로 인해 글로벌 암호화폐 시장에서 원화의 존재감이 한층 확대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다만 정부 규제와 소비자 신뢰 확보 등 넘어야 할 과제도 많다는 점에서, 향후 한국과 글로벌 시장 모두에서 KRWQ의 행보가 주목된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