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402는 인터넷에서 ‘페이 퍼 유즈(pay-per-use)’ 모델을 실현하는 새로운 결제 프로토콜로 주목받고 있다. 기존처럼 계정이나 비밀번호, 월 정액제를 요구하지 않고 사용자 요청 하나마다 소액 결제를 받는 구조다. 미국에서는 코인베이스와 클라우드플레어 주도로 개발이 본격화되면서 실질적인 인프라가 갖춰지고 있다.
웹에서 유료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나 파일을 요청하면 서버는 ‘402 Payment Required’라는 HTTP 상태 코드를 반환한다. 이때 서버는 가격과 지불할 주소를 함께 제공하며, 일반적으로 몇 센트 수준의 소액이다. 사용자는 지갑에서 해당 금액을 USDC(USD 코인)로 온체인 전송한 뒤 요청을 다시 보내면, 서버가 즉시 응답을 되돌려주는 방식이다. 모든 과정은 지갑만 있으면 가능하며, 아이디 생성이나 인증 절차는 필요 없다.
x402 개념 자체는 오래됐지만, 실질적인 표준 프로토콜로 정립된 것은 2025년 코인베이스가 관련 문서와 코드를 공식 발표하면서부터다. 이후 클라우드플레어와 함께 ‘x402 재단’을 출범하며 이를 개발자 도구와 연동 가능한 범용 기술로 자리 잡게 했다.
초기에는 PING이라는 토큰이 주목받으면서 알려졌지만, x402의 핵심은 특정 코인이 아니라 그 프로토콜 자체의 응용 가능성이다. AI 에이전트가 자동으로 결제하고 데이터를 요청하는 구조가 가능해지면서, 현재는 실제 사용 사례와 도입 속도를 중심으로 한 ‘2차 전파’가 이뤄지는 중이다.
코멘트: ‘402 상태 코드’는 오랫동안 HTTP 명세에 존재했지만 사실상 사용되지 않았던 기능이다. 그러나 PING을 통한 실험과 인프라 기업들의 후속 작업이 맞물리면서, 이제는 가시적인 기술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블록체인과 실시간 결제 기술이 만났을 때 대체 가능한 전통 인프라 중 하나가 API 결제라는 점에서, x402는 기술적 실험을 넘어 실용적 가치를 증명 중이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