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태평양 지역 내 블록체인 기술의 잠재력과 실제 활용 간 격차가 여전히 크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고성능 레이어-0 및 레이어-1 블록체인 프로젝트 베넘 재단(Venom Foundation)이 자사 디스코드 커뮤니티를 대상으로 최근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이용자들은 ▲높은 수수료(6~7%) ▲지연되는 거래 처리 시간(2~5일) ▲규제 불확실성을 블록체인 도입의 주된 장애 요인으로 꼽았다.
보고서는 '아시아 암호화폐 대중화의 장벽'이라는 이름으로 발간됐으며, 금융시스템의 비효율성, 일반 사용자들의 채택 장애, 업계가 감당해야 할 변화 등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특히 아시아 전역에서 매년 7,000억 달러(약 994조 원)에 달하는 해외 송금이 이뤄지는 가운데, 이로 인해 발생하는 연간 수수료만 420~490억 달러(약 60조~70조 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번 조사에서는 응답자의 68%가 블록체인이 국제 송금에서의 *고비용 및 지연 문제*를 해결할 가장 유력한 수단이라고 평가했다. 규제와 관련해서는 47%가 통일된 규제 체계의 부재를 대중화의 핵심 장애물로 지목했다. 이는 중국의 전면 금지에서부터 싱가포르의 진보적인 라이센스 정책에 이르기까지 국가별로 상이한 규제 환경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사용 복잡성도 주요 과제로 지적됐다. 전체 응답자 중 39%는 지갑과 디앱(dApp)의 사용 난이도가 너무 높다고 했으며, 이는 범아시아 지역에서 70% 이상이 *모바일 앱* 위주로 금융을 활용하는 현실과 맞물려 더욱 중요한 과제라는 평가다.
베넘 재단의 CEO 크리스토퍼 루이스 츠(Christopher Louis Tsu)는 “아시아 지역에서 블록체인은 실제로 큰 비용 절감을 실현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필리핀 가족의 경우 연 1만 달러를 해외로 보낼 때 약 630달러(약 89만 원)의 수수료를 내는데, 블록체인은 이를 1% 미만으로 낮춰줄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산업계가 *위챗 수준의 간편성*을 지닌 금융 서비스 개발과 동시에 각국 규제 당국과 협력하는 태도를 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지역별 채택률에서도 차이를 보였다. 동남아시아는 모바일 우선 경제와 꾸준한 해외 송금 수요 덕분에 가장 역동적인 블록체인 성장세를 기록 중이다. 특히 필리핀은 연간 360억 달러(약 51조 원)에 달하는 송금을 유치해 국내 총생산(GDP)의 9%를 차지하고 있다. 반면 동북아시아는 자본 통제로 인해 확산에 제약이 따른다는 분석이다.
업계는 대중화 확산을 위한 실질적 해법으로 ▲지역 단일 규제 틀(43%) ▲사용자 중심의 UI·UX 개선(31%) ▲1% 미만의 수수료를 가진 스테이블코인 결제 인프라 구축(13%) ▲교육 캠페인과 신뢰 회복(각 7%)을 제시했다. 특히 아세안판 ‘미카(MiCA)’에 해당하는 협약이 체결된다면 이는 대중화율을 최대 25%까지 끌어올릴 수 있다는 기대 섞인 전망도 나왔다.
체이널리시스(Chainalysis)에 따르면, 인도와 베트남이 글로벌 암호화폐 수용지수 상위권에 올라 있지만 두 국가 모두 기술 침투율은 아직 10~15%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결론적으로 베넘 재단은 기술력보다 규제와 사용자 경험이 아시아 내 블록체인 확산의 핵심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