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제의 진화, 산업의 적응: 암호화폐 산업은 새로운 기준을 준비 중이다

| 토큰포스트

2025년 하반기,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암호화폐 산업 전반에 대한 규제 프레임워크 재정비에 착수했다. 이는 오랜 기간 유지돼 온 ‘집행 우선(enforcement-first)’ 방식에서 벗어나 제도권 내 통합과 감독 책임을 기반으로 한 규제 정상화로의 전환을 뜻한다.

이번 움직임은 디지털 자산에 대한 기관 수요 증가, 사용자 보호 강화에 대한 관심 확대, 그리고 시장 인프라의 성숙 등 복합적 요인에 대응한 조치로 풀이된다. 동시에 영국과 유럽연합(EU), 싱가포르 등 주요 글로벌 관할권에서도 스테이블코인, 거래소, 온체인 금융 등을 포괄하는 규제를 활발히 도입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암호화폐를 단순한 투기성 자산이 아닌 ‘감독 가능한 금융기술(supervisable financial technology)’로 재정의하는 방향으로 이어지고 있다.

규제의 명확화는 단기적으로 시장 참여자들에게 불확실성을 초래할 수 있지만, 인프라와 컴플라이언스 역량이 탄탄한 플랫폼에는 장기적인 경쟁력 강화의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이에 따라 글로벌 주요 거래소들은 내부 시스템을 강화하고, 사용자 보호 정책을 고도화하며, 변화하는 규제 환경에 대한 대응력을 높이고 있다.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블록핀(BlockFin) 관계자는 “단기적인 규제 리스크보다 중요한 것은 장기적으로 어떤 기준과 인프라를 갖춘 플랫폼이 생존할 수 있는가 하는 점”이라며 “많은 거래소들이 새로운 규제 구조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기 위해 내부 준법 시스템과 사용자 보호 프로토콜을 이미 강화해왔다. 향후에는 유연한 대응력이 관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블록핀은 현물 및 선물 거래에 특화된 차세대 암호화폐 거래소로, 400개 이상의 USDT-M 무기한 계약과 Coin-M 파생상품을 제공한다. 또 멀티 카피 트레이딩, K-라인 기반 실시간 주문 관리, 모바일 및 웹 반응형 플랫폼 등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