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블록체인 벤처캐피털 해시드(Hashed, 대표 김서준)가 오는 12월 10일(현지시간)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에서 개최되는 ‘아부다비 파이낸스 위크 2025(Abu Dhabi Finance Week 2025, 이하 ADFW 2025)’ 공식 파트너사로 합류해 행사 공식 프로그램인 ‘웹3 리더스 라운드테이블’을 주최한다고 5일 밝혔다.
해시드는 이번 행사를 아부다비 글로벌 마켓(Abu Dhabi Global Market, ADGM) 산하 기술 혁신 조직 ADGM 이머징테크(ADGM Emerging Tech)와 공동으로 개최한다.
아부다비에 위치한 국제 금융 자유무역지대인 ADGM은 최근 디지털 자산 거래·수탁·펀드 운용 전반을 포괄하는 디지털 자산 규제 프레임워크를 구축하며 중동 지역의 대표적인 디지털 금융 허브로 부상했다. ADGM 이머징테크는 비금융 분야 기술 기업의 시장 진입을 지원하고 감독하는 등 기업의 전 생애주기를 관리하는 전담 조직이다.
웹3 및 규제, 금융 산업의 글로벌 리더들이 참여하는 이번 라운드테이블은 AI–웹3 융합과 디지털 자산 제도화 등을 주제로 두 개의 세션으로 진행된다.
‘2030년 디지털 인프라 – AI, 웹3, 현실세계 체계의 융합’이라는 주제로 개최되는 첫 번째 세션에서는 AI와 블록체인이 실물경제 시스템과 결합하며 만들어 나갈 차세대 디지털 인프라의 방향성이 논의된다.
두 번째 세션은 ‘기관의 디지털 자산 도입과 규제’라는 주제로 개최되며, 참가자들은 스테이블 코인을 포함한 디지털 자산의 제도적 채택, 규제 프레임워크를 중심으로 한 글로벌 금융 인프라 혁신과 규제의 조화를 모색하게 된다.
각 세션에는 글로벌 주요 금융사와 규제기관, 웹3 기업, 정책 리더 등 국제 금융 및 기술 분야의 최고위급 인사들이 초청돼 열띤 토론을 펼칠 예정이다. 세션에서 도출된 논의 결과는 ADFW 2025 공식 리포트로 발간될 예정이며, 이를 통해 AI와 웹3가 주도할 차세대 디지털 경제의 정책·산업 방향성이 제시될 전망이다.
해시드는 지난 2017년 설립 이후 서울·싱가포르·아부다비·샌프란시스코·뱅갈루루 등 주요 거점을 중심으로 블록체인 등 웹3 스타트업에 집중 투자해 왔으며 라운드테이블 등 다양한 형태의 비즈니스 네트워킹을 이어왔다. 이번 행사 참여도 지난 9월 한국에서 열린 ‘이스트포인트: 서울 2025’ 라운드테이블 행사의 후속으로 기획됐다. 해시드는 이번 행사 참여를 통해 아부다비 및 중동과 아시아를 잇는 디지털 자산 협력 플랫폼으로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AI·웹3 기술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디지털 인프라 구축 전략을 제시할 계획이다.
김서준 해시드 대표는 “AI와 블록체인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미래 경제와 금융 인프라의 구조가 재편되고 있다”며 “이번 라운드테이블은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의 혁신이 중동과 글로벌 시장의 제도적 변화와 맞물려 새로운 디지털 경제 질서를 만들어가는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무하마드 알메이리(Muhammad Almhairi) ADGM 커뮤니케이션 총괄은 “해시드와 함께 올해 ADFW에서 웹3 리더스 라운드테이블을 개최하게 되어 매우 기쁘다”며 “이번 라운드테이블은 혁신적 창업가·투자자·기술 리더들이 모여 웹3 트렌드와 규제, AI와 웹3의 융합, 기관의 디지털 자산 도입 등을 논의하고 블록체인 기반 AI 결제 기술 데모까지 선보이는 의미 있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해시드는 자회사 샤드랩을 통해 이번 ADFW 2025에서 x402 표준 기반의 프로덕트 데모를 함께 선보일 예정이다. x402 프로토콜은 기존에 사용되지 않던 HTTP 응답 코드 ‘402 Payment Required’를 활용하여, 디지털 네이티브 결제를 지원하려하는 오픈소스 프로토콜이다. 또한 최근 AI 에이전트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x402 프로토콜과 AI 에이전트, 가상자산을 통합·연동하려는 움직임이 시장에서 나타나고 있다. 일례로, 코인베이스(Coinbase)와 클라우드플레어(Cloudflare)를 중심으로 이를 블록체인 결제 인프라(A2A, Agent-to-Agent) 로 확장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해시드는 이러한 시장의 흐름에 발맞춰 JWT 기반 지불 인증 표준을 제안하고 스트리밍 서비스용 구현체를 선보이는 등 차세대 A2A 결제 표준의 기술적, 사업적 논의를 선도하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