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플 CTO “XRP 원장의 진짜 이해관계자는 수익 아닌 사용자”

| 서도윤 기자

리플의 최고기술책임자(CTO) 데이비드 슈워츠가 최근 XRP 원장(XRPL)의 핵심 이해관계자가 누구인지에 대해 의견을 밝혔다. 그는 실제로 네트워크를 사용해 거래하고, 자신만의 은행 역할을 원하며, 수익 목적이 아닌 목적 의식을 가지고 노드를 운영하는 사용자들이야말로 진정한 이해관계자라고 강조했다.

슈워츠는 소셜미디어를 통해 XRPL 사용자 중 '가치 생산자'로 볼 수 있는 집단을 정의하며, 이들이 리플 생태계의 근간을 이룬다고 설명했다. 그는 특히 “자신의 거래 처리를 위해 노드를 운영하는 개인이나 기업이 지속 가능성을 만든다”고 밝혔다. 사용 목적에 따라 네트워크와 상호작용하는 이들이 시스템의 실질적인 유지자라는 분석이다.

이처럼 사용자 중심의 관점은 최근 불거진 리플 가치 논쟁과 대비된다. 앞서 한 벤처투자자는 리플이 XRP 토큰 외에는 본질적인 가치가 없다고 지적했다. 실제 사용자 기반이 약하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이를 두고 일부 이용자들은 네트워크 수수료가 극히 낮다는 점을 근거로 단순한 통계에 의존한 ‘성의 없는 분석’이라고 반박하고 있다.

슈워츠는 블록체인이 굳이 토큰을 통한 보상을 제공하지 않아도 유용성과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는 “유료 중개자를 거치지 않고도 사용자가 직접 거래할 수 있다면, 이는 사용자를 위한 더 나은 시스템”이라고 말했다. XRPL은 검증자에게 별도 보상을 제공하지 않고,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설계됐기 때문에 중개자 비용이 없다. 이 같은 구조는 비트코인(BTC)이나 이더리움(ETH)의 마이너 및 스테이커 모델과 대조된다.

이번 발언은 리플의 향후 비즈니스 모델과 XRPL의 ‘탈중앙화’ 정체성을 다시금 상기시키는 계기가 되고 있다. 기술적 관점뿐 아니라 실 사용자 기반의 지속성과 가치에 주목해야 한다는 점에서, 가볍게 넘길 수 없는 메시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