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저브 규모가 1,812억 달러(약 1,812억 원)에 달하는 테더(USDT)가 더 이상 단순한 스테이블코인 발행사로만 보기 어려운 수준에 올라섰다. 고금리 환경 속에서 막대한 이자 수익을 올리고 있으며, 중앙은행과 유사한 역할까지 수행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테더는 최근 공개한 2025년 1분기 보고서에서 회사 자산과 부채 규모를 상세히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테더는 1,812억 달러 상당의 준비금을 보유하고 있으며, 부채는 1,745억 달러(약 1,745억 원)로, 68억 달러(약 68억 원)의 초과 자산을 유지 중이다. 이 가운데 대부분은 미국 국채와 환매조건부채권(Repo) 등 안전 자산에 투자돼 있다.
고금리 기조 덕분에 테더는 올해 들어서만 100억 달러(약 100억 원)가 넘는 이자 수익을 거뒀다. 이는 일반적인 크립토 기업으로선 보기 드문 실적이며, 오히려 전통 금융기관에 가까운 수익 구조다.
테더는 이처럼 막대한 자산을 보유한 채 달러를 대규모로 주조하고 상환할 뿐만 아니라, 법 집행기관 요청 시 지갑 주소를 동결하거나 특정 블록체인에서 지원을 중단하거나 옮기는 등 정책적 권한도 실행하고 있다. 아울러 수익의 최대 15%를 비트코인(BTC) 매입에 사용하는 등, 스테이블코인 외 영역으로도 확장을 꾀하고 있다.
이러한 운영 방식 때문에 일부 전문가와 업계 관계자들은 테더를 ‘민간 달러 기반 중앙은행’처럼 기능한다고 평가한다. 하지만 실제 중앙은행과 달리 테더는 공공 의무나 국가적 안전장치를 갖추고 있지 않은 점에서 한계도 분명하다. 테더는 완전한 외부 감사를 받지 않고, 대신 신뢰 기반의 회계 검증에만 의존하고 있으며, 모든 금융 거래는 민간 파트너에게 의존하는 구조다.
테더의 이례적인 수익성과 중앙은행 유사 운영은, 크립토 업계가 전통 금융 시스템과 어떤 방식으로 교차하고 있는지를 잘 보여주는 사례다. 다만 그 구조가 강한 신뢰 기반에 의존하는 만큼, 향후 시장 상황에 따라 리스크가 부각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