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틀(Mantle), 앵커리지 디지털 커스터디 탑재…제도권 진입 신호탄

| 김민준 기자

이더리움 레이어2 기반 실물자산(RWA) 유통 및 유동성 허브인 맨틀(Mantle)이 자사의 네이티브 토큰 MNT가 미국 최초의 연방 인가 암호화폐 은행을 보유한 규제 기반 커스터디 플랫폼 앵커리지 디지털(Anchorage Digital)의 커스터디 서비스와 자체 관리 지갑 포르토(Porto)에 탑재됐다고 발표했다. 이번 제휴는 제도권 금융기관이 MNT를 이더리움 상 자산으로 안전하게 보유하고, 맨틀의 온체인 경제에 직접 참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MNT는 맨틀 네트워크의 거버넌스 및 유틸리티 토큰으로, 프로토콜 결정 과정에 참여하거나 디파이(DeFi)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핵심 자산이다. 앵커리지 디지털의 인프라를 통해 MNT 보유자는 안전하고 규제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MNT를 이더리움 상에서 금고자산(treasury asset)으로 보유할 수 있게 됐다.

맨틀 측은 “거버넌스 참여 등을 위한 핵심 자산인 MNT를 세계 각국의 기관 투자자가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를 통해 직접 취급할 수 있게 됐다”며 제도권 유입 확대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냈다. 특히 앵커리지 디지털은 미국 연방 허가를 받은 유일한 암호화폐 은행으로, 높은 수준의 감독과 보안이 제도권 참여 확대의 장벽을 유의미하게 낮출 것으로 보인다.

앵커리지 디지털 공동창업자 겸 CEO 네이선 맥컬리는 “맨틀과 같은 차세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제도권의 안전한 참여를 보장하는 것이 우리의 역할”이라며 “우리는 혁신을 제도권이 안전하게 다루게 만드는 데 집중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제휴를 통해 맨틀은 고도화된 커스터디 솔루션과 제도권 안전장치 위에 구축된 레이어2 생태계로의 도약을 본격화했다. MNT의 유동성 및 시장 기반, 제도권 수용성의 확장 또한 기대되는 대목으로, 글로벌 블록체인 자산시장 접근성을 대폭 넓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