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내 솔라나(SOL) 기반 상장지수펀드(ETF)로 970만 달러(약 129억 원)가 유입되며 기관투자자들의 관심이 다시 솔라나로 향하고 있다. 동시에 XRP 기반 디파이(DeFi) 프로젝트인 'XRP 툰드라(Tundra)'도 솔라나 네트워크에서 대규모 도약을 준비하며, 양 프로젝트가 맞물려 주목받고 있다.
가상자산 리서치 업체 Farside Investors에 따르면, 단 하루 만에 솔라나 ETF 상품에 970만 달러가 새로 유입됐다. 이 중 비트와이즈의 BSOL 펀드가 750만 달러(약 99억 원), 그레이스케일의 GSOL 펀드는 220만 달러(약 29억 원)를 기록하며 각각의 자산 운용 규모도 함께 성장하고 있다. 두 ETF는 현재 총 2억 9,400만 달러(약 3912억 원) 이상의 운용 자산을 보유 중이다.
ETF 유입은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 이후 솔라나가 미국 시장에서 독자적으로 ETF 성과를 달성한 최초의 블록체인이며, 이는 온체인 유동성 개선과 가격 안정성 회복을 동반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실제로 솔라나 가격은 150달러선에서 반등하며, 기관 자금의 유입과 함께 상승세를 보였다.
이러한 흐름에 맞춰 XRP 툰드라도 솔라나와 XRP 레저 두 체인을 기반으로 탈중앙 금융 시스템을 확장 중이다. TUNDRA-S와 TUNDRA-X로 구성된 양 토큰은 각각 솔라나와 XRP 네트워크에서 스테이킹과 유동성, 거버넌스를 담당하며, 교차 체인 수익 모델을 구축하고 있다. ETF처럼 가격 추종이 아닌, 직접적인 온체인 참여 방식을 선택했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투명성과 보안 면에서도 XRP 툰드라는 인증을 확보했다. 스마트 계약은 세 곳의 독립 기관(Cyberscope, SolidProof, FreshCoins)에서 감사를 받았고, KYC 인증 또한 Vital Block을 통해 완료하는 등 검증성을 높였다. 현재 진행 중인 프리세일 10단계에서는 TUNDRA-S를 0.158달러, TUNDRA-X는 0.079달러에 제공하며, 각각 2.5달러와 1.25달러를 상장 가격으로 제시하고 있다.
거버넌스는 물론 거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설계도 돋보인다. XRP 툰드라는 Meteora의 DAMM V2 유동성 풀을 활용해 거래 초기 과도한 매도세를 방지하고자 최대 50%에 달하는 동적 수수료를 적용하는 방식으로 시장 조절 메커니즘을 갖췄다. 또한 ‘Arctic Spinner’라는 보상 프로그램을 도입해 초기 참여자에게는 구매 규모에 따라 보너스 토큰을 즉시 지급한다. 지금까지 3만 2,000달러(약 4,256만 원)의 보너스가 배포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XRP 툰드라는 ETF 시장의 구조적 장점과 디파이의 참여 기반을 결합한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제도권 ETF를 통한 솔라나 자금 유입과, 개인 참여 기반 XRP 툰드라 프리세일이 나란히 진행되며 ‘기관 투심’과 ‘개인 디파이 수요’라는 이중 호재가 겹치는 셈이다.
오는 상장을 앞두고 있는 XRP 툰드라는 솔라나 네트워크에 대한 접근성을 확대하면서도, 투자자에게는 직접적인 수익 구조를 제공하는 전용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는 디파이 기술이 점차 제도 금융 수준의 신뢰성과 구조를 갖추고 있다는 현재 시장의 진화를 보여주는 사례로 해석된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