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정부가 스테이블코인 관련 규제를 마련할 가능성이 제기됐다. 반면 인도중앙은행(RBI)은 여전히 ‘신중한 접근’을 강조하고 있어 정부와 중앙은행 간 정책 방향에 미묘한 온도차가 감지된다.
비즈니스 매체 머니컨트롤(MoneyControl)은 복수의 정부 소식통을 인용해, 인도 재무부가 2025~2026년 '경제 조사 보고서(Economic Survey)'에 스테이블코인의 유용성을 평가하고 논의하는 내용을 포함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이 보고서는 국가 경제와 정책 방침을 진단하는 공식 연례 문서로, 주요 입법 방향에도 영향을 미친다.
보도에 따르면 정부는 이번 보고서에서 스테이블코인 기술이 금융 혁신에 기여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도입 타당성'을 제시할 방침이다. 그러나 마냥 낙관적인 분위기는 아니다. 현재 RBI는 암호화폐 전반, 특히 스테이블코인에 대해 여전히 보수적인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산제이 말호트라(Sanjay Malhotra) 인도 재무부 장관은 최근 델리 경제학교에서 열린 강연에서 "우리는 암호화폐 전반에 대해 매우 신중하게 접근하고 있으며, 여러 우려 사항이 있다"며 중앙은행의 입장을 명확히 했다. 그는 “암호화폐를 어떻게 다룰지는 결국 정부 차원의 최종 결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한 실무 그룹이 이미 구성돼 있다”고 밝혔다.
이번 움직임은 인도가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발행을 적극 추진 중인 상황과도 맞물려 있다. RBI는 자국 디지털 루피의 확산을 위해 기술 및 사용자 인프라를 지속 확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스테이블코인을 비롯한 민간 디지털 자산과의 관계 설정이 규제 측면에서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스테이블코인은 법정화폐에 연동된 디지털 자산으로, 가치 변동성이 적어 결제나 송금 등 실생활 응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전 세계 각국 정부의 관심을 끌고 있다. 하지만 자금세탁, 규제 회피, 달러화 의존 등 다양한 리스크도 함께 지적되며 명확한 입법적 해석이 요구돼 왔다.
인도 정부의 보고서가 실제 관련 제도화로 이어질 경우, 아시아 신흥국 내 최초로 스테이블코인을 제도권에 편입시키는 사례가 될 수 있어 향후 행보가 주목된다.
TokenPost Ai
🔎 시장 해석
인도 정부와 중앙은행의 입장이 엇갈리면서, 장기적으로는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규제 체계와 CBDC 간 역할 분담이 본격적으로 논의될 가능성이 커졌다. 이는 글로벌 트렌드와도 맞물려, 각국이 자국 통화 주권을 지키기 위한 전략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 전략 포인트
- 스테이블코인 규제 이슈는 정책 불확실성을 동반하므로, 각국 동향에 따른 리스크 관리가 중요하다.
- CBDC가 확대되는 환경에서는 탈중앙화 코인보다 규제 친화적 자산의 실사용 사례가 주목받을 수 있다.
📘 용어정리
- 스테이블코인(Stablecoin): 달러 등 법정화폐에 연동돼 가격이 안정적인 암호화폐
- 경제 조사 보고서(Economic Survey): 인도 재무부가 매년 발간하는 주요 경제 분석 보고서
- 인도중앙은행(RBI): 인도의 통화 정책과 금융 규제 기관, 중앙은행
- CBDC(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중앙은행이 발행하는 디지털 방식의 법정화폐
TP AI 유의사항
TokenPost.ai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