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마인, 미국 검증자 네트워크 구축…이더리움($ETH) 스테이킹 본격화

| 민태윤 기자

미국 기반 암호화폐 재무관리 기업 비트마인(BitMine)이 자사 이더리움(ETH) 보유량을 본격적으로 스테이킹하기 위해 새로운 인프라 구축 계획을 밝혔다. 회사는 ‘메이드 인 아메리카 검증자 네트워크(Made in America Validator Network, MAVAN)’라는 이름의 프로젝트를 시작하며, 오는 2026년 1분기 공식 출범을 목표로 세웠다.

비트마인은 MAVAN을 통해 미국에서 운영되는 검증자 노드를 기반으로 이더리움 네트워크에 참여하고, 안정적인 스테이킹 수익을 창출하며 블록체인 인프라 자립화에 기여하겠다는 입장이다. 현재는 3곳의 스테이킹 인프라 제공업체와 함께 초기 시범 운영을 추진 중이다.

이더리움은 지분증명(PoS, Proof-of-Stake) 방식의 블록체인으로, 일정량의 토큰을 네트워크에 예치하고 그 대가로 네이티브 토큰인 ETH를 보상받는 구조다. 스테이킹은 블록체인의 보안과 탈중앙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기업 입장에서는 지속적으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수단으로 여겨진다.

톰 리(Tom Lee) 비트마인 회장은 “규모 있게 전개될 경우, 이번 전략은 장기적으로 주주들에게 가장 이익이 되는 방향”이라며 MAVAN 프로젝트의 지속적인 확장 의지를 드러냈다.

최근 미국에서는 비트코인(BTC) 현물 ETF 승인 이후 기관 중심의 암호화폐 수용이 빠르게 늘고 있는 가운데, 이번처럼 기업이 직접 네트워크 참여를 통해 디지털 자산 수익화를 시도하는 움직임은 점차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기사요약 by TokenPost.ai

🔎 시장 해석

비트마인의 MAVAN 추진은 미국 내 블록체인 인프라를 자립적으로 강화하려는 시도로 해석된다. 스테이킹을 통한 수익창출 뿐 아니라 국가 내 검증자 운영체제라는 상징적 의미를 더한다.

💡 전략 포인트

- 기관의 직접 스테이킹 참여는 암호화폐의 실물 가치를 증명하는 방식으로 주목

- 미국 내 검증자 네트워크 구축은 규제 수용성과 기술 주권 확보를 동시에 노린 대응

📘 용어정리

- 스테이킹(Staking): PoS 블록체인에서 토큰을 예치해 블록 검증에 참여하고 보상을 받는 시스템

- 검증자(Validator): 블록체인에서 거래를 확인하고 블록을 제안하는 노드

- MAVAN: ‘Made in America Validator Network’의 약자로, 미국에서 가동되는 스테이킹 인프라 네트워크

TP AI 유의사항

TokenPost.ai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