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갑을 넘어 결제로: Web3 인프라가 현실에 스며드는 순간

| 토큰포스트

웹3 지갑이 전통 금융과 실물 결제 영역으로 빠르게 확장되면서 결제 패러다임 변화가 본격화되고 있다. 2025년 현재 웹3 지갑은 더 이상 디지털 자산 보관이나 블록체인 주소 대체 기능에 머물지 않고, 온·오프라인 매장에서 실제 결제에 활용할 수 있는 도구로 진화하고 있다.

결제 수단으로 진화하는 웹3 지갑

전통적으로 웹3 지갑은 암호화폐 전송이나 디앱(dApp) 상호작용 등 블록체인 내부 기능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그러나 최근 글로벌 결제 네트워크와의 파트너십이 확대되면서 지갑이 기존 금융 시스템에서 통용되는 ‘정식 결제 수단’ 역할을 수행하기 시작했다. 구글페이와 애플페이 연동이 가능한 웹3 지갑의 수는 전년 대비 두 배 이상 증가했으며, 암호자산을 실생활 결제에 활용하려는 사용자 수요 역시 크게 늘었다.
크립토닷컴이 발표한 2025년 상반기 보고서에 따르면 웹3 기반 암호화폐 결제 카드 사용자 수는 2024년 말 대비 약 60% 증가했다. 보고서는 “Z세대와 밀레니얼 세대를 중심으로 실물 결제에 디지털 자산을 활용하려는 관심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글로벌 스테이블코인 결제 확산 사례

고인플레이션 국가에서는 스테이블코인 기반 실물 결제가 빠르게 자리 잡고 있다. 통화 가치 하락과 은행 시스템 불안정이 이어지는 환경에서 사용자들은 안정적이며 실시간 전송이 가능한 결제 수단을 찾고 있고, 웹3 지갑이 이러한 수요에 부합하는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현지 사용자들은 USDT 기반 지갑을 이용해 음식과 교통, 온라인 쇼핑 등 다양한 일상 소비를 처리하고 있으며, 이는 전통 금융 시스템이 남긴 공백을 웹3 결제 기술이 실질적으로 메우고 있음을 보여준다.

결제가 지갑 경쟁을 재정의하다

웹3 지갑이 결제 기능을 중심으로 확장되면서 산업 전반의 경쟁 구도도 변화하고 있다. 간편 로그인, 즉시 결제, 자동 자산 전환 등 기존 웹2 서비스와 유사한 직관적 사용자 경험(UX)이 지갑 선택의 핵심 요소로 떠오르고 있다.

이제 웹3 지갑은 단순한 디지털 자산 보관함을 넘어 사용자의 실제 생활 요구를 충족하는 ‘실질적 지갑’으로 기능하고 있으며, 사용자 행동과 선택이 서비스의 지속성을 결정하는 단계로 접어들었다. 웹3 결제 인프라의 확산은 아직 초기 단계지만, 빠른 속도로 현실 금융 환경에 스며들며 향후 결제 산업 전반에 구조적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