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odus가 자사 보유 비트코인을 활용해 온체인 결제 사업 확장에 나선다.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지갑 서비스 업체인 Exodus는 결제 인프라 기업 모나베이트와 반크스를 보유한 지주사 W3C Corp를 인수하는 1억 7,500만 달러(약 2,572억 원)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은 Exodus의 사업 전략이 단순 자산 저장에서 결제로 확대된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회사는 이번 인수를 통해 카드 발급부터 결제 처리 및 규제 준수에 이르는 전 과정을 통제하는 드문 ‘셀프 커스터디(비수탁)’ 지갑 기업으로 발돋움할 계획이다.
JP 리처드슨 최고경영자(CEO)는 “카드 및 결제 인프라를 내부화함으로써, 단순히 보관하는 데 그치지 않고 직접 쓸 수 있는 플랫폼으로 진화할 것”이라며, “Exodus는 이제 당신의 자산을 관리하기 위한 유일한 플랫폼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회사는 향후 자사 소비자 및 기업 대상 서비스에 카드 발급, 결제 처리, 규제 대응 기능을 직접 통합할 계획이다. 외부 벤더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비트코인은 물론 다양한 스테이블코인 등 더 많은 암호화폐를 결제 수단으로 지원하겠다는 복안이다. 특히 비자(Visa), 마스터카드(Mastercard), 디스커버(Discover)를 통한 카드 발급 역량까지 확보할 수 있을 전망이다.
업계에서는 이번 결정이 Exodus의 성장 방향을 가르는 중요한 전환점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특히 규제를 우회하며 ‘자산 보관만’ 제공하는 기존 지갑 서비스 구조에서 결제 시장까지 진입하는 것은 기술력과 규제 역량 모두를 요구한다.
기사요약 by TokenPost.ai
🔎 시장 해석
Exodus는 비트코인 보유고를 활용해 지갑 기능에서 결제 인프라까지 수직 통합을 시도하고 있다. 이는 장기적으로 암호화폐의 실사용을 확산시키는 한편, 수익모델을 다변화하는 전략적 움직임이다.
💡 전략 포인트
- 비트코인 보유자산 활용한 인수 자금 조달
- 카드 발급부터 결제 처리까지 자사 직접 운영
- 스테이블코인 결제 및 대형 카드사 연동 가능성 확보
📘 용어정리
- 셀프 커스터디(Self-custody): 사용자가 개인 키를 직접 보관하는 방식의 지갑
- 온체인 결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활용한 직접 결제로, 투명하고 중개자 없는 거래 방식
- 스테이블코인: 가격 변동성이 낮도록 설계된 암호화폐, 달러 등 실물자산에 1:1로 연동됨
TP AI 유의사항
TokenPost.ai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