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플(Ripple)이 발행한 미국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 RLUSD가 아부다비 금융당국으로부터 공식 승인을 받았다. 중동 시장 확대에 중점을 둬온 리플에게 이번 조치는 기관 수요 확보에 큰 발판이 될 전망이다.
리플은 4일(현지시간) RLUSD가 아부다비 국제금융센터(ADGM)에서 '공인 피앗 기준 토큰(Accepted Fiat-Referenced Token)'으로 승인됐다고 발표했다. ADGM은 아부다비의 알 마르야와 알 림 섬에 걸쳐 조성된 국제 금융 프리존이다. 승인 기관은 ADGM 내 활동을 감독하는 금융서비스규제청(FSRA)이다.
이번 승인으로 ADGM에 등록된 규제 대상 기업들은 RLUSD를 담보, 결제 등 승인된 금융활동에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단, 스테이블코인 운용과 관련된 준비금 관리, 정보 공개 등 현지 규제를 충족해야 한다.
잭 맥도날드 리플 스테이블코인 부문 수석 부사장은 “현재 RLUSD는 시가총액 10억 달러(약 1조 4,619억 원)를 돌파했으며, 주요 금융기관이 결제와 담보 수단으로 빠르게 채택하고 있다”며 “RLUSD는 대형 기관에 매력적인 미국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으로 자리잡고 있다”고 강조했다.
RLUSD는 리플이 기존의 글로벌 송금 인프라 강점을 바탕으로 출시한 스테이블코인으로, 최근에는 중동과 아시아 시장 인프라 진출에 속도를 내고 있다. 특히 아부다비는 암호화폐와 디지털 자산 기업들에 우호적인 규제 환경을 조성하며 글로벌 프로젝트의 거점 지역으로 부상하고 있다.
기사요약 by TokenPost.ai
🔎 시장 해석
리플의 RLUSD가 중동 금융규제 환경에서 승인을 받으면서 USDT, USDC 등 선두주자와의 차별화를 모색하고 있다. 기관 투자자 중심 시장에서 신뢰를 확보함으로써 리플은 자체 생태계 확장 뿐 아니라 신규 거래 수요 확보에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 전략 포인트
- RLUSD처럼 규제 친화적인 구조를 갖춘 스테이블코인은 기관 수요 확보에 유리
- 중동 및 아시아 시장 중심의 금융 허브 진입은 프로젝트 확장의 중요한 전환점
- 리플 생태계 내 스테이블코인이 확보되면 XRP와의 시너지 효과도 기대 가능
📘 용어정리
- RLUSD: 리플이 발행한 미국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
- ADGM: 아부다비 글로벌 마켓, 국제 금융 프리존 및 규제구역
- 피앗 기준 토큰(Fiat-Referenced Token): 실물 화폐를 근거로 발행·가치를 유지하는 디지털 자산
TP AI 유의사항
TokenPost.ai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