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플이 최근 암호화폐 시장에서 다시 주목받고 있다. XRP 상장지수펀드(ETF)의 잇따른 출시와 스테이블코인 ‘RLUSD’의 글로벌 확장이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중순 캐너리 캐피탈은 100% XRP에 연동되는 첫 스팟 ETF를 출시해 약 8,774억 원(약 6,000만 달러)의 거래량을 기록하며 시장의 관심을 집중시켰다. 이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비트와이즈가 제출한 유사한 상품을 승인했고, 최근에는 그레이스케일과 프랭클린템플턴까지 XRP ETF 시장에 진입했다. SoSoValue의 집계에 따르면 이들 상품의 순유입 자금 규모는 9,359억 원(약 6억 4,000만 달러)을 넘어섰다. 투자자 기대감은 커지고 있으며, 21셰어스가 출시할 차기 ETF가 11월 29일 거래 개시를 앞두고 있다.
리플의 미국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 RLUSD도 순항 중이다. 지난해 출시된 이 스테이블코인은 수 개의 주요 거래소에 채택됐고,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은행인 멜론은행(BNY Mellon)의 수탁 지원을 받았다. 최근 아부다비 금융서비스 규제국(FSRA)는 RLUSD를 법정화폐 연동 토큰으로 공식 승인해, 현지에서 규제 라이선스를 보유한 기관들이 활용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 앞서 두바이 금융서비스청(DFSA) 역시 RLUSD를 공식 암호자산으로 인정한 바 있다. 현재 RLUSD의 시가총액은 약 1조 8,278억 원(약 12억 5,000만 달러)으로 전체 암호화폐 중 83위에 올라 있다.
한편 XRP 가격은 11월 27일 기준으로 약 3,218원(약 2.20달러)을 기록하며 하루 새 1% 가량 상승했다. 같은 기간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을 비롯한 주요 암호화폐가 큰 폭의 상승세를 보였던 것에 비하면 다소 제한된 움직임이다. 그러나 일부 분석가들은 XRP의 단기 랠리를 점치고 있다. 시장 분석가 알리 마르티네즈는 XRP가 특정 지지선에서 반등한 점을 근거로 향후 3,802원(약 2.60달러) 선까지의 반등 가능성을 제시했다.
다만 고래 투자자들의 대규모 매도는 주의 신호로 해석된다. 최근 한 달 새 약 1.5억 달러(약 2조 1,936억 원)에 달하는 XRP가 고래 지갑에서 유출됐고, 이 중 2,632억 원(약 1억 8,000만 달러) 규모가 이달 초 추가 매도된 것으로 파악된다. 이 같은 움직임은 중소 투자자들의 동반 매도를 유발할 수 있으며, 일부는 고래들이 내부 정보를 인지한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하고 있다.
XRP 생태계가 제도권 금융과 깊이 연결되고 있는 가운데, ETF와 스테이블코인을 중심으로 한 지속적인 확장 전략이 XRP 가격과 시장 심리에 어떤 변화를 줄지 주목된다.
기사요약 by TokenPost.ai
🔎 시장 해석
XRP ETF의 가파른 성장과 RLUSD의 중동 진출은 리플의 제도권 통합 전략이 본궤도에 올랐음을 보여준다. 시장 신뢰 회복이 가격 추가 반등의 열쇠다.
💡 전략 포인트
단기 상승 기대감에도 고래 매도세는 리스크로 작용한다. ETF 흐름과 스테이블코인 채택 지표를 투자 판단의 주요 지표로 삼을 만하다.
📘 용어정리
- 스팟 ETF: 실물 자산을 직접 보유하는 형태의 상장지수펀드
- RLUSD: 리플이 발행한 미국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
- FSRA, DFSA: 아부다비·두바이의 암호화폐 금융 규제기관
TP AI 유의사항
TokenPost.ai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