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화 즉시 교환 서비스 ‘후디니 스왑(Houdini Swap)’이 이용자의 온체인 주소를 노출하지 않고 선호하는 암호화폐로 결제받을 수 있는 프라이버시 중심 결제 기능을 도입했다.
회사 측은 25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 매체 코인텔레그래프를 통해 이 같은 신기능 ‘후디니 페이(Houdini Pay)’를 발표했다. 후디니 페이는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암호화폐로 결제를 받을 수 있는 공유 결제 링크를 생성해 상대방에게 전달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현재 이 기능은 4,000개 이상의 디지털 자산과 다수의 블록체인을 지원한다.
결제 과정에선 송금인이 보낸 자산이 수신자가 설정한 자산으로 자동 전환된다. 이때 교환은 후디니 스왑의 즉시 교환 서비스가 백엔드에서 수행하게 되며, 이 시스템을 경유함으로써 송신자와 수신자 간 온체인 상의 직접적인 연결이 차단된다. 즉, 제3자가 지갑 주소를 추적하거나 양측의 자산 흐름을 들여다보는 것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해진다는 의미다.
결제에 드는 수수료는 후디니 스왑의 교환 수수료이며, 이는 송신자가 부담하게 된다. 수신자는 설정한 금액 전액을 그대로 수령하게 되며 추가 수수료가 부과되지 않는다.
결제 링크는 ‘영구적’으로 유효하며 사용 횟수에 제한이 없다. 다만, 생성 후 편집은 불가능하고 링크당 고정된 결제 금액만 청구할 수 있다. 수신자가 설정한 금액 이상이나 이하로 변동 결제를 허용하진 않는다.
이번 기능은 개인정보 보호를 중시하는 암호화폐 이용자들 사이에서 관심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모네로(XMR), 지캐시(ZEC)와 같은 프라이버시 코인을 쓰지 않고도 일반 암호화폐를 보다 익명성 높은 방식으로 주고받을 수 있게 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기사요약 by TokenPost.ai
🔎 시장 해석
프라이버시 보호는 블록체인 도입 확산의 핵심 과제로 꼽힌다. 후디니의 신규 기능은 사용자 경험을 해치지 않고도 개인정보 보호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 전략 포인트
이 서비스를 통해 탈중앙화된 지불 수단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다. 특히 익명 결제 수요가 있는 개인 사용자나 소상공인에게 유용할 수 있으며, 향후 지불 솔루션 사업자들의 연계 가능성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 용어정리
• 온체인 주소: 블록체인 상에 기록되는 지갑의 고유 식별자. 거래내역이 모두 투명하게 기록된다.
• 프라이버시 코인: 오프체인 기술이나 특수 거래 구조를 활용해 거래 내용을 숨기는 암호화폐 종류.
TP AI 유의사항
TokenPost.ai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