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문디, 유로 MMF에 블록체인 기반 '토큰화 클래스' 도입…이더리움(ETH) 첫 거래 완료

| 민태윤 기자

유럽 최대 자산운용사 아문디(Amundi)가 유로화 MMF(머니마켓펀드)에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화 클래스’를 도입하며 디지털 금융 전환에 한 걸음을 내디뎠다. 해당 상품은 하이브리드 구조로 출시돼 기존 전통 방식과 블록체인 기반 방식 중에서 투자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아문디에 따르면 첫 번째 토큰화 거래는 11월 4일 이더리움(ETH) 네트워크에 성공적으로 기록됐다. 이를 통해 아문디는 기존 자산운용 모델에 탈중앙 기술을 접목한 셈이다.

이번 프로젝트는 유럽 금융 인프라 기업인 카세이스(CACEIS)와 함께 추진됐다. 카세이스는 토큰화 인프라, 투자자 지갑, 구독 및 상환을 위한 디지털 주문 시스템을 제공하며 전체 과정을 기술적으로 뒷받침했다.

양사는 토큰화가 주문 처리 절차를 대폭 간소화하고, 신규 투자 채널 접근성을 높이며 24시간 365일 거래가 가능한 점을 강점으로 내세웠다. 특히 머니마켓펀드는 상대적으로 저위험 저수익 상품이라는 특성상 효율성과 유동성이 핵심인데, 블록체인을 활용할 경우 실시간 정산 및 자동화된 거래가 가능해진다.

아문디의 이 같은 시도는 전통 금융이 디지털자산 기술을 실제 운용계층에 적용하는 이정표로 평가된다. 향후 유럽 내 자산운용사 전반으로 토큰화 투자 상품이 확산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 것이다.

기사요약 by TokenPost.ai

🔎 시장 해석

아문디의 사례는 유럽 기관들이 실물 자산 토큰화(RWA) 시장에 본격 뛰어들고 있다는 신호다. 기존 금융에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하는 움직임은 자산 유통·관리·청산 비용을 낮추고, 투자자 저변을 넓히는 데 기여할 수 있다.

💡 전략 포인트

기관 투자자 대상 실물자산·펀드의 토큰화가 확대되면, 이더리움(ETH) 기반 네트워크나 해당 인프라에 직접 연동되는 프로젝트의 밸류에이션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기존 MMF 투자자들에게 블록체인 옵션을 제공하는 모델은 다양한 펀드상품에 응용 가능하다.

📘 용어정리

- 토큰화(Tokenization): 실물 자산을 블록체인 상의 디지털 토큰 형태로 변환하는 기술

- 머니마켓펀드(MMF): 단기 국채, 기업어음 등에 투자하는 낮은 위험도의 유동성 펀드

- 카세이스(CACEIS): 유럽 금융기관 대상 자산보관, 펀드관리 서비스 제공 업체

TP AI 유의사항

TokenPost.ai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