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파이 거래 비중, 37.4%로 사상 최고…밈코인 열풍에 CEX 추격 본격화

| 서도윤 기자

암호화폐 디파이 시장이 밈코인 열풍에 힘입어 중앙화 거래소(CEX)를 빠르게 추격하고 있다. 디파이 기반 탈중앙화 거래소(DEX)의 거래량 비중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며 거래 지형 변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암호화폐 정보업체 코인게코(CoinGecko)에 따르면, 2025년 들어 DEX의 현물 거래량이 CEX 대비 37.4%에 도달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5년 전보다 3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이 같은 증가세는 '밈코인 투기 광풍’과 팬케익스왑(CAKE)의 거래량 급증에서 기인했다고 회사는 분석했다.

코인게코 리서치 애널리스트 임유첸(Yuqian Lim)은 “2025년 6월 DEX와 CEX의 현물 거래 비율이 37.4%로 치솟았다”며 “이는 밈코인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 폭증과 함께, 바이낸스 알파 플랫폼을 통해 팬케익스왑으로 주문이 라우팅되면서 발생한 것”이라고 전했다. 바이낸스 알파는 2025년 5월 출시된 이후, 초보자 중심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면서 탈중앙화 플랫폼 사용 장벽을 낮췄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동안 바이낸스, 코인베이스 등 CEX는 마찰 없는 UX와 다양한 금융 서비스로 인해 전체 암호화폐 현물 시장에서 큰 점유율을 차지해 왔다. 그러나 유동성을 높이고 인터페이스를 개선한 DEX들이 점차 거래자를 끌어들이며 입지를 넓히고 있다. 특히 팬케익스왑, 하이퍼리퀴드(Hyperliquid), 펌프펀(Pump.fun) 등은 ON-CHAIN 활동을 중심으로 신세대 투자자들 사이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DEX의 시장 점유율 확대는 규제 우회, 익명성 선호 트렌드, MEME 토큰 브루잉(초기 밈코인 발행 플랫폼) 열풍과도 궤를 같이한다. 특히 2024년부터 본격화된 도그위프헷(WIF), 봉크(BONK), 플로키(FLOKI) 등 밈코인 중심의 투자가 온체인 기록 기반인 디파이 플랫폼으로 거래자를 몰리게 했다.

아직은 CEX가 절대 우위를 점하고 있으나, 밈코인을 중심으로 한 신속한 트렌드 전파와 자동화된 마켓 메이킹(AMM) 시스템이 결합된 DEX 생태계는 점차 매력을 더해가고 있다. 향후 업계는 DEX의 스마트 컨트랙트 위험 요소나 규제 리스크를 어떻게 관리할지가 주요 과제로 남을 전망이다.

기사요약 by TokenPost.ai

🔎 시장 해석

밈코인을 중심으로 한 온체인 거래 증가와 CEX의 한계가 맞물리며 디파이 플랫폼의 영향력이 커지고 있음.

💡 전략 포인트

단기적인 밈코인 수요 과열에 따른 급등락 주의가 필요하며, 플랫폼 별 유동성 흐름을 예의주시해야 함.

📘 용어정리

DEX(탈중앙화 거래소): 중개자 없이 블록체인 기반에서 암호화폐를 거래할 수 있는 플랫폼.

CEX(중앙화 거래소): 바이낸스, 코인베이스처럼 중앙화된 기관이 운영하는 거래 플랫폼.

밈코인: 인터넷 밈에서 출발한 암호화폐로, 도지코인(DOGE) 등이 대표적.

TP AI 유의사항

TokenPost.ai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