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탄, 이더리움($ETH) 320개 스테이킹…퍼블릭 블록체인 활용 본격화

| 서지우 기자

부탄 정부가 약 97,000달러(약 1억 3,483만 원) 상당의 이더리움(ETH) 320개를 스테이킹하며 암호화폐 보유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번 거래는 스테이킹 전문 업체 피그먼트(Figment)를 통해 이뤄졌으며, 히말라야 지역에 위치한 인구 80만 명의 이 나라가 블록체인 기술 활용을 본격화하는 또 하나의 신호탄으로 해석된다.

피그먼트는 기관 및 대규모 투자자를 대상으로 여러 블록체인에서 디지털 자산을 예치해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스테이킹 서비스 제공업체다. 이번 이더리움 스테이킹은 부탄의 최근 몇 달간 이어지고 있는 온체인 활동의 연장선에 있다.

앞서 부탄은 지난해 10월, 국가 주도 디지털 신분증 시스템을 폴리곤(MATIC)에서 이더리움으로 이전하면서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행정 인프라 구축에 나섰다. 이를 통해 주민들은 이더리움 네트워크상에서 신원을 인증하고 공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

부탄의 행보는 국가 차원에서 이더리움과 같은 퍼블릭 블록체인을 공식 시스템에 적극 도입하려는 드문 사례로 주목받는다. 동시에 암호화폐 보유를 넘어 블록체인 운영의 핵심인 '검증자(Validator)'로서의 역할을 강화하는 움직임이기도 하다.

이번 스테이킹은 단순히 자산 예치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이더리움 검증자로서의 참여는 네트워크의 보안에 기여하는 동시에 부탄이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을 본격화하고 있음을 암시한다. 특히 온체인 활동 내역이 공개된 점은 투명성과 기술 주권을 강조하는 부탄 정부의 기본 원칙과도 맞닿아 있다.

부탄은 이미 암호화 자산 보유 및 관련 프로젝트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왔으며, 이번 조치는 향후 에코시스템 내에서 더 큰 영향력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적 투입'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기사요약 by TokenPost.ai

🔎 시장 해석

국가 차원의 이더리움 스테이킹은 그 자체로 상징적인 의미를 갖는다. 중앙집중형 행정 시스템을 블록체인 기반으로 전환하려는 흐름 속에서, 퍼블릭 체인의 활용은 제도권 수용 가능성 확대에 힘을 실을 수 있다.

💡 전략 포인트

부탄은 단순한 보유를 넘어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검증자로 참여함으로써 장기적 수익성과 기술 독립성 확보를 추구하고 있다. 국가 기반 인프라와의 결합은 향후 더 많은 정부들이 따라올 수 있는 선례가 될 수 있다.

📘 용어정리

스테이킹(Staking): 일정량의 암호화폐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예치해 네트워크 운영에 참여하고 보상을 받는 행위

검증자(Validator): 블록체인에서 트랜잭션을 검증하고 블록을 생성하는 참여자. 지분증명(PoS) 시스템의 핵심 역할

자기주권 디지털 ID: 개인이 자신의 신원을 블록체인에서 직접 관리·인증할 수 있는 신분 시스템

퍼블릭 체인: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공개형 블록체인 네트워크

TP AI 유의사항

TokenPost.ai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