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니모카, 게임 넘어서 DeFi·AI로…Web3 생태계 전방위 확장 나선다

| 민태윤 기자

Web3 게임 대기업 애니모카 브랜즈(Animoca Brands)가 내년부터는 게임을 넘어 생태계 확장에 집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재 애니모카가 투자한 기업 수는 약 600곳에 이르며, 이 중 230개가 게임 관련 회사다.

케이반 페이마니(Keyvan Peymani) 애니모카 최고전략책임자(CSO)는 지난 11일 CNBC 인터뷰에서 “우리는 매년 수십 개 기업에 투자하고 있다”며 “인공지능(AI), 탈중앙 물리 인프라(DePIN), 탈중앙금융(DeFi), 스테이블코인 등 새로운 분야의 기회를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목표는 우리가 속한 생태계 전반이 어떻게 성장하는지를 관찰하고 그 방향에 맞춰 나아가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애니모카는 2014년 설립 이후 게임 부문에 집중 투자해왔다. 대표적인 투자 프로젝트로는 엑시 인피니티(Axie Infinity), 크립토키티(CryptoKitties), 콜로설(Colossal), 일드길드게임즈(Yield Guild Games) 등이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서는 다양한 Web3 분야에 눈을 돌리며 비게임 부문으로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하고 있다.

애니모카의 이번 전략은 탈중앙 인터넷과 가상경제 전반을 아우르는 종합 Web3 플랫폼으로의 진화를 반영한다. 게임 부문에서 쌓은 생태계 구축 경험을 바탕으로, 향후 AI나 DePIN 등 신생 영역에서의 시장 주도권 확보를 노리고 있다.

기사요약 by TokenPost.ai

🔎 시장 해석

애니모카 브랜즈는 게임 중심 기업에서 탈피해 Web3 전반으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이는 Web3 생태계가 단일 분야 중심에서 다각화 국면으로 전환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 전략 포인트

게임 분야에서 쌓은 웹3 경험을 바탕으로 신기술(AI, DePIN, 스테이블코인 등)에 선제 투자하고 있다. 포트폴리오 분산을 통해 개별 리스크를 줄이고, 장기적 산업 성장에 대비하는 전략이다.

📘 용어정리

DePIN: 탈중앙 물리 인프라(Decentralized Physical Infrastructure Network)의 약자로, 블록체인 기반으로 실제 물리 네트워크를 운영하는 기술

DeFi: 탈중앙 금융(Decentralized Finance), 중앙기관 없이 운영되는 금융 시스템

스테이블코인: 실물 자산에 연동돼 가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암호화폐

TP AI 유의사항

TokenPost.ai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