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경찰 증거수집·수입식품 위생증명에 쓰인다

| Coinness 기자

지디넷코리아에 따르면 올해 총 118억원이 투입되는 정부 블록체인 사업으로 치안·식품안전 등 국민 생활과 밀접한 다양한 분야에 블록체인 기술이 확산된다. 경찰청은 디지털 증거의 수집 및 활용 전 단계에 무결성을 확보하는데 블록체인을 활용하고,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수입식품의 위생증명서 진위 여부 확인하는 데 블록체인을 쓰기로 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7일 ‘블록체인 공공선도 시범사업·민간주도 국민 프로젝트’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공공선도 시범사업은 블록체인 기술을 공공부문에 선도적으로 도입·적용하여 공공서비스를 혁신하고 블록체인 초기시장을 창출하기 위한 것으로, 올해 400여개 국가기관·지자체·공공기관으로부터 수요를 받아 10개 과제를 선별한 후 이 중 10개 컨소시엄(24개 기업)을 선정했다. 예산은 총 70억원이 투입된다. '경찰청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증거 관리 플랫폼' 구축 사업자로는 이노트리와 마크애니가 선정됐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수입식품의 위생증명서 진위 여부 확인 및 원료 정보를 모바일 등으로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식품안전 데이터플랫폼'을 개발한다. 플랫폼 구축 사업자에는 LGCNS, 블루시스, 솔리데오시스템즈가 선정됐다.

Provided by 코인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