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닝 뉴스브리핑] 미 SEC 위원장 "더 이상 '집행에 의한 규제'는 없다" 발언 外

| 강수빈 기자

지난 1시간 2.16억 달러 규모 선물 포지션 강제 청산

주요 거래소에서 지난 1시간 2.16억 달러 규모의 선물 포지션이 강제 청산됐다.

24시간 기준으로는 6.97억 달러 규모의 선물 포지션이 강제 청산됐다.

미 SEC 위원장 "더이상 '집행에 의한 규제'는 없다"

폴 앳킨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장이 네번째 암호화폐 태스크포스 원탁회의에서 "SEC에 새로운 시대가 열렸다"고 밝혔다. 더블록에 따르면 그는 "SEC는 더이상 '집행에 의한 규제' 방식을 고수하지 않을 것이다. 대신 기존의 규칙 제정, 해석 및 면제 권한 등을 활용해 시장 참여자를 위한 새로운 기준을 설정할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앵커리지 디지털, USDM 발행사 마운틴 프로토콜 인수

암호화폐 은행 앵커리지 디지털이 스테이블코인 USDM 발행사 마운틴 프로토콜(Mountain Protocol)을 인수하기로 합의했다고 코인데스크가 전했다. 이와 관련 네이선 맥콜리 앵커리지 디지털 CEO는 "기관 스테이블코인 생태계에서 앵커리지 디지털의 역할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으로 이번 인수를 결정했다. 마운틴의 기술, 인력, 라이선스 구조를 앵커리지 운영 체계에 통합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도이체방크 "스테이블코인, 올해 주류 자산으로 자리잡을 것"

미국의 규제 변화로 인해 스테이블코인이 올해 안에 주류 자산으로 자리잡을 것이라고 도이체방크가 보고서를 통해 진단했다.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도이체방크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암호화폐 법안 추진에 따라 올해 스테이블코인은 주류로 채택될 수 있다. 실제로 스테이블코인은 현재 암호화폐 거래의 3분의 2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속도, 결제 방식, 비용 측면에서 큰 이점을 갖고 있다. 또한 스테이블코인의 83%가 미국 달러에 연동돼 있기 때문에, 스테이블코인은 세계적인 달러 지배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美 부동산 자산관리 업체, 친타이 기반 $1억 토큰화 펀드 출시

미국 부동산 자산 관리 업체 PREH(Patel Real Estate Holdings)가 실물자산(RWA) 네트워크인 친타이(Chintai)를 기반으로 1억 달러 규모의 토큰화 펀드를 출시한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전했다. 해당 펀드는 미국 상위 20개 시장의 빈티지 A클래스 멀티패밀리 주택에 초점을 맞춘 토큰화 투자 수단이라고 PREH는 설명했다.

크립토닷컴, 두바이 재무부와 파트너십...공공서비스 암호화폐 결제 지원

크립토닷컴이 두바이 재무부(DOF)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두바이 정부 미디어가 X를 통해 밝혔다. 파트너십에 따라 크립토닷컴은 두바이 공공서비스 수수료의 암호화폐 결제를 지원한다.

미 뉴욕시장 "뉴욕, 글로벌 암호화폐 수도로 만들 것"

에릭 아담스 미국 뉴욕시장이 뉴욕시를 글로벌 암호화폐 중심지로 조성하겠다고 강조했다.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그는 자신의 관저인 그레이시 맨션에서 "시장 취임 첫날부터 현재까지 내 목표는 변함없다. 뉴욕시를 글로벌 암호화폐 수도로 만드는 것이다. 대기업과 스타트업을 막론하고 테크 및 암호화폐 기업들과 협력해 암호화폐 친화적인 환경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이어 "다음 주 뉴욕시 최초로 크립토서밋을 개최할 예정이며, 민관이 함께 암호화폐 활용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에이다 설립자 "현금 수준 프라이버시 갖춘 스테이블코인 구상 중"

카르다노(ADA) 공동 창립자 찰스 호스킨슨이 현금과 비슷한 수준의 프라이버시를 제공하는 스테이블코인을 구상 중이라고 언급했다. DL뉴스에 따르면 그는 암호화폐 거래 지원 모바일 투자 앱 이토로(eToro) 팟캐스트에 출연해 "사람들은 자신들의 거래 정보가 누구에게나 추적되는 걸 원하지 않을 수 있다. 카르다노는 이미 자체 블록체인에서 3,150만 달러 규모 스테이블코인을 운용 중이며, 세계 최초로 프라이버시 기반 스테이블코인을 개발하는 생태계가 될 수 있다"고 전했다.

웹3 클라우드 너바나 랩스, $600만 투자 유치

웹3 클라우드 인프라 기업 너바나 랩스가 점프크립토와 크루서블크립토가 공동 주도한 시드 연장 라운드에서 600만 달러 투자를 유치했다고 블록웍스가 전했다. 이번 라운드에는 RW3 벤처스, 캐슬아일랜드 벤처스 등이 참여했으며 누적 투자금은 총 1,180만 달러에 달한다.

오픈버스네트워크, $1100만 투자 유치

레이어0(Layer0) 블록체인 인프라 플랫폼 오픈버스네트워크(Openverse Network)가 1100만 달러 투자를 유치했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에는 TB벤처스, 덕다오, 캐스트럼 캐피털 등이 참여했다. 오픈버스네트워크는 투자금을 생태계 구축에 사용할 계획이다.

엑스포넨셜, 디파이 플랫폼 'YO' 출시

디파이 플랫폼 엑스포넨셜(Exponential)이 초보자와 전문가 모두를 위해 설계된 수익 최적화 디파이 플랫폼 'YO'를 출시했다고 더블록이 전했다. YO를 통해 사용자는 베이스, 이더리움, 솔라나 체인에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엑스포넨셜은 앞서 패러다임, 환 벤처스, 폴리곤, 솔라나 벤처스 등으로부터 투자를 유치한 바 있다.

펌프닷펀, 토큰 크리에이터 수익 공유 프로그램 시작

솔라나 기반 밈코인 발행 플랫폼 펌프닷펀이 플랫폼 수익의 50%를 토큰 크리에이터에 분배하는 프로그램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크리에이터는 토큰이 거래될 때 마다 수수료 수익의 0.05%를 SOL로 얻게 된다.

분석 "미·중 관세 합의, BTC보다 주식시장에 더 유리"

미·중 관세 합의가 비트코인보다 주식시장에 더 유리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코인텔레그래프는 "비트코인이 10.5만 달러 부근에서 잠시 상승세를 멈춘 배경엔 거시경제적 상황이 작용했다. 미·중 무역 협상으로 비트코인이나 금과 같은 희소 자산보다 주식시장이 보다 직접적이고 즉각적인 수혜를 입는다고 봤기 때문이다. 수입 관세 인하는 기업의 매출 증가 및 이익률 개선과 맞닿아 있어 주식시장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한다. 비트코인 투자자들의 확신이 부족했던 이유는 관세 조치 중단으로 인한 희소 자산 수요 감소와 관련이 있다. 실제로 관세 합의 발표 후 금 가격이 3.4% 하락했다"고 전했다. 이어 "다만 이달 1일부터 9일까지 미국 BTC 현물 ETF에 20억 달러가 유입된 점을 고려하면 비트코인이 10만 달러 아래로 떨어질 가능성은 낮다. 이는 기관투자자 유입을 의미하며 가격에 긍정적 신호"라고 덧붙였다.

대형 고래 "BTC 지금이 바닥...곧 신고점 경신할 것"

대형 고래 제임스 윈(James Wynn)이 X를 통해 "BTC가 예상대로 102,900 달러까지 하락했다. 롱 포지션 규모를 1.35억 달러로 늘렸다. 지금이 바닥이라고 확신한다. 곧 신고점을 경신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앞서 그는 BTC가 102,900 달러까지 하락해 시장을 한번 청산시킨 뒤 롱포지션을 늘리길 희망한다며, 오늘이나 내일 중으로 BTC가 112,000~116,000 달러까지 오를 것이라 예상한다고 밝힌 바 있다.

2.5억 USDC 신규 발행

웨일 얼럿에 따르면, 2.5억 USDC가 USDC 트레저리의 주소에서 신규 발행됐다.

444,675,084 USDC 이체... 익명 → 세푸

웨일 얼럿에 따르면, 익명 주소에서 세푸 주소로 444,675,084 USDC가 이체됐다. 4.4억 달러 규모다.

265,000,000 USDC 이체... 세푸 → 익명

웨일 얼럿에 따르면, 세푸 주소에서 익명 주소로 265,000,000 USDC가 이체됐다. 2.6억 달러 규모다.

미 증시 3대 지수 상승 마감

미국 증시 3대 지수가 상승 마감했다.

S&P500: 3.2%

나스닥: 4.3%

다우: 2.8%

분석 "BTC, CPI 지표 앞두고 단기 조정"

BTC가 105,819 달러를 기록한 이후 하락을 지속, 102,000 달러를 하회한 가운데 이는 단기적인 기술적 조정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코인텔레그래프는 "13일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를 앞두고 매도세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전통 금융권 내 BTC 도입 속도 및 암호화폐 규제 환경 개선 가능성 등 시장 구조와 기본 요인이 여전히 강세를 보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BTC, $10.1만 하회 시 $9.34억 롱 포지션 강제 청산

코인글래스에 따르면 BTC가 10.1만 달러를 하회할 경우 주요 중앙화 거래소에서 9.34억 달러 상당 롱 포지션이 강제청산 된다. 10.4만 달러 돌파 시엔 9.15억 달러 상당 숏 포지션이 청산된다. 코인마켓캡 기준 BTC는 현재 0.91% 내린 102,988 달러에 거래 중이다.

BTC $102,000 상회

코인니스 마켓 모니터링에 따르면 BTC가 102,000 달러를 상회했다. 바이낸스 USDT 마켓 기준 BTC는 102,012.66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BTC $101,000 하회

코인니스 마켓 모니터링에 따르면 BTC가 101,000 달러를 하회했다. 바이낸스 USDT 마켓 기준 BTC는 100,942.6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BTC $102,000 하회

코인니스 마켓 모니터링에 따르면 BTC가 102,000 달러를 하회했다. 바이낸스 USDT 마켓 기준 BTC는 101,956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지난 1시간 1.15억 달러 규모 선물 포지션 강제 청산

주요 거래소에서 지난 1시간 1.15억 달러 규모의 선물 포지션이 강제 청산됐다.

24시간 기준으로는 5.88억 달러 규모의 선물 포지션이 강제 청산됐다.

지난 1시간 1.1억 달러 규모 선물 포지션 강제 청산

주요 거래소에서 지난 1시간 1.1억 달러 규모의 선물 포지션이 강제 청산됐다.

24시간 기준으로는 5.06억 달러 규모의 선물 포지션이 강제 청산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