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정 뉴스브리핑] 암호화폐 시장 자금, BTC에서 ETH로 이동 중…비트마인 대량 매집 영향 外

| 강수빈 기자

암호화폐 시장 자금, BTC→ETH로 이동 중

암호화폐 시장 자금이 BTC에서 ETH로 이동하고 있다고 온체인 애널리스트 윌리 우가 분석했다. 그는 "ETH로의 일일 자금 순유입 규모가 9억 달러에 달한다. BTC ETF 유입 규모와 비슷한 수준이다. 이 같은 흐름은 ETH에 전략 투자하고 있는 비트마인의 ETH 대규모 매집으로 촉발됐다"고 설명했다. 한편 비트마인은 현재 150만 ETH(66억 달러)를 보유 중이다.

미 암호화폐 업계 “개발자, 비수탁 서비스업체 보호 조항 마련해야”

코인베이스 등 미국 내 암호화폐 기업 및 단체 112곳이 상원의원들에게 서한을 보내고 “디지털 자산 시장구조 법안(CLARITY)에 개발자, 비수탁형 서비스 제공자 보호 조항을 넣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블록웍스에 따르면 이들은 팀 스콧 상원의원 등 4명에게 “해당 법안이 현재 안대로 통과될 경우, 암호화폐 개발자들은 자금송금업자로 분류될 위험이 있다. 이는 오픈소스 혁신을 저해하게 될 것이다. 실제로 미국 내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개발자 비중은 2021년 25%였으나 2025년 18%로 크게 감소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DDC 엔터프라이즈, 120 BTC 추가 매수

뉴욕증권거래소 상장 이커머스 기업 DDC 엔터프라이즈가 120 BTC를 추가 매수했다고 비즈니스와이어가 전했다. 매입 평단가는 108,384달러다. 현재 DDC 엔터프라이즈는 1008 BTC를 보유 중이다.

12년 휴면 고래, 750 BTC 바이낸스 입금

12년 휴면 고래 주소가 약 1시간 전 바이낸스에 750 BTC(8311만 달러)를 입금했다고 더 데이터 너드가 전했다. 해당 고래는 BTC가 122 달러일 때 해당 물량을 수령했으며, 예상 수익은 8300만 달러다.

유니코인, SEC 소송 기각 요청 방침

유니코인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소송을 기각시켜달라고 법원에 요청할 계획이라고 디크립트가 전했다. 유니코인 측은 SEC가 회사의 주요 공시를 제대로 해석하지 않았다는 입장이다. 특히 게리 겐슬러 당시 SEC 위원장이 정치적인 이유로 유니코인에게 억지 소송을 제기했다고 주장했다. 앞서 SEC는 유니코인 토큰이 부동산을 포함한 실물자산으로 뒷받침된다고 투자자들을 속이고, 미등록증권을 판매해 1억달러 이상 모금했다며 소송을 제기했다.

아바랩스, RWA 토큰화 담보 대출 플랫폼 '호라이즌' 출시

아발란체(AVAX) 개발사 아바랩스가 실물자산(RWA) 토큰화를 담보로 스테이블코인 대출을 제공하는 플랫폼 '호라이즌'을 출시했다고 더블록이 전했다. 호라이즌은 토큰화 미국 국채 등을 담보로 기관에게 USDC, RLUSD, GHO 등 스테이블코인 대출을 제공한다.

만트라, $2500만 바이백 진행 계획

RWA(실물자산) 토큰화 플랫폼 만트라(OM)가 X를 통해 2500만 달러 규모 OM 토큰 바이백을 진행한다고 전했다.

탈중앙화 AI 프로토콜 스웜, $1300만 투자 유치

탈중앙화 AI 프로토콜 스웜네트워크가 1300만 달러 규모 투자를 유치했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금 중 1000만 달러는 수이(SUI) 네트워크에서 진행된 에이전트 라이선스 세일을 통해 조달했다. 스웜은 투자금을 롤업 뉴스 기능 확장과 프록시 레이어 배포에 사용할 예정이다.

2.5억 USDC 신규 발행

웨일 얼럿에 따르면, 2.5억 USDC가 USDC 트레저리의 주소에서 신규 발행됐다.

WBTC 매집 고래, $1447만 WBTC 추가 매수

암호화폐 대출 프로토콜 아베(AAVE)에서 레버리지를 활용해 WBTC를 대량 매집한 주소가 20분 전 1447만 USDT를 대출받아 132 WBTC를 추가 매수했다고 엠버CN이 전했다. 해당 주소는 하루 동안 평단가 11만 762달러에 500.2 WBTC(5540만 달러)를 매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디파이앱, $400만 투자 유치

더블록에 따르면 디파이 거래 플랫폼 디파이앱(DeFi.app)이 400만 달러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 이번 투자는 메커니즘 캐피털이 주도했으며 DCF 캐피털 파트너스, 코인베이스 전 최고기술책임자(CTO) 발라지 스리니바산, 컴피 캐피털, 조지 볼 그룹 등이 참여했다.

딥코인, 빗썸 트래블룰 연동 거래소 합류

빗썸이 트래블룰 솔루션(CODE) 연동 거래소에 딥코인을 추가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동을 통해 딥코인은 빗썸, 코인원, 고팍스 등 한국 주요 3대 거래소와 트래블룰 연동을 완료했다. 이와 함께 바이낸스, 바이비트, OKX 등 글로벌 대형 거래소와의 입출금 연동도 지원하게됐다.

오렌지엑스, 빗썸 트래블룰 연동 대상에 추가

빗썸이 트래블룰 솔루션(CODE) 연동 대상 거래소로 오렌지엑스(OrangeX)를 신규 추가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연동으로 오렌지엑스는 빗썸·업비트·코인원·고팍스 등 국내 주요 원화 거래소 4곳과 트래블룰 연동을 완료했으며, 바이낸스·바이빗·OKX 등 글로벌 거래소와도 입출금이 가능하다. 오렌지엑스는 이번 협력을 통해 국내외 연결성을 한층 강화하고 이용자들에게 더욱 안전하고 편리한 디지털자산 거래 환경을 제공하게 됐다고 밝혔다.

포필러스 "AI 에이전트 플랫폼 리콜, 에이전트 검색 엔진으로 진화 가능성"

글로벌 암호화폐 리서치 업체 포필러스가 최근 '리콜:AI 에이전트의 온체인 아레나' 보고서를 통해 리콜에 주목했다. 보고서는 “리콜은 검증 가능한 성능 데이터와 평판 스코어를 기반으로 에이전트를 표준화하고, 장기적으로는 필요한 에이전트를 빠르고 정확하게 탐색할 수 있는 인프라를 제공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리콜은 실시간 시뮬레이션 환경에서 에이전트가 경쟁하는 동적 벤치마크를 운영하고,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순위를 매긴다. 리콜은 탈중앙화 예측시장 폴리마켓과 구글 페이지랭크의 성공 모델을 결합해, 신뢰도 높은 벤치마크와 검색 엔진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가능성이 있다. 향후 ‘에이전트 인터넷’의 첫 번째 접점으로 자리잡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하이퍼리퀴드, XPL 사태 관련 "프로토콜 정상 작동”

하이퍼리퀴드가 오늘 XPL/USD 레버리지 마켓에서 수 분간 가격 급등이 발생하며 큰 변동성이 나타났지만, 하이퍼리퀴드 프로토콜은 설계대로 정상 작동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당시 오더북 기반 청산이 우선 실행됐으며, 이후 프로토콜 설계에 따라 자동 디레버리징(ADL) 단계로 넘어갔다. 하이퍼프는 포지션별 격리 마진 구조를 채택하고 있어 특정 자산군에서 발생한 손익이 다른 자산에 전가되지 않았다. 이 과정에서 프로토콜 차원의 부실채무는 발생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바이낸스 알파, HEMI 추가

바이낸스 알파가 8월 29일 13시(한국시간) HEMI를 추가한다고 공지했다. 이와 함께 같은 날 13시 30분 HEMI/USDT 무기한 선물을 상장한다. 바이낸스 알파는 바이낸스 월렛 내 온체인 거래 플랫폼으로, 초기 단계 코인을 집중적으로 상장하고 있다. 알파 코인은 추후 바이낸스 현물, 무기한 선물에도 상장될 수 있지만 100% 보장되는 건 아니다.

바이낸스 알파, XLAB 추가

바이낸스 알파가 XALB를 추가한다고 공지했다. 바이낸스 알파는 바이낸스 월렛 내 온체인 거래 플랫폼으로, 초기 단계 코인을 집중적으로 상장하고 있다. 알파 코인은 추후 바이낸스 현물, 무기한 선물에도 상장될 수 있지만 100% 보장되는 건 아니다.

바이낸스, DOLO 상장...호들러 에어드롭

바이낸스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33번째 호들러 에어드롭 프로젝트에 DOLO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오는 28일 01시(한국시간)에 DOLO가 상장될 예정이다.

업비트, KAIA 기반 USDT 입출금 지원

업비트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8월 28일 11시부터 USDT 입출금 가능 네트워크에 카이아(KAIA)를 추가 지원한다고 공지했다.

미 증시 3대 지수 하락 출발

미국 증시 3대 지수가 하락 출발했다.

S&P 500: -0.09%

나스닥: -0.15%

다우: -0.01%

김치프리미엄 0% 기록

BTC 김치프리미엄 0% 기록.

업비트 = 155,367,000 원

바이낸스 = 155,372,761 원

USDT = 1,399 원

차액 = -5,761 원

분석 “BTC, 연말까지 $16만 도달 가능”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암호화폐 애널리스트인 티모시 피터슨(Timothy Peterson)이 "BTC는 올해 연말까지 16만 달러에 도달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는 “역사적으로 비트코인은 크리스마스까지 이어지는 4개월 동안 70% 확률로 상승했으며, 평균 상승률은 약 44%였다. 다만, 2018년, 2022년, 2020년, 2017년은 현재의 시장·경제 조건과는 다른 예외적인 시기였다”고 덧붙였다.

BTC $112,000 상회

코인니스 마켓 모니터링에 따르면 BTC가 112,000 달러를 상회했다. 바이낸스 USDT 마켓 기준 BTC는 112,014.5달러에 거래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