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연방 정부, 현 시간부로 셧다운 돌입
미국 의회의 예산안 처리 실패에 따라 연방 정부가 현 시간(한국시간 10월 1일 13시 1분)부로 셧다운(일시적 업무 정지)에 돌입하게 됐다. 이에 따라 고용 및 국내총생산(GDP) 등 주요 경제 지표 발표가 중단되며, 수십만명의 연방 직원은 자택 대기 조치에 처해진다. 미국 연방 정부 셧다운은 2018년 12월 22일 이후 약 7년 만이다.
메타플래닛, 5268 BTC 추매
비트코인을 주요 자산으로 편입한 일본 상장사 메타플래닛이 5268 BTC를 추가 매수했다고 X를 통해 발표했다. 메타플래닛은 현재 3만823 BTC를 보유 중이다.
BTC 현물 ETF 6048억원 순유입
9월 30일(현지시간) 미국 비트코인 현물 ETF에 총 4억2990만 달러(6048억원)가 순유입됐다고 파사이드 인베스터가 전했다. 2거래일 연속 순유입이다. 블랙록 IBIT에 1억9940만 달러, 피델리티 FBTC에 5470만 달러, 아크인베스트 ARKB에 1억570만 달러가 순유입됐으며 순유출이 나타난 ETF는 없었다.
ETH 현물 ETF 1800억원 순유입
9월 30일(현지시간) 미국 이더리움 현물 ETF에 총 1억2750만 달러(1800억원)가 순유입됐다고 파사이드 인베스터가 전했다. 2거래일 연속 순유입이다. 블랙록 ETHA에만 1억2750만 달러가 순유입됐고, 나머지 ETF에는 유출입이 없었다.
9월 ETH 현물 ETF 4060억원 순유입
지난 달 미국 ETH 현물 ETF에 2억 8900만 달러(약 4070억원)가 순유입됐다고 트레이더T가 전했다. 전달 38억 달러에 비해 크게 줄어든 규모다. 블랙록 ETHA에 3억1800만 달러가 순유입됐으며, 그레이스케일 ETH에 5000만 달러가 유입됐다. 피델리티 FETH에서는 5200만 달러가 순유출됐다.
시그넘 뱅크, BTC 알파 펀드 출시
스위스 암호화폐 은행 시그넘이 비트코인 가격 변동에 대한 익스포저를 줄이지 않으면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BTC 알파 펀드를 출시했다고 코인데스크가 전했다. 펀드는 전문 투자자와 기관 투자자를 대상으로 하며, 수익은 비트코인으로 지급된다.
1인치, 디파이 주력 리브랜딩 추진
탈중앙화 거래소 1인치(1INCH)가 싱가포르 토큰2049에서 리브랜딩을 추진한다고 발표했다. 공식 웹사이트 주소도 1inch.com으로 변경된다. 1인치는 “리브랜딩은 디파이 확산을 위한 간소화의 일환이다. 현재 1인치는 ISO 27001, SOC 2 인증 절차를 진행해 보안 및 리스크 관리 수준을 높이고 기관 투자자들과의 파트너십 확대를 위한 기반을 마련 중이다. 향후 크로스체인 솔루션 제공 등 기능 확장도 계획돼 있다“고 설명했다.
MEXC 벤처스, 에테나 투자금 $3000만 추가
MEXC 벤처스가 스테이블코인 USDe 발행 프로토콜 에테나(ENA) 투자를 총 6600만 달러로 증액했다고 코인데스크가 전했다. 기존(3600만 달러) 대비 3000만 달러가 늘었다. 투자금 중 1400만 달러는 ENA 매입에 사용될 예정이다.
포사이트 벤처스, $5000만 스테이블코인 인프라 펀드 출시
포사이트 벤처스(Foresight Ventures)가 토큰2049에서 5000만 달러 규모의 스테이블코인 인프라 펀드 출시를 발표했다고 더블록이 전했다.
드래곤플라이 임원 "토큰화 주식, 암호화폐 산업에 실질적 혜택 없다"
토큰화 증권이 전통 금융 시장에는 매력적인 전략이 될 수 있지만 암호화폐 산업이 수혜를 입을 가능성은 낮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암호화폐 벤처캐피털 회사 드래곤플라이 제너럴 파트너 롭 헤딕은 코인텔레그래프와의 인터뷰에서 "토큰화 증권은 수익 모델에도 유리한 구조이다. 하지만 주요 블록체인이 실질적 혜택을 누릴지는 의문이다"고 설명했다.
BNB체인 X 계정 해킹 추정
BNB체인 공식 X 계정이 해킹된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BNB체인 X 스레드 최상단에는 5번째 에어드롭을 추진한다며 특정 주소로 연결되는 링크가 첨부된 글이 올라 있지만, 공식 홈페이지에선 해당 내용을 찾을 수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텔레그램 CEO "힘든 상황 BTC가 유일한 생명줄이었다"
텔레그램 CEO 파벨 두로프가 지난 2013년 비트코인 수 천 개를 매수했고 그 덕분에 힘든 시절을 버티고 이겨낼 수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법정화폐의 영속성은 장담할 수 없지만 비트코인은 영원히 존재할 것이다”고 덧붙였다.
톰리 "BTC $14만, ETH $2.2만 간다"
펀드스트랫 설립자 겸 비트마인 회장 톰 리는 "현재 BTC 네트워크 가치는 금의 10% 정도인데, 현 수준에서도 BTC는 단기적으로 14만 달러까지 상승할 수 있다"고 토큰2049에서 전망했다.
갤럭시디지털, $527만 ASTER 게이트서 출금
갤럭시디지털 관련 주소(0xFB3으로 시작)가 7시간 전 게이트아이오에서 319만 ASTER(527만 달러)를 출금했다고 온체인 애널리스트 ai_9684xtpa가 전했다. 이 주소는 현재까지 6453만 ASTER(1.06억 달러)를 매집했다.
GSR마켓, $330만 LINK 바이낸스 입금
아캄 데이터에 따르면 암호화폐 마켓 메이커 GSR마켓으로 라벨링된 주소가 8시간 전 바이낸스에 15.3만 LINK(330만 달러)를 입금했다.
바이낸스 알파 EVAA 추가
바이낸스 알파가 EVAA를 추가한다고 공지했다. 바이낸스 알파는 바이낸스 월렛 내 온체인 거래 플랫폼으로, 초기 단계 코인을 집중적으로 상장하고 있다. 이와 함께 바이낸스는 EVAA 선물도 상장한다.
앱토스, USD1 지원
앱토스(APT)가 월드리버티파이낸셜(WLFI)의 스테이블코인 USD1을 지원한다고 공지했다.
24시간 암호화폐 무기한 선물 강제청산 규모
최근 24시간 암호화폐 무기한 선물 강제청산 규모 및 청산 비율은 다음과 같다.
ETH 청산 규모: $8887만, 청산 비율: 롱 57.23%
BTC 청산 규모: $4597만, 청산 비율: 숏 56.54%
XPL 청산 규모: $3966만, 청산 비율: 롱 65.29%
3대 선물 거래소 BTC 무기한 선물 롱숏 비율
미결제약정 기준 세계 3대 암호화폐 선물 거래소 내 최근 24시간 BTC 무기한 선물 롱·숏 포지션 비율은 다음과 같다.
전체 거래소: 롱 49.3%/ 숏 50.7%
1. 바이낸스: 롱 50.69% / 숏 49.31%
2. 바이비트: 롱 50.88% / 숏 49.12%
3. 게이트아이오: 롱 49.98% / 숏 50.02%
업비트 SOMI 상장
업비트가 솜니아(SOMI)를 10월 1일 16시(예정) 원화, BTC, USDT 마켓에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빗썸 SOMI 상장
빗썸이 솜니아(SOMI)를 10월 1일 16시 원화 마켓에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빗썸, 10/5 서비스 일시 중단
빗썸이 내부 시스템 업그레이드 작업으로 오는 5일 1시부터 7시 30분까지 전체 서비스를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빗썸, KSM 입출금 일시 중단
빗썸이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쿠사마(KSM) 네트워크 이전 지원에 따라 오는 7일 12시부터 KSM 입출금을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바이낸스, TRUMP/JPY 현물 거래 페어 상장
바이낸스가 10월 3일 17시(한국시간) TRUMP/JPY 현물 거래 페어를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