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빗, 21일 12시 LDO 신규 상장]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코빗이 방금 전 공식 사이트를 통해 오는 21일 12시 리도다오(LDO)를 신규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지갑 생성 및 입금은 20일 12시 오픈된다. 코인마켓캡 기준 LDO는 현재 11.14% 오른 1.60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LG그룹, NFT 시장 진출 움직임...美 상표 출원]
미국 변리사 마이크 콘두디스(Mike Kondoudis)가 트위터를 통해 "LG그룹이 최근 NFT 관련 상표를 출원했다"고 밝혔다. 출원 항목에는 NFT 민팅 및 거래를 위한 TV 소프트웨어, NFT 및 암호화폐 거래 소프트웨어, 디지털 토큰 브로커리지 등이 포함됐다.
[넷마블 마브렉스, 해치랩스-크로스랩과 MOU...블록체인 생태계 확장]
더구루 단독 보도에 따르면, 넷마블의 블록체인 프로젝트 마브렉스(MBX)가 최근 해치랩스, 크로스랩과 MBX 블록체인 생태계 확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브렉스는 이번 파트너십 구축을 통해 분산형 금융(DeFi·디파이) 분문 강화에 집중하고 추후 넷마블의 블록체인 기반 게임 개발의 토대를 구축할 계획이다. 또 마브렉스는 해치랩스와 함께 웹3 보안, 암호화 지갑 사용자 경험을 강화할 계획이며 크로스랩과는 블록체인, 거래 등 블록체인 메트릭을 시각화하는 시스템의 기능을 강화한다. 코인마켓캡 기준 MBX는 현재 0.71% 오른 8.24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美 법원, 보이저디지털 법인카드 사용 요청 수용]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포스트에 따르면 뉴욕 법원이 긴급 청문회를 열고 최근 챕터11 파산(자발적 파산)을 신청한 보이저디지털(VGX)의 법인카드 사용을 허가해달라는 요청을 받아들였다. 보이저디지털은 그간 거래처에 필요한 비용을 지불할 때 법인카드를 사용해왔는데, 파산 신청 이후 카드 대금을 납부하지 못하면서 해당 카드는 사용이 정지됐었다. 이에 보이저디지털은 법원에 다시 법인카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요청했다. 이와 관련해 미디어는 "마이클 와일즈(Michael Wiles) 판사는 즉각적이고 회복 불가능한 손해를 막기 위해 카드 사용을 승인했으나, 보이저 측이 자신들의 요구에 대한 충분한 필요성을 입증하지는 못했다고 지적했다"고 설명했다.
[하이브 블록체인 2022년 회계연도 매출 전년 比 212%↑]
캐나다 상장 채굴기업 하이브 블록체인(Hive Blockchain)이 지난 3월 31일로 끝난 2022회계연도 매출이 2억1120만 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212% 증가한 것이다. 순익은 사상 최대치인 7960만 달러로 지난해의 2410만 달러를 크게 뛰어넘었다. 또 이 기간 하이브 블록체인의 비트코인(BTC) 해시레이트는 지난해 대비 545% 증가한 2 엑사해시(EH/s)를, 이더리움(ETH) 해시레이트는 225% 증가한 6,100기가해시GH/s를 기록했다.
[파이낸셜 타임즈 "일본 암화화폐 자율규제 실험, 실패 수순"]
일본 암호화폐 업계의 자율 규제 실험이 실패 수순을 밟으며 제대로 작동하고 있지 않다고 파이낸셜 타임즈가 보도했다. 이와 관련해 미디어는 "암호화폐 산업 자율 규제에 대한 세계적인 선례를 만들기 위해 지난 2018년 설립된 일본가상화폐거래소협회(JVCEA)는 최근 몇 달간 여러 사안에서 내부적으로 의견 불일치가 많았고, 최근에는 노동조합이 결성되기도 했다. 또 자금세탁방지 규정 도입 지연과 회원사와 사무국 간 커뮤니케이션 문제로 일본 금융청(FSA)으로부터 두 차례 강도 높은 경고 조치를 받기도 했다. JVCEA는 인력이 부족한 데다 전문성도 확보되지 못해 여러 방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설명했다.
[펙실드 "라쿤네트워크·프리덤프로토콜 스캠...2,000만 BUSD 갈취"]
펙실드가 방금 전 트위터를 통해 "BNB체인 기반 웹3.0 기반 메타버스 게임 플랫폼 라쿤네트워크(RAC)와 디파이 프토토콜 프리덤프로토콜(FREE)은 스캠인 것으로 감지됐다. 해당 프로젝트들의 토큰 RAC와 FREE는 99%가 넘는 낙폭을 그리며 급락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해당 프로젝트 개발진은 이미 0xf800으로 시작하는 주소로 IDO 조달 자금 2,000만 BUSD를 이체했다"고 설명했다.
[트라이브캐피털, 리퍼블릭릭 캐피털 공동 창업자 영입...암호화폐 펀드 총괄]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운용자산 규모가 15억 달러 이상인 벤처 캐피털 트라이브 캐피털(Tribe Capital)이 보리스 레브신(Boris Revsin) 리퍼블릭 캐피털 공동 창업자를 암호화폐 펀드 및 인큐베이션 프로그램 운용 파트너로 영입했다. 보리스 레브신은 운용자산이 9억 달러 이상인 리퍼블릭 캐피털에서 투자 책임자 등을 역임한 바 있다. 트라이브 캐피털의 전체 운용자산 중 암호화폐 펀드는 약 30%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트러스트월렛, 로닌네트워크 연동 지원]
멀티체인 비수탁형 암호화폐 월렛 트러스트월렛(Trust Wallet)이 20일 공식 채널을 통해 엑시인피니티(AXS) 개발사 스카이마비스(Sky Mavis)가 자체 개발한 이더리움 사이드체인 로닌네트워크(RON) 연동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트러스트월렛에서 직접 RON 토큰을 보관, 전송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코인마켓캡 기준 RON은 현재 3.60% 오른 0.4759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콜롬비아, 암호화폐 관련 기업 규제 초안 공개]
디크립트에 따르면 콜롬비아 금융 규제 기관인 콜롬비아 금융감독국이 자국 내에서 사업을 운영하는 암호화폐 회사에 대한 규제 초안을 최근 발표했다. 이 초안에는 자금세탁방지 및 테러자금조달방지 관련 시스템, 보안·암호화폐 거래 추적 시스템 마련 등의 내용이 담겼다. 금융감독국은 해당 초안에 대한 의견을 8월 12일까지 수렴해 최종안에 반영할 계획이다. 디크립트는 콜롬비아의 이번 초안 발표가 현지 은행들의 암호화폐 거래 허용 가능성을 높이는 움직임이라고 진단했다.
gerrard@tokenpost.kr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