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금감원장, 7조 해외송금에 "의혹 철저히 밝히고 책임추궁"]
뉴시스에 따르면,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28일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 전체회의 참석해 시중은행들에서 벌어진 거액의 이상 해외송금 사건과 관련해 의혹을 철저히 밝히고 책임을 묻겠다고 밝혔다. 이날 그는 7조원 가까이 추정되는 시중은행에서의 이상 해외송금과 관련 "유관기관이랑 의사소통이 이뤄지고 있다. 중국과 홍콩으로 나간 금액도 상당 부분 차지하고 있다"며 "외환거래와 관련된 가상자산 계좌에서의 유출 이런 차원에서는 점검을 하고 있다"면서 "관련된 의혹에 대해서는 철저히 밝히고 시정조치나 책임자에 대한 책임추궁을 하겠다"고 강조했다.
[검찰, '루나·테라 사태' 압수수색 일주일여만에 종료]
연합뉴스에 따르면 루나(LUNC) 폭락 사태를 수사하는 서울남부지검 금융증권범죄합동수사단이 이달 20일부터 27일까지 일부 거래소에 대해 실시하고 있던 압수수색 영장 집행을 마무리했다. 검찰 관계자는 "수사에 필요한 거래소 디지털 자료들에 대한 포렌식 작업이 오래 걸렸다"고 설명했다. 검찰은 이달 20일 가상자산 거래소 7개뿐만 아니라 루나 발행사인 테라폼랩스의 관계 법인들, 관련 인물들의 자택 등 총 15곳을 압수수색했다. 이번 압수수색으로 검찰은 권도형 테라폼랩스 대표와 공동창립자인 신현성 티몬 이사회 의장 등의 거래 내역과 알고리즘 스테이블 코인의 개발 과정, 자금 흐름과 관련된 자료들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더리움 테스트넷 Goerli/Prater 머지, 8월 4일부터 두번에 걸쳐 진행]
이더리움(ETH) 재단이 28일 공식 블로그를 통해 이더리움 테스트넷 Goerli/Prater의 머지(PoS 전환)가 8월 4일부터 두번에 걸쳐 진행되며, 머지 이후 명칭은 골리(Goerli)로 유지 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구체적으로 한국시간 기준 8월 4일 21시 24분(예상시간) 머지를 위한 프라터 업그레이드(벨라트릭스, Bellatrix)가 진행된다. 벨라트릭스가 활성화된 후 골리/프라터 머지는 골리 난이도가 10,790,000에 도달하면 (예상시간 8월 6~12일 사이) 진행된다. 머지 후 골리 검증자 세트는 개별 스테이커가 테스트넷 검증을 실행할 수 있도록 개방된 상태로 유지된다.
[디지털자산기본법, 이르면 10월 가닥.. 코인 불법거래 엄벌]
이데일리에 따르면 루나·테라 사태 재발을 방지하고 투자자 보호를 위한 디지털자산기본법이 이르면 10월께 가닥이 잡힐 전망이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28일 오전 국회 정무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업무보고를 통해 이같은 ‘가상자산 규율체계 정립’, ‘금융산업의 미래 준비 및 금융혁신 지원’ 방안을 각각 보고했다. 금융위는 가상자산을 증권형·비증권형으로 나눠 각각 다른 규제를 적용하기로 했다. 증권형은 투자자 보호장치가 마련된 자본시장법 규율 체계에 따라 발행될 수 있도록 시장여건 조성 및 규율체계를 확립할 계획이며, 비증권형은 국회 계류 중인 법안을 중심으로 디지털자산 기본법을 제정해 발행·상장·불공정거래 방지 등을 제도화한다. 아울러 법무부, 검찰·경찰, 금감원 등과 긴밀히 협조해 가상자산을 활용한 불법거래(사기, 탈세 등)에 대해 단호히 대처하겠다고 금융위는 밝혔다.
[미 CFTC, SEC 9종 암호화폐 증권 분류에 불만..."일부는 상품 해당"]
최근 미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코인베이스에 상장된 7개 암호화폐가 증권이라고 주장한 가운데,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 내부에서 이중 일부는 상품에 해당한다는 주장이 나왔다고 블룸버그가 복수 소식통을 인용해 전했다. 또한 소식통은 CFTC 역시 코인베이스의 내부자 거래 의혹에 대해 자체 조사 중이었으나 SEC 개입으로 인해 조사를 연기했다고 밝혔다. 한 소식통은 "일부 CFTC 위원들은 이번 SEC 사건이 파생상품 규제 담당 기관(CFTC)이 디지털자산 추적을 위해선 허가가 필요하다는 선례를 남길 수도 있다며 우려를 보였다"고 전했다. 현행법상 상품을 기반으로 한 파생상품 시장 감독은 CFTC 관할이다. 전 CFTC 집행국장 아이탄 골만(Aitan Goelman)은 "비트코인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암호화폐를 증권으로 간주 시 코인베이스는 물론 암호화폐 시장 전반에 실존적 위협을 가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앞서 캐롤라인 팸(Caroline Pham) CFTC 위원은 "만약 SEC가 해당 토큰을 증권이라 보지 않고, 사건에 개입하지 않았다면 이는 CFTC가 관할해야 하는 일"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퀀텀이코노믹스 CEO "연준 자이언트스텝에도 암호화폐 반등, 일종의 안도 랠리"]
전날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성명을 통해 두 달 연속 기준금리 75bp 인상을 밝힌 가운데, BTC를 필두로 암호화폐 전반이 반등세를 나타냈다. 이와 관련 암호화폐 투자 컨설팅업체 퀀텀이코노믹스(Quantum Economics) 창업자 마티 그린스펀(Mati Greenspan)은 코인텔레그래프와의 인터뷰에서 "투자자들은 분명 더 나쁜 소식을 예상하고 대비하고 있었다. 75bp 인상은 시장의 예상치와 부합했기 때문에 암호화폐 시세가 일종의 안도 랠리를 펼치며 반등한 것"이라고 진단했다. 또 호주 암호화폐 거래소 스위프트엑스(Swyftx) 소속 애널리스트 파브 훈달(Pav Hundal)은 "전날 연준의 자이언트스텝 금리 인상에도 시장의 반응이 긍정적이어서 놀랐다. 미국은 곧 GDP 데이터를 발표할 것이고, 이는 암호화폐 시장에 상대적으로 큰 스트레스 테스트가 될 것이다. 어떤 부정적인 소식도 최근의 상승세를 꺾어버릴 수 있다. 반대로, 거시 환경이 개선되면 글로벌 암호화폐 시총이 1조 달러선에서 안정되고 이를 발판삼아 반등하는 모습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바이프로스트 "곧 메인넷 출시"]
멀티체인 미들웨어 플랫폼 바이프로스트(BFC)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곧 메인넷을 런칭한다고 발표했다. 앞서 코인니스는 바이프로스트가 700억원 규모의 에코 펀드를 출범하고, 유망 블록체인 프로젝트와 우수 디앱을 유치할 계획이라고 전한 바 있다. 코인마켓캡 기준 BFC는 현재 19.12% 오른 0.07926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이더리움클래식 네트워크 전체 해시레이트 24.35 TH/s...전월 比 14% 상승]
알트코인 채굴풀 2마이너스에 따르면, 28일 기준 이더리움클래식(ETC) 네트워크 전체 해시레이트가 24.35 TH/s를 기록하며 전월 대비 약 14%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비탈릭 부테린 이더리움(ETH) 공동 창업자는 최근 한 포럼에서 "PoW를 좋아하는 채굴자들은 이더리움클래식(ETC)으로의 마이그레이션을 고려할 수 있다. ETC는 훌륭한 체인"이라고 말한 바 있다. 코인마켓캡 기준 ETC는 현재 29.57% 오른 32.82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에이프코인 DAO, BAYC 전문 미디어 '보어드에이프가제트'에 보조금 지원]
BAYC 및 MAYC 생태계 연계 토큰 에이프코인(APE) DAO에서 28일 BAYC 생태계 전문 미디어 보어드에이프가제트(Bored Ape Gazette)에 보조금 지원 내용을 골자로한 거버넌스 제안 AIP-70이 찬성율 87.88%로 최종 통과됐다. 이에 따라 에이프코인 DAO는 생태계 개발 지원 펀드를 통해 첫 한해 동안 약 15만 달러의 보조금을 보어드에이프가제트에 지원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 보어드에이프가제트 측은 "보조금은 가제트 플랫폼 내 기능 강화 및 개발에 사용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APE는 현재 17.51% 오른 6.68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영국 법률위원회 "암호화폐·NFT, 새로운 유형의 재산으로 간주해야"]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영국 법률위원회가 암호화폐 및 NFT를 새로운 유형의 재산(Property)으로 간주해야 한다는 내용의 자문 보고서를 발표했다. 기존 재산법이 디지털자산의 다기능 및 고유한 특성을 충분히 수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아예 새로운 유형으로 분류, 디지털자산 산업과 사용자에게 강력한 법적 기반을 제공한다는 취지다. 이를 통해 투자자들이 해킹 또는 사기로 인한 손실을 보다 수월하게 배상받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위원회는 데이터베이스, 소프트웨어, 디지털 기록, 도메인, 암호화 등 전자 형식의 데이터로 구성된 개체를 '데이터 개체(data objects)'라는 새로운 범주에 포함하도록 제안했다. 위원회는 이에 관해 11월 4일(현지시간)까지 법률 및 기술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한편, 최근 영국 의회에 스테이블코인 결제 도입을 포함한 금융규제 완화법이 상정된 바 있다.
gerrard@tokenpost.kr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