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72명 중 44명 "연준 9월 기준금리 75bp 인상 전망"]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경제학자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설문조사에서 72명의 전문가 중 44명의 전문가가 9월 연준이 기준 금리를 75bp 인상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경제학자 35명 중 29명은 기준금리 정점 도달 후 연준이 정책 금리를 장기간 유지할 가능성이 더 크다고 진단했다.
[檢, 루나 증권성 조사…자본시장법 위반 수사 돌입하나]
서울경제에 따르면 루나(LUNC)·테라USD(UST) 폭락 사태를 수사 중인 검찰이 루나를 증권이라고 볼 수 있는지 검토 중에 있다. 루나·UST와 이를 활용한 디파이(탈중앙화금융)의 증권성이 인정되면 사기 혐의 입증을 중심으로 진행되던 검찰 수사가 자본시장법 위반 전반으로 확대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서울남부지검 루나·테라 수사팀은 금융감독원 등 금융당국의 입장은 물론 가상자산 전문가들도 참고인으로 소환 조사하는 등 루나의 증권성 여부에 대해 여러 의견을 청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이 루나·테라에 증권성이 있다고 판단할 경우 시세 조종 같은 불공정 거래를 자본시장법 위반 혐의로 기소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업계에선 코인 같은 가상자산은 특정 주체의 노력 여부에 따라 가격이 결정되지 않는 '탈중앙화된 자산'이기 때문에 증권이 아니라 상품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 때문에 검찰이 내놓을 결론에 가상자산 시장의 이목도 집중돼있다.
[스타크웨어, 자체 개발 프로그래밍 언어 카이로 1.0 발표]
이더리움(ETH) 레이어2 확장성 네트워크 스타크넷(StarkNet) 개발사 스타크웨어(StarkWare)가 자체 개발한 튜링 완전(Turing-complete) 기반 프로그래밍 언어 카이로(Cairo) 1.0 버전을 발표했다. 기존 버전보다 사용하기 쉽고 더 안전하며 스타크넷의 무허가형 네트워크 요구사항을 충족한다는 설명이다. 현재 개발 진행 중이며 조만간 릴리즈할 예정이다. 앞서 2년 전 스타크웨어는 카이로를 개발, 출시한 바 있다.
[리플 전 CTO, 우주 정거장 스타트업 설립]
온라인 전문 미디어 쿼츠(Quartz)에 따르면 리플 전 최고기술책임자(CTO)인 제드 맥칼렙(Jed Mccaleb)이 우주 정거장 건설을 목표로 회사를 설립했다. 이와 관련해 미디어는 "이 회사의 이름은 배스트(Vast)로 현재 인재 영입에 나선 상황이다. 리플의 주요 개발자인 맥칼렙은 자산만 수십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배스트 설립에 얼마나 투자했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아울러 맥칼렙은 '암호화폐의 상승과 하락이 배스트의 미래를 좌우하지는 않는다'고 말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코인니스는 맥칼렙이 보유하고 있던 XRP를 8년에 걸쳐 전부 매각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올해 ETH 채굴자 수익 110억 달러.. BTC보다 많아]
암호화폐 리서치 업체 아케인리서치(Arcane Research)에 따르면 올 들어 이더리움(ETH) 채굴자 수익은 110억 달러로 비트코인(BTC) 채굴자 수익 100억 달러에 비해 많았다. 지난해에도 ETH 채굴자 수익이 180억 달러로, BTC(170억 달러)에 비해 많았다. 이번주 ETH 머지(PoS 전환) 이후로는 채굴 수익이 사라진다.
[블록체인 VC 해시키, 홍콩서 암호화폐 라이선스 획득]
홍콩 소재 블록체인 VC 해시키(HashKey)가 홍콩 증권선물위원회(SFC)로부터 암호화폐 자산관리 라이선스를 획득했다고 코인데스크가 전했다. 이에 따라 암호화폐로 100% 구성된 투자 포트폴리오를 합법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됐다. 앞서 후오비 테크놀로지 자회사도 홍콩 당국으로부터 라이선스 발급을 승인받은 바 있다.
[BTC 해시레이트 급등, 반감기 일정 앞당기지 않는다]
BTC 해시레이트가 지속적으로 올라도 반감기 일정에는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한다고 코인데스크가 보도했다. 미디어는 "최근 BTC 해시레이트가 최고치를 경신하면서 일각에서 BTC 반감기가 2024년에서 2023년으로 당겨지는 것 아니냐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해시레이트가 급격히 상승하더라도 반감기 일정에 영향을 줄 정도는 아니다. BTC 알고리즘은 채굴 난이도를 조정하도록 설계돼 있다"고 설명했다. BTC 반감기는 오는 2024년 4월로 예정돼 있다.
[크립토 데이터 인프라 플랫폼 골드스카이, 2천만 달러 시드투자 유치]
더블록에 따르면 크립토 데이터 인프라 플랫폼 골드스카이(Goldsky)가 펠리시스(Felicis)와 드래곤플라이캐피털(Dragonfly Capital)이 주도한 시드 라운드에서 2천만 달러를 모금했다. 이번 시드 라운드에는 엘라드 길(Elad Gil), 잭 페렛(Zach Perret), 윌리엄 하키(William Hockey), 유니스왑 랩스(Uniswap Labs) 및 0x Labs가 참여했다. 골드스카이의 주요 고객은 ‘출석 증명 프로토콜'(POAP), 이더리움 기반 예측 플랫폼 폴리마켓(Polymarket), 분산형 스토리지 프로젝트 알위브(Arweave)등이 있다.
[신한카드·번개장터, 블록체인 기술로 '가품' 잡는다]
머니투데이에 따르면 신한카드가 번개장터와 블록체인 기술 기반 '디지털 워런티'(Digital Warranty) 시범 서비스를 시작했다고 13일 밝혔다. 디지털 워런티는 상품의 정품 여부와 소유권을 분실 및 위변조 우려가 없는 블록체인 기술로 인증해주는 서비스다. 이번 디지털 워런티 서비스는 번개장터 오프라인 매장인 '브그즈트 랩'(BGZT Lab) 1·2호점과 브그즈트 컬렉션에서 판매하고 있는 상품(일부 상품 제외)에 제공된다. 상품 구매 후 안내장의 QR 스티커를 스캔하면 디지털 워런티가 발급되며, 신한플레이(pLay) 앱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신한카드로 구매하지 않은 고객도 신한플레이를 통해 디지털 워런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유니스왑 V3, 오로라 배치 제안]
탈중앙화 암호화폐 거래 프로토콜 유니스왑(UNI) V3를 니어(NEAR) 블록체인 기반 EVM 확장성 네트워크 오로라(AURORA)에 배치하는 제안이 상정됐다. 이 제안에는 오로라 내 유니스왑 사용자에게 500만달러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안도 포함됐다. 니어 프로토콜 디파이 부문인 프록시미티 랩스(Proximity Labs)는 유니스왑 커뮤니티와 공동으로 해당 자금 분배를 진행하며 추후 개발 지원에도 나설 계획이다.
[앵커리지디지털, 日 엔화 연동 스테이블 코인 GYEN 지원]
암호화폐 커스터디 및 뱅킹 업체 앵커리지디지털(Anchorage Digital)이 일본 엔화 가치 연동 스테이블 코인 GYEN을 지원한다고 공식 미디엄을 통해 발표했다. GYEN은 GMO 트러스트가 발행한 세계 최초 규제 적격 엔화(JPY) 연동 스테이블코인으로, GYEN 지원은 일본 대형 인터넷 기업 GMO의 미국 자회사 GMO-Z.com 트러스트 컴퍼니와 파트너십 체결의 일환이다. 이와 관련 앵커리지 공동 설립자 디오고 모니카는 "스테이블 코인은 암호화폐 거래의 가능성을 더 넓히고 있다. 엔화 가치 연동 스테이블 코인을 고객에 제공 할 수 있게 돼 기쁘다"고 밝혔다.
[국회 정무위, 국감 준비 모드에 가상자산 열공]
뉴스1에 따르면 다음달 4일 시작될 국회 국정감사를 앞두고 정무위원회 소속 의원들이 산하기관 및 가상자산 업계 스터디에 나섰다. 21대 후반기 정무위 소속 위원들이 대폭 물갈이된 만큼, 국감이라는 대형 이벤트를 앞두고 현안 파악에 나선 것이다. 테라·루나 사태의 후속조치로 상반기 국회에서 이어진 당정간담회의 경과를 살펴봐야하고, 업권법 제정 논의가 물살을 탈 경우 이에 대한 심의를 정무위에서 맡아야하기 때문이다. 야당 의원실 관계자는 "가상자산 업권법, 테라·루나 사태 후속 조치 등 쌓인 현안이 많은 상태"라며 "추석 전 주부터 관계기관이나 업계에서 국회를 찾아와 설명하겠다고 나선 것으로 알고 있다"라고 말했다. 현재 스터디를 마친 한 야당 의원실에서 개인 의원 입법 발의에 앞서 정무위 위원들을 대상으로 의견 수렴을 위한 검토에 나서기도 했다. 업계 관계자는 "통상 의원입법에 앞서 진행하는 절차"라며 "2개월 정도 소요될 것으로 보이는데, 현재 기본법이 정부안 위주로 갈 것이라 전망돼 이슈를 선점해보겠다는 시도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머지 후 24시간 내 ETHW 하드포크]
더블록에 따르면 이더리움 작업증명(PoW) 하드포크 버전 ETHW는 머지(PoS 전환) 후 24시간 내 배포될 예정이다. 구체적인 ETHW 코어 배포 시간은 네트워크 론칭 1시간 전에 발표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후 ETHW chainID가 10001로 전환되고 파이널 코드, config 파일, 바이너리, 노드 데이터, RPC, 익스플로러 정보 등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chainID에 충분한 시간을 제공하기 위해 2048개의 빈 블록이 처리된 후 지정된 시간에 메인넷이 활성화 된다. 즉 ETHW 메인넷에서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첫 블록은 머지 블록+2049가 된다. 이더노드에 따르면 머지 업그레이드는 9월 15일 14시 12분경 이뤄질 예정이다.
gerrard@tokenpost.kr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