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하원 의원, 법무부에 CBDC 의견 요청]
더블록에 따르면 다수의 미국 하원 금융서비스위원회 의원이 법무부 장관 메릭 갈랜드(Merrick Garland)에 서한을 발송, CBDC 발행 관련 법안 필요 여부에 대한 의견을 요청했다. 이는 바이든 행정부가 암호화폐 보고서를 발표, 연준이 CBDC 발행을 검토하는 가운데 진행된 것으로, 의원들은 10월 15일까지 CBDC 법안에 대한 법무부 의견을 제공할 것을 요청했다.
[유가랩스, BAYC 보유자 7명 구성 클럽 커뮤니티 협의회 구축]
유명 NFT 프로젝트 BAYC의 모기업인 유가랩스(Yuga Labs)가 공식 블로그를 통해 BAYC NFT 홀더 7명으로 구성된 커뮤니티 협의회를 구축했다고 발표했다. 협의회는 커뮤니티 피드백을 수집 및 관리하며, 자선 활동을 주도하는데 집중할 계획이다. 유가랩스 측은 "위원회가 자율적으로 운영 및 유지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팍소스, 찰스슈왑 등 공동 설립 암호화폐 거래소 EDXM에 커스터디 서비스]
비즈니스와이어(BusinessWire)에 따르면 블록체인 인프라 플랫폼 팍소스(Paxos)가 암호화폐 거래소 EDX 마켓(EDXM)에 커스터디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발표했다. EDXM은 찰스슈왑(Charles Schwab), 시타델 증권(Citadel Securities), 피델리티 인베스트먼트 산하 피델리티 디지털 애셋(Fidelity Digital Assets), 패러다임, 세쿼이아 캐피털 등 글로벌 금융 대기업들이 공동 설립하는 암호화폐 거래소다.
[USDC 공급량, 3개월 동안 약 90억 달러 감소]
DeFiLlama 데이터에 따르면 스테이블코인 USDC의 총 공급량이 최근 3개월 사이 약 90억 달러 감소했다. USDC 공급량은 7월 초 이후 555.5억 달러 규모에서 465.7억 달러로 감소했다. 이는 USDC 발행사인 서클이 해당 기간동안 약 90억 달러 상당의 스테이블코인을 소각했음을 의미한다. 반면 7월 초 이후 테더의 USDT 공급량은 20억 달러 이상 증가했다. 이에 따라 스테이블코인 시장 내 테더 점유율은 45.9%로 3개월 만에 최고수준을 기록했다.
[이더리움 레이어2 프로토콜 TVL, 50억달러 하회]
이더리움 레이어2 프로토콜 관련 데이터 플랫폼 L2비트(L2BEAT)에 따르면 이더리움 레이어2 프로토콜 내 암호화폐 락업 예치금 규모가 46.8억 달러를 기록했다. 7일 전 대비 0.62% 감소했다. TVL이 가장 많은 프로토콜은 아비트럼으로, 약 23.8억 달러를 기록했다. 그 다음 옵티미즘(14.4억 달러), dYdX(3.76억 달러) 순이었다.
[글로벌 음반사 워너뮤직, 메타버스 전문가 채용 공고]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글로벌 음반사인 미국의 워너뮤직(Warner Music Group)이 웹3 전략 확장을 위한 메타버스 전문가 채용 공고를 게재했다. 워너 뮤직은 메타버스 및 게임 업계 내 음악 엔터테인먼트 경험을 제고하기 위해 관련 전문가를 고용할 계획이라며, 메타버스 프로젝트가 특히 몰입형 경험 및 전략적 콘텐츠 통합에 중점을 둘 것이라고 설명했다.
[코인베이스, 前 골드만삭스 임원 영입]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가 전 골드만삭스 임원 우스만 나엠(Usman Naeem)을 영입했다. 그는 전 골드만삭스 주식 파생상품 담당자로, 코인베이스에서는 글로벌 파생상품 판매 및 거래 책임자를 담당하게 된다.
[CBOE, 솔라나 기반 디파이 오라클 프로젝트 합류]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미국 시카고 옵션거래소(CBOE)가 솔라나(SOL) 생태계 디파이 오라클 프로젝트 피스 네트워크(Pyth Network)에 합류했다. 오는 4분기부터 10개의 주식 데이터를 피스 네트워크에 제공할 계획이다. 피스 네트워크는 실시간 거래 데이터의 탈중앙화와 정확한 시장 데이터 제공을 위해 솔라나 블록체인을 활용하는 프로젝트다. 현재 65개 이상 마켓 메이커가 암호화폐, 주식, 금속 데이터를 피스에 게시하고 있다. 지난 7월에는 글로벌 마켓 메이커 IMC가 피스 네트워크에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데이터를 제공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코어 사이언티픽, 9월 1,576 BTC 현금화]
더블록에 따르면 비트코인 채굴 회사 코어 사이언티픽(Core Scientific)이 지난 9월 1,213 BTC를 채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월 대비 9% 감소한 수치다. 이와 관련해 기업은 기후 등의 영향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해당 기간 코어 사이언티픽은 1,576 BTC를 평균 가격 20,460달러에 현금화했으며, 이에 따라 3,220만 달러의 수익을 확보했다. 9월 30일 기준 기업은 1,051 BTC를 보유하고 있다.
[올해 NFT·블록체인 상표 출원 6000건 넘어...지난해 대비 3배↑]
메타버스 및 NFT 상표 전문 변리사 마이클 콘두디스(Michael Kondoudis)가 5일(현지시간) 공개한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1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미국 내 NFT 블록체인 관련 상표 출원 건수는 6,366건에 달했다. 이는 지난해 2,142건을 뛰어넘는 수치다. 월 별로는 3월이 1080건으로 가장 많았고, 4월이 895건, 2월과 5월이 각각 788, 757건을 기록했다. 이에 대해 케이티 혼(Katie Haun)의 암호화폐 펀드 혼 벤처스(Haun Venture) 대표는 "올해 2분기 이후 NFT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면서 시장이 얼어붙었지만, NFT 시장이 장기적으로는 수익을 올릴 것"이라고 진단했다.
[애니모카브랜드, NFT 프로젝트 쿨캣츠에 전략적 투자 유치]
NFT 프로젝트 쿨캣츠(Cool Cats)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블록체인 및 NFT 게임 개발 및 투자사 애니모카브랜드로부터 전략적 투자를 받았다고 밝혔다. 투자 금액은 공개되지 않았다. 쿨캣츠는 게임 제품 확장 등에 투자금을 활용할 예정이다. 앞서 코인니스는 지난 6월 쿨캣츠(Cool Cats)가 13일 공식 트위터를 통해 더샌드박스(SAND)와 파트너십을 체결, 4분기 오는 초 샌드박스 메타버스에 합류한다고 발표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해킹 피해' 트랜짓 스왑 "피해 이용자에 100% 보상 결정"]
2,800만 달러 상당의 암호화폐를 도난당한 DEX 애그리게이터 트랜짓 스왑(Transit Swap)이 공식 블로그를 통해 해킹 피해에 대해 100% 보상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트랜짓 스왑은 "우리는 사용자들이 입은 피해를 100% 보상하기로 결정했다. 보상은 2단계에 걸쳐 진행되는데, 1단계는 해커가 반환한 자산을 통해 환불을 진행하는 것이고 2단계는 아직 반환되지 않은 자금을 되찾아 환불하는 것이다. 이번에 진행하는 것은 1단계 계획이다. 사용자는 별도의 웹사이트를 통해 자신의 피해 여부를 조회할 수 있고 오는 7일(현지시간)부터 환불 신청을 접수받는다"고 설명했다.
[비트파이넥스페이, 코인 자동 환전 서비스 출시]
미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파이넥스 산하 암호화폐 결제 서비스 비트파이넥스 페이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코인 간 자동 환전을 지원하는 판매 업체 전용 대시보드 서비스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해당 서비스는 BTC, ETH, AVAX, DOGE, LTC, MATIC, SOL을 USDt로 자동으로 환전해주는 것이 특징이다. 이 기능을 통해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에 대한 변동성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게 비트파이넥스페이 측의 설명이다.
[블룸버그 "美 암호화폐 관련 법안, 올해 통과 어려울듯"]
블룸버그 통신이 "암호화폐 규제와 관련된 주요 법안들이 올해 입법 통과될 가능성이 매우 낮아졌다"고 보도했다. 미디어는 "암호화폐 업계에 큰 영향을 끼칠 법안들이 적지 않지만, 의원들이 곧 있을 선거에 집중하면서 해당 법안들이 올해 통과될 가능성이 거의 사라졌다. 가령, 스테이블코인을 규제하려는 법안은 로비스트와 국회의 논의가 차일피일 미뤄지면서 아무런 진전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또 의원들은 관련 법안들이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이를 숙지하고 이해하는데 상당한 시간을 필요로 하고 있는 상황이다"고 설명했다.
[스카이브릿지캐피털 CEO "암호화폐, 美 증시와 디커플링 가능성"]
데일리호들에 따르면 전 백악관 통신국장이자 미국 헤지펀드 스카이브릿지캐피털의 최고경영자(CEO)인 앤서니 스카라무치(Anthony Scaramucci)가 최근 CNBC와의 인터뷰에서 "비트코인(BTC)와 이더리움(ETH) 등 암호화폐와 미국 증시 간에 디커플링이 발생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는 "미국 연준이 금리 인상을 마쳤을 가능성도 있지만, 아마 한 번 정도는 더 인상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기준금리가 75bp 이상 인상되더라도 암호화폐 시장은 상승 움직임을 보일 수 있다. 아울러 미국 의회가 증권거래위원회(SEC)와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에 대한 규정을 명확하게 하기 전까지는 나스닥 지수 등 전통자산과 동조현상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앞서 코인니스는 스카라무치가 "연준의 금리 사이클이 끝날 때까지 암호화폐 윈터는 끝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보고서 "아프가니스탄, 탈레반 장악 후 암호화폐 시장 붕괴.. 사용 규모 급감"]
체이널리시스 블록체인 보고서에 따르면 탈레반이 아프가니스탄을 장악한 이후 암호화폐 사용 규모는 지난해 9월 1억 5000만 달러에서 월 평균 8만 달러 수준으로 급감했다. 국가별 암호화폐 채택 지수 역시 지난해 20위를 기록한 후 현재는 최하위 수준으로 떨어졌다. 이에 대해 블룸버그는 "탈레반 정부가 인터넷을 통한 외환 거래를 전면 금지한 데 이어 암호화폐 거래소를 폐쇄 조치하면서 아프가니스탄 암호화폐 시장이 붕괴됐다"고 진단했다.
[게이머 10명 중 1명만 '웹3 게임' 이용 경험]
코인데스크가 웹3 핀테크 기업 코다랩스(Coda Labs)의 설문조사 결과를 인용해 게이머 10명 중 1명만 실제로 웹3 게임을 이용해본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도했다. 미디어는 "응답자 중 52%만이 웹3 게임 용어에 익숙하다고 했고, 실제 사용해봤다는 응답은 12%에 그쳤다. 또 게이머 중 암호화폐를 알고 있는 비율은 응답자 중 89%였고, NFT는 51% 수준이었다. 또 10점 만점을 기준으로 암호화폐 에 대한 감정 점수는 4.5점, NFT는 4.3점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코다랩스의 이번 설문조사는 미국·영국·브라질·남아프리카·일본 등 5개국 6921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헤지펀드 투시그마, 체인링크 오라클에 데이터 제공]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헤지펀드 투시그마(Two Sigma)가 탈중앙화 오라클 네트워크 체인링크(LINK)에 데이터를 제공한다고 발표했다. 체인링크 오라클 네트워크를 사용해 투 시그마의 스왑, 옵션 및 기타 파생 상품 관련 시장 데이터를 디파이 생태계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 다수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에 직접 배포한다. 투시그마의 자산운용 규모는 약 600억 달러다.
[美 SEC, 1200만 달러 규모 암호화폐 폰지사기 업체에 긴급 폐쇄 명령]
디크립트에 따르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텍사스 기반 회사 크립토FX(CryptoFX)의 긴급 폐쇄를 명령했다. 이와 관련 미디어는 "크립토FX 설립자인 마우리시오 차베즈(Mauricio Chavez)는 암호화폐 배경지식이 부족한 가운데 라틴계 암호화폐 커뮤니티에 관련 교육을 진행했으며, 이는 크립토FX의 투자자 모집으로 이어졌다. 크립토 FX는 궁극적으로 5000명 이상의 투자자로부터 1200만 달러 규모 투자를 받게됐다. 이는 암호화폐 폰지사기로 판명됐다"고 설명했다.
[이더리움 비콘체인 검증자 노드 수 44만개 돌파]
이더리움(ETH) 비콘체인(Beaconchain) 익스플로러 beaconcha.in에 따르면, ETH 비콘체인 검증자 노드 수가 44만개를 돌파, 현재 44,145개를 기록하고 있다. 비콘체인 스테이킹 ETH 물량은 14,893,565 ETH를 기록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ETH는 현재 1.21% 내린 1,335.96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싱가포르 통화청 "가상자산 업체, 지불서비스법 적용 대상"]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싱가포르 중앙은행 겸 금융당국 싱가포르통화청(MAS)의 수석 장관인 타르만 샨무가라트남(Tharman Shanmugaratnam)이 의회에 출석해 "가상자산의 구매, 판매 또는 거래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들은 지불 서비스법(Payment Services Act)의 적용을 받게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앞으로 가상자산 업체들은 MAS로부터 라이센스를 받지 못하면 싱가포르에서 투자 회사를 설립하는데 있어 관련 정보를 받지 못할 것이다. 현재 싱가포르 중앙은행은 신고를 하지 않은 무허가 업체들을 적발하기 위해 모니터링 활동을 펼치고 있다. 아울러 암호화폐나 월렛, 믹서 등 익명과 관련된 기능을 제공하는 업체들은 자금 세탁 또는 테러 자금 조달에 대한 위험성을 완화하기 위한 추가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러시아, OKX 웹사이트 차단... 블랙리스트 등록 추정]
러시아 디지털 권리 보호단체 NGO 로스콤스보보다(Roskomsvoboda)에 따르면 세이셸에 기반을 둔 암호화폐 거래소 OKX 웹사이트가 러시아에서 차단됐다고 코인데스크가 전했다. 로스콤스보보다는 "OKX 웹사이트 IP 주소가 검찰총장실 결정으로 4일(현지시간) 블랙리스트에 등록돼 차단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블랙리스트 등록 이유는 정확히 알려진 바 없으며, OKX 측도 아직 관련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외신 "EU, 암호화폐 법안 '미카' 전문 작성 합의"]
코인데스크가 소식통을 인용해 유럽연합(EU)이 암호화폐 거래자의 신원을 밝힐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내용이 담긴 법률과 함께 가상자산 규제안 미카(MiCA) 전문(Full legal text)에 대해 합의했다. 미디어는 "EU 이사회에서 회원국들은 추가 논의 없이 미카에 대해 합의했다. 미카는 암호화폐 월렛과 거래소 등에 라이센스 제도를 도입하고 테라 사태와 유사한 사건을 예방하기 위해 스테이블 코인에 예비 요건을 부과하는 내용 등을 담고 있다. 이번 합의 이후 미카는 유럽의회 의원들의 정식 동의를 받아야 하는 등 여러 절차가 남아있기 때문에 오는 2024년에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유럽연합은 이번 이사회에서 돈세탁 예방을 위해 암호화폐 월렛 업체들이 고객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별도 법안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SWIFT, 글로벌 CBDC 결제 시스템 프레임워크 제시]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가 글로벌 CBDC(중앙은행 발행 디지털 화폐) 결제 시스템 프레임워크를 제시했다. SWIFT는 "HSBC, 스탠다드차타드, UBS, 웰스파고 프랑스와 독일 중앙은행이 참여한 테스트에서 서로 다른 블록체인 네트워크 간 CBDC(중앙은행 발행 디지털 화폐)와 법정화폐의 거래를 수행했다. 이는 블록체인 네트워트가 단일 게이트웨이를 통해 국가간 결제 상호 연결이 가능하다는 의미이자, SWIFT의 트랜잭션 관리 기능이 모든 네트워크 간 통신을 조율할 수 있다는 것이다"라고 설명했다. 코인니스는 앞서 SWIFT가 새로운 글로벌 표준인 크로스체인 상호운용성 프로토콜(CCIP)과 관련해 체인링크와 협력하고 있다고 전한 바 있다.
[중동·북아프리카, 암호화폐 거래량 5660억 달러...전년 대비 48% 증가]
코인텔레그래프가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 업체 체이널리시스(Chainanalysis)의 보고서를 인용해 중동·북아프리카(MENA) 지역에서 암호화폐 시장 규모가 커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미디어는 "지난 2021년 7월부터 올해 6월까지 해당 지역의 암호화폐 거래량은 5660억 달러로 전년도 같은 기간 대비 48% 증가했다. MENA에는 모로코, 이집트 등 신흥 시장을 포함해 약 22개국이 있는데, 이들 국가에서 저축이나 송금 지불을 위해 암호화폐를 사용하는 사례가 나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니어 파운데이션, 구글 클라우드와 파트너십... 개발자에 기술 지원]
니어(NEAR)프로토콜의 거버넌스와 개발을 지원하는 니어 파운데이션(NEAR Foundation)이 4일(현지시간) 공식 블로그를 통해 개발자 기술 지원을 위해 구글 클라우드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구글 클라우드는 니어 개발자가 웹3 프로젝트와 디앱을 구축및 확장할 때 관련 기술을 제공한다. 니어 파운데이션은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개발자의 디앱 구축과 웹3 온보딩이 더 편리하고 쉬워졌다"고 설명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현재 NEAR는 0.55% 내린 3.58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투자 플랫폼 스태쉬, BTC·ETH 포함 8개 암호화폐 투자 지원]
더블록에 따르면 투자 및 은행 플랫폼 스태쉬(Stash)가 암호화폐 위탁 관리 플랫폼 에이펙스크립토(Apex Crypto)와 협력을 통해 암호화폐 투자를 지원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스태쉬의 별도 암호화폐 계정을 통해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을 포함한 8개 암호화폐를 구매할 수 있게 됐다. 이와 관련 브랜던 크리그(Brandon Krieg) 스태쉬 CEO는 "스태쉬는 암호화폐 시장에 큰 관심을 갖고 있다. 향후 암호화폐 월렛을 출시할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스태쉬는 2015년 설립 후 유니온 스퀘어 벤처스 등으로부터 총 4억 2700만 달러의 투자를 유치한 바 있다.
[EU 금융서비스 위원 "다음주 IMF 총회서 미국과 암호화폐 법안 의견 교환"]
캐나다 언론 BNN 블룸버그에 따르면 유럽연합 금융서비스 최고위 위원 메어리드 맥기네스(Mairead McGuinness)가 "유럽연합은 다음주 개최 예정인 국제통화기금(IMF) 연례회의에서 미국 당국자들과 암호화폐 법안 마련에 대한 의견을 나눌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유럽연합은 이번 회의의 가장 중요한 의제로 암호화폐를 두고 있으며 미국과 의견을 교환해 보다 정밀한 글로벌 규제 프레임 워크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우리는 이 분야의 선구자지만 그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각국의 참여와 경험을 공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gerrard@tokenpost.kr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