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 "BTC 보유자 50%가 손실...바닥 가까워졌다"]
크립토퀀트 기고자 이더 웨일헌터(eth whalehunter)가 "BTC 보유자 가운데 50%가 현재 손실을 보고 있는데, 이는 바닥이 가까워졌음을 의미한다"고 진단했다. 그는 "역사적으로 BTC 보유자의 손실 비율이 높을수록 가격은 바닥에 가까웠다. 특히 이 비율이 50~60% 사이일 때 소량이라도 BTC를 구매한다면 추후에 높은 수익률을 올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유니스왑 창업자 "스시스왑 새 CEO 사기꾼 주장, 사실 아냐"]
탈중앙화 암호화폐 거래소 유니스왑(UNI)의 창업자인 헤이든 아담스(Hayden Adams)가 트위터를 통해 자레드 그레이 스시스왑 새 CEO가 사기꾼 이라는 소문은 사실이 아니라고 지적했다. 그는 "무작위 익명 트윗은 사실로 취급하지 않는 것이 낫다"고 밝혔다. 최근 트위터 등 일부 커뮤니티에서 스시스왑 새 CEO가 여러 사기 범죄에 연루돼 있다는 주장이 확산된 바 있다.
[매트릭스파트너스 "6월에 $8억 자금 조달...웹3 투자는 신중"]
테크크런치에 따르면 매트릭스파트너스(Matrix Partners)가 지난 6월 8억 달러 규모의 자금을 조달했으나 웹3 분야 투자에는 신중하게 접근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이 회사의 파트너인 안토니오 로드리게즈(Antonio Rodriguez)는 "우리는 이미 웹3 분야 등을 포트폴리오에 넣었지만 이번에 마련한 자금과 관련해서는 웹3에 적극적인 투자 포지션을 취하지는 않을 방침이다. 지난 2년 동안 있었던 암호화폐와 웹3에 대한 투기 붐이 끝났다고 본다. 개인적으로 해당 분야는 일종의 신기루와 같다고 판단한다"고 설명했다. 앞서 코인니스는 지난 7월 매트릭스파트너스가 암호화폐 및 블록체인 전문 보안업체 블록섹(BlockSec)에 대한 5000만 위안 규모의 투자를 주도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스시스왑 새 CEO는 사기꾼" 주장 커뮤니티 확산]
스시 다오 커뮤니티가 자레드 그레이(Jared Grey)를 스시스왑(SUSHI)새 CEO로 임명하는 제안이 최근 통과된 가운데, 트위터 유저 얀닉크립토(yannickcrypto)가 "자레드 그레이는 사기꾼"이라고 폭로했다. 그는 "그레이는 2019년 ALQO의 CEO를 역임하면서 ALQO 웹 월렛을 출시하고, 고객 자산 70%를 갈취했다. 또 그는 정식 운영되지 않는 비트파이네온 거래소에 암호화폐 프로젝트를 상장시킨다며, 1BTC 상장 수수료를 지불하도록 했고 이런식으로 총 20BTC를 챙기기도 했다. 이외에도 그는 훨씬 많은 사기에 연루돼 있다"고 주장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SUSHI는 현재 9.38% 내린 1.25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네스트리미디어그룹, 브이티지엠피와 NFT 개발 및 컨설팅 업무협약 체결]
네스트리미디어그룹이 브이티지엠피와 NFT 개발 및 컨설팅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양사는 이번 NFT 개발 및 컨설팅 업무협약 체결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할 예정이다. 네스트리미디어그룹은 브이티지엠피의 화장품 사업부 브이티코스메틱의 화장품과 NFT를 연계하여 판매할 수 있도록 다양한 컨설팅 지원을 통해 일본과 중국 현지의 전자상거래 쇼핑몰에 NFT 연계 상품을 론칭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네스트리미디어그룹은 네스트리 유틸리티 토큰(EGG)의 투자자와 커뮤니티 사용자를 위한 리워드 기반의 쇼핑몰을 운영하고 있다.
[옵티미즘 임시 크로스체인 브릿지 워프 스피드 11/14 폐기]
이더리움 레이어2 확장성 솔루션 옵티미즘(OP)이 공식 트위터를 통해 임시 크로스체인 브릿지 워프 스피드(Warp Speed)가 11월 14일 옵티미즘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에서 완전히 폐기된다고 밝혔다. 옵티미즘은 "워프 스피드는 저렴한 수수료로 소량 이더리움(ETH) 입금을 지원하기 위해 출시했지만 장기적으로 운영할 계획은 없었다. 워프스피드를 통해 예치된 자금은 안전하게 유지된다"고 설명했다.
[바이낸스US, 트론·솔라나 네트워크상 USDC 입출금 지원]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US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트론 및 솔라나 네트워크를 통한 USDC 입출금을 지원한다고 오늘 새벽 공지했다.
[앱토스, 크로스체인 메시징 프로토콜 레이어제로 통합]
레이어1 블록체인 스타트업인 앱토스(Aptos)가 크로스체인 메시징 프로토콜 레이어제로(LayerZero)를 통합했다고 공식 트위터를 밝혔다. 이번 통합으로 앱토스 생태계에서 레이어제로를 통한 크로스체인 메시징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됐다.
[코인베이스, 싱가포르서 디지털 자산 라이선스 취득]
블룸버그에 따르면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가 싱가포르통화청으로부터 디지털 자산 라이선스를 취득했다고 밝혔다. 이 라이선스를 취득하면 코인베이스는 싱가포르 고객에게 디지털 결제토큰(DPT) 등 다양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싱가포르가 지난 2019년 해당 라이선스 제도 운영을 시작한 이후 크립토닷컴을 포함 현재까지 총 15개 관련 업체가 이 라이선스를 취득한 것으로 알려졌다. 코인베이스는 "이번 라이선스 획득은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사업 확대를 위한 교두보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캐시 우드 공개서한 "연준 인플레 강경책, 실수일 수 있다"]
CNBC에 따르면 캐시 우드 아크 인베스트 매니지먼트 CEO, CIO는 월요일(현지시간) 연준에 보낸 공개 서한에서 인플레이션에 대한 연준의 강경한 스탠스는 실수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우드는 연준이 전달 고용과 물가지수를 보는 대신 가장 큰 경제적 위험이 인플레이션이 아닌 디플레이션임을 나타내는 상품 가격을 참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연준은 후행 지표인 다운스트림 인플레이션과 고용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 같다. 이 두 변수는 상반된 신호를 보내고 있으며 연준의 만장일치 금리인상 요구에 의문을 제기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캐시 우드 공개서한 "연준 인플레 강경책, 실수일 수 있다"]
CNBC에 따르면 캐시 우드 아크 인베스트 매니지먼트 CEO, CIO는 월요일(현지시간) 연준에 보낸 공개 서한에서 인플레이션에 대한 연준의 강경한 스탠스는 실수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우드는 연준이 전달 고용과 물가지수를 보는 대신 가장 큰 경제적 위험이 인플레이션이 아닌 디플레이션임을 나타내는 상품 가격을 참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연준은 후행 지표인 다운스트림 인플레이션과 고용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 같다. 이 두 변수는 상반된 신호를 보내고 있으며 연준의 만장일치 금리인상 요구에 의문을 제기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아발란체, 3분기 수수료 수익 76%↓]
암호화폐 데이터 분석 업체 메사리(Messari)에 따르면 지난 3분기 아발란체(AVAX) 네트워크 일일 평균 거래량과 수수료 수익이 전 분기 대비 각각 65.5%, 76.2% 감소했다. 총 수익 역시 94.1% 줄었다. 아발란체 생태계 디파이 인센티브 프로그램 '아발란체 러쉬' 내 암호화폐 락업 예치금도 전 분기에 비해 27% 감소했으며, AVAX 기반 NFT 판매량, 고유 구매자 수도 각각 88%, 34% 줄었다. 다만 이 기간 아발란체가 네트워크 인프라 구축과 전략 실행에 집중하면서, 네트워크 가치(유통량)는 3.3% 증가했다. 이에 대해 메사리는 "3분기 아발란체는 네트워크의 양적 성장보다는 질적 성장에 초점을 맞췄다"고 진단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AVAX는 현재 6.48% 내린 15.88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야나두, 가상자산·NFT 발행 추진]
디지털투데이에 따르면 카카오 계열 인터넷 교육 업체 야나두가 자체 신규 메타버스 홈트레이닝 서비스인 야핏 사이클을 통해 가상자산 발행을 검토 중이다. 야나두 관계자는 "야핏 사이클 마일리지 시스템을 더 발전시킨 형태로 블록체인 기반 가상자산 발행을 검토하고 있다. 아직은 계획하고 있을뿐 구체적인 발행 시기 등은 정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또 야나두는 마일리지를 통합해 구입가능한 재화를 블록체인 기반 NFT로 발행하는 방안도 추진 중이다. 여기에 맞춤형 강의서비스 야나두 클래스 및 키즈 역시 메타버스 교육 플랫폼으로 고도화할 계획이다.
[옵티미즘, 토큰 공급량 수정 업데이트 예정]
이더리움 레이어2 확장성 솔루션 옵티미즘(Optimism)이 공식 트위터를 통해 "토큰 인플레이션율이 초기 20%로 잘못 설정되어 있었으나, 곧 기존 계획대로인 2%로 변경할 것"이라고 전했다. 또한 "해당 인플레이션은 내년까지 시작되지 않기 때문에, 계획된 토큰 공급계획에 어떠한 영향도 없다"고 덧붙였다. 업데이트는 11일 진행될 예정이다.
[암호화폐 펀드 투자 심리 긍정적...BTC 숏 투자상품 500만 달러 순유출]
암호화폐 투자펀드 코인셰어스(Coin Shares)의 주간 자금 흐름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주 비트코인 투자상품에 약 500만 달러 규모 자금이 순유출됐다. 주로 공매도 투자상품의 상환 결과였다. 코인셰어스의 연구 책임자인 제임스 버터필(James Butterfill)은 "투자 심리가 긍정적임을 보여준다. 비트코인 투자 상품은 4주 연속 총 1,200만 달러의 유입을 보였다"고 전했다. 한편, 이더리움 투자상품에서는 지난 주에 총 220만 달러의 유출을 보였으며, 전문가들은 "머지(PoS전환)이후 투자자들의 투자 위축이 나타나고 있음을 보인다"고 전했다.
gerrard@tokenpost.kr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