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큰포스트 마감 브리핑] 난센 "내년 미국 침체...암호화폐 추가 하락 전망" 外

| 토큰포스트 기자

[난센 "내년 미국 침체...암호화폐 추가 하락 전망"]

난센 리서치는 "긴축 정책을 더 오래 유지하겠다는 연준의 스탠스를 고려할 때 2023년 주요 시나리오는 미국 경기 침체와 주식 매도다. 암호화폐 가격은 금리가 더 유리(인하)해지기 전 이 사이클에서 한 번 더(아마도 최종) 하락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라이즌 커뮤니티,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 RCHF 발행 결정]

스테이블코인 발행 프로토콜 라이즌(ATOLO)이 공식 블로그를 통해 자체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 RCHF 발행을 골자로 한 거버넌스 제안이 찬성 통과됐다고 밝혔다. RCHF는 법정화폐 담보형 스테이블 코인으로, 준비금에 비례해 발행된다. 자산 준비금은 스위스 메르키 바우만(Maerki Baumann)에 보관된다. 주로 결제에 활용할 수 있으며 이자 수익, 담보 대출로도 활용할 수 있다. 라이즌은 유로화 스테이블코인 REUR 발행도 준비할 예정이다.

[비트파이넥스, 이달 들어 $6억 ETH 새주소 20개에 전송]

웹3 지식 그래프 프로토콜 겸 블록체인 분석 업체 0x스코프(0xScope)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파이넥스가 이달 들어 6억 달러 상당의 이더리움(ETH)을 핫월렛으로 전송한 뒤 이를 다시 20개 이상의 새 주소로 옮겼다"고 밝혔다. 아울러 "지난 9월 26일부터 9,336만 달러 상당의 ETH가 비트파이넥스 핫월렛에서 바이낸스 핫월렛으로 직접 이체된 내역도 확인했다"고 덧붙였다.

[외신 "DCG, 제네시스 파산 시 엘드리지에 3.5억 즉각 상환해야...자금 조달 중"]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가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디지털커런시그룹(DCG)은 완전 출자 자회사 제네시스가 파산할 시 미국 투자회사 엘드리지 인더스트리로부터 받은 대출금 3.5억 달러를 즉시 상환해야 한다"고 20일 보도했다. 이어 FT는 "DCG는 이 같은 대출금 즉시 상환을 피하기 위해 자금을 조달 중이며, 이를 통해 제네시스의 파산을 막으려 노력 중이다. 앨드리지 역시 제네시스의 출금 중단을 채무 불이행이라는 견해를 갖고 있으며, 투자 손실을 피하기 위해 DCG의 자금 조달을 돕고 있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DCG는 지난해 11월 엘드리지와 기타 투자자들로부터 약 6억 달러 규모의 선순위 담보채권을 발행해 6억 달러를 조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선순위 담보채권의 경우 채무 관계 중 상환 우선권이 가장 높아 제네시스의 파산이 발생한다면 3.5억 달러 상당의 채무 계약은 즉시 만기될 수 있다. 이와 관련 DCG 측은 "앨드리지와의 관계는 제네시스의 구조조정과 완전히 별개로 취급해야 한다. 제네시스는 DCG의 완전 출자 자회사로, 어떤 결과를 맞이해도 앨드리지와는 관계가 없다"고 설명했다.

[지난 24시간 글로벌 주요 암호화폐 기업 투자 유치 현황]

지난 24시간 전세계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기업 7곳이 총 3330만 달러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 각 기업별 투자 유치 내역은 다음과 같다.

[블록파이, 법원에 월렛 보관 암호화폐 인출 승인 요청]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챕터11 파산을 신청한 암호화폐 대출 업체 블록파이가 자신들의 월렛에 보관 중인 암호화폐를 인출할 수 있도록 승인해 달라고 미국 뉴저지 파산법원에 요청했다. 아울러 블록파이는 본사가 위치한 버뮤다 대법원에도 같은 내용의 요청서를 제출했다. 해당 요청에 대한 법원 심리는 각각 오는 1월 9일(현지시간), 13일에 열릴 예정이다.

[F2Pool, 채굴풀 연결 오류 복구 완료]

중국계 대형 암호화폐 채굴풀 F2Pool이 공식 채널을 통해 "알리바바 클라우드 오류 영향으로 연결 문제를 겪은 일부 코인 채굴풀 복구가 거의 완료됐다. F2Pool 채굴풀에 정상 연결되지 않는다면 채굴기 재가동을 시도해보길 권한다"고 밝혔다. CFX, ZEN, ALEO, DCR 채굴풀 연결 문제로 일부 고객의 채굴이 영향을 받았었다.

[휴먼스케이프, 12/27 토큰 스왑 진행 예정...보안 제고 신규 HUM 배포]

휴먼스케이프(HUM)가 공식 채널을 통해 "토큰 컨트랙트에 대한 감사를 진행하고 오는 27일부터 29일까지 토큰 스왑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최근 국내·외에서 대형 이슈가 발생하면서 규제 당국과 시장의 눈높이가 높아진 점을 고려해 이같은 결정을 내렸다. 보안 관련 업데이트인 만큼, 서비스 매커니즘, 토큰 유통 계획, 유통량 등에는 아무런 변동이 없다"고 설명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HUM은 현재 14.95% 오른 0.08072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토르체인, 내년 1분기 청산없는 대출 프로그램 출시 예정]

탈중앙화 크로스체인 거래 프로토콜 토르체인(RUNE)이 공식 트위터를 통해 "2023년 1분기 중 청산 시스템이 없는 대출 프로그램을 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코인마켓캡 기준 RUNE은 현재 1.58% 오른 1.35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빗썸, 오늘 14시 30분부터 FCT2 입출금 일시 중단...네트워크 업그레이드]

빗썸이 네트워크 업그레이드로 인해 오늘 14시 30분부터 피르마체인(FCT2)의 입출금 서비스를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입출금 서비스는 네트워크 안정성이 확보되는 대로 재개될 예정이다.

[바이낸스, 한국 직원 1명 채용에 130명 몰려]

바이낸스는 서울·인천 지역에서 근무할 '커뮤니티&마케팅 매니저' 직무 채용 공고를 낸 상태다. 과장·부장급으로 1명 안팎의 인원을 채용할 예정이다. 이날 기준 약 130여명의 지원자가 몰렸다. 바이낸스는 '바이낸스 아카데미' 운영을 위해 해당 채용을 진행 중이라는 입장이다. 바이낸스 아카데미는 투자자 보호차 바이낸스가 강조하고 있는 사업 중 하나로, 국내 대학 및 기업들과 바이낸스를 연결하는 프로그램이다.

[비탈릭 "암호화폐 지갑, 스테이블코인, 이더리움 기반 로그인에 큰 기회"]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비탈릭 부테린 이더리움 공동 설립자는 뱅크리스(Bankless) 데이비드 호프만(David Hoffman)과 인터뷰에서 2023년 암호화폐 지갑 보급, 인플레이션 방지 스테이블코인, 이더리움 기반 웹사이트 로그인 등 3가지 거대한 기회가 있다고 봤다. 비탈릭은 암호화폐 지갑 사용자 수십억 명을 끌어모으기 위해 개발이 더 활발히 이뤄져야 한다며, 10억명이 사용할 지갑을 만들 수 있다면 엄청난 기회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앱토스 기반 시장예측 프로젝트 모히또마켓, 개발 중단 선언...FTX 여파]

앱토스(APT) 기반 시장예측 프로젝트 모히또마켓(MOJO)이 공식 채널을 통해 "FTX 및 알라메다 리서치의 붕괴 여파로 자금난을 겪고 있다. 당분간 프로젝트 개발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고 20일 발표했다. 이와 관련 모히또마켓 측은 "FTX에 보관하던 프로젝트 자금을 잃었으며, 마켓 메이킹 계약을 맺었던 알라메다 리서치도 날라갔다. 지금과 같은 약세장에서 긴급 자금 조달도 어려웠으며, 현실을 받아들여야 했다. 자금난이 해결되는 우리는 프로젝트 개발을 재개할 것이다. 멀티체인 전환 및 크로스체인 유동성 활용 등 프로젝트를 진행할 것이며, 이더리움서 MOJO 토큰을 재발행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코인마켓캡 기준 MOJO는 현재 1.31% 내린 0.00196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메타 출신 설립 레이어1 블록체인 리네라, 백서 공개]

전 메타 직원 Mathieu Baudet이 만든 레이어1 블록체인 리네라(Linera)가 백서를 공개했다. 동일한 밸리데이터 세트에서 여러 개의 체인(잠재적으로 수백만개)을 운영하는 아이디어인 마이크로체인(microchains)이 핵심이다.

[일본 -0.10% 기준금리 동결]

일본 중앙은행이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0.10% 금리를 유지했다.

[분석 "지난밤 3~6개월 BTC 보유자 움직임 후 단기 하락 발생"]

암호화폐 애널리스트 겸 크립토퀀트 기고자 미그놀렛(Mignolet)이 20일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지난밤 BTC 단기 하락은 3개월~6개월 BTC 보유자들의 집중적인 이체 움직임 이후 발생했다"고 분석했다. 이와 관련 그는 "이와 같은 움직임이 단기적으로 그칠 수도 있겠지만, Spent Output Age 지표의 상승은 시세에 큰 영향을 주는 경우가 자주 있어왔다. 최근 FTX발 하락 직전에도 Spent Output Age 지표는 급격한 움직임이 나왔었다. 지속적인 주의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서틱 "NFT 기반 게임 버스트로얄, 사용자 NFT 피싱 스캠 프로젝트"]

블록체인 전문 보안 업체 서틱(CTK)이 공식 트위터를 통해 "NFT 기반 블록체인 게임 버스트로얄(Burst Royale)은 스캠 프로젝트"라고 경고했다. 이와 관련 서틱 측은 "해당 프로젝트는 게임을 다운로드한 뒤 연동된 사용자의 NFT 지갑을 갈취하는 피싱 수법을 악용하고 있으며, 다수의 개인 사용자가 지난 1개월간 피싱 피해에 노출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덧붙였다.

[최대 도지 홀더, 5위 주소로 $2.8억 DOGE 이체]

룩온체인에 따르면 최대 도지코인 홀더가 오늘 5위 홀더 'DDuXGM' 주소로 38.4억 DOGE($2.8억)를 이체했다.

gerrard@tokenpost.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