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유통량 17%, 리테일 투자자 보유]
글래스노드에 따르면 비트코인 유통량의 17%는 리테일 투자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말하는 리테일 투자자는 10 BTC 미만을 보유하고 있는 사람들을 가리킨다. 2020년 초 비트코인 유통량에서 리테일 투자자 비중은 12% 미만이었으나 올들어 그 비중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온체인 애널리스트 윌리엄 클레멘테(William Clemente)는 "17%라는 수치가 아직 완벽하진 않지만, 12년밖에 안 된 자산이 올바른 방향으로 견고하게 성장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점차 더 분산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 오로스, 법원으로부터 잠정 청산 승인]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 오로스 글로벌(Auros Global)이 영국령 버진 아일랜드 법원으로부터 잠정 청산 요청을 승인받았다. 앞서 오로스는 FTX 붕괴의 영향으로 발생한 부채를 제때 상환하기 어렵다고 판단, 법원에 잠정 청산을 요청했다. 법원의 승인으로 오로스 현 경영진은 구조조정 계획이 수립되는 동안 외부 자문회사의 감독 하에 거래 서비스를 계속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구조조정이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정상 운영이 재개될 것이라고 오로스 측은 말했다. 앞서 오로스는 디파이 대출 플랫폼인 메이플 파이낸스 크레딧 풀에서 약 300만 달러 상당의 2400 wETH를 대출한 바 있으며, FTX에 2000만달러 상당 자금이 묶여 있다.
[NBA 전설 스카티 피펜 스니커즈 NFT, 출시 77초 만에 완판]
미국프로농구(NBA) 전설 스카티 피펜(Scottie Pippen)이 최근 출시한 가상 스니커즈 NFT 컬렉션이 출시 77초 만에 완판됐다고 더블록이 전했다. 오픈씨 데이터에 따르면 지금까지 누적 판매량은 약 24만달러다. 앞서 피펜은 NFT 스타트업 오렌지 코멧과 협력해 오픈씨에서 가상 스니커즈 NFT 1000개를 출시했다.
[도널드 트럼프 NFT 바닥가 74% 하락]
크립토슬램 데이터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전 대통령이 발행한 NFT 시리즈 '도널드 트럼프 디지털 트레이딩 카드'의 바닥가가 전날 대비 74% 하락한 0.21 ETH를 기록했다. 거래량은 57% 감소한 83.6만달러다. 앞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은 폴리곤 블록체인에서 NFT 트레이딩 카드 컬렉션을 발행했다.
[애니모카브랜드, 올해 메타버스 프로젝트 중 자금 조달액 가장 많아]
나스닥(Nasdaq)에 따르면, 블록체인 및 NFT 게임 개발 및 투자사 애니모카브랜드가 올해 메타버스 프로젝트 중 가장 많은 투자를 유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애니모카브랜드는 올해 총 15건의 투자 거래를 통해 약 5.64억 달러(약 7,241억원) 이상을 조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 나스닥은 "향후 한 기업이 운영을 독점하는 '클로즈드 메타버스'보다 복수의 프로젝트 및 서비스가 상호 작용을 하며 운영되는 '오픈 메타버스'가 우위를 점할 것이다. 암호화폐 시장은 침체되고 있지만 개발자들은 혁신을 이어가고 있다. 지금은 업계 발전에 기여할 스타트업을 찾아 투자할 수 있는 기회를 모색할 때"라고 진단했다.
[윌리 우 "대부분 코인, 현금보다 수익률 저조"]
약 100만 트위터 팔로워를 보유한 유명 암호화폐 온체인 애널리스트 윌리 우가 트위터를 통해 "대부분 코인은 현금보다 저조한 수익률을 보였다. 크립토 카지노에서 아무 코인이나 사느니 달러를 들고 있는 게 낫다. 달러는 쓰레기코인(shitcoin)이 아니다. 1000여종 코인이 더 별로였다"고 분석했다.
[앵커 "aBNBc 무단 발행 공격, 전 팀원 소행"]
최근 aBNBc 무단 발행 공격에 노출됐었던 웹3 인프라 제공 업체 앵커(ANKR)가 공식 블로그를 통해 "해당 공격은 이전 팀원의 소행"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앵커는 "공격자는 악의적으로 앵커의 서플라이 체인을 공격했으며, 앵커의 프라이빗 키를 훼손할 수 있는 악성 코드 패키지를 주입했다. 공격자를 특정한 뒤 우리는 법 집행 기관과 협력, 법적 절차를 진행 중이다. 향후 앵커의 보안성 강화를 위해 내부 인사 절차와 안전 장치를 보완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앵커는 이번 aBNBc 취약점 공격으로 약 5백만달러 상당 BNB 손실을 입었다고 공식 트위터를 통해 밝힌 바 있다. 코인마켓캡 기준 ANKR은 현재 4.31% 오른 0.01774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FSN, 체인링크와 채널 파트너십 체결...NFT 프로젝트 안정성 강화]
핀포인트뉴스에 따르면, 코스닥 상장사 FSN은 탈중앙화 오라클 프로젝트 체인링크(LINK)와 채널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파트너십 체결로 FSN의 블록체인 사업을 담당하는 핑거랩스와 핑거버스의 NFT 프로젝트에 체인링크의 VRF(Verifiable Random Function) 기술이 적용될 예정이다. VRF는 발행되는 모든 NFT가 공정하게 분배 여부를 증명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글로벌 패션기업인 '돌체앤가바나'와 블록체인 엔터테인먼트 기업 '갈라게임즈' 등이 체인링크의 VRF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
[클레이튼,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퍼미션리스 블록체인으로 전환]
클레이튼(KLAY)이 거버넌스 카운슬(이하 GC) 멤버1 투표를 통해 어느 누구에게나 참여 기회가 열려 있는 ‘퍼미션리스 블록체인 (Permissionless Blockchain)’으로의 전환에 합의했다고 21일 밝혔다. 클레이튼이 지향하는 퍼미션리스 블록체인 운영 방식은 ‘개방된 블록 검증 참여’를 골자로 한다. 즉 일반 사용자의 블록 검증 참여를 늘려 클레이튼 생태계의 탈중앙화를 점진적으로 실현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클레이튼의 성능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가능한 많은 검증자 참여가 가능하도록 기존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합의 알고리즘을 개선할 예정이다. 여기에, 블록 검증자 참여조건, 보상 비중, 페널티에 대한 구체적 계획을 마련해 안정성도 확보한다. 코인마켓캡 기준 KLAY는 현재 1.66% 오른 0.1564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컨센시스 주주, 메타마스크 등 회사 자산 이전 투표권 확보]
스위스 추크주 법원이 컨센시스(ConsenSys) 주주에게 메타마스크, 인퓨라 및 기타 회사 자산 이전에 대한 투표권을 가질 수 있도록 승인했다고 PR뉴스와이어가 보도했다. 이에 따라 컨센시스 주주는 메타마스크, 인퓨라 등 회사의 주요 서비스가 컨센시스 소프트웨어라는 새 법인으로 임의 이전된 것을 무효화할 수 있다. 앞서 컨센시스는 주주에게 알리지 않고 컨센시스 소프트웨어로 상당한 자산을 이전한 바 있다. 이후 새 법인은 3차례의 자금조달을 통해 총 7.15억달러를 모금했고 기업 밸류에이션은 70억달러로 책정받았다. 이와 관련 어서 폴스(Arthur Falls) 전 컨센시스 직원은 "회사가 주요 지적재산권과 자회사를 컨센시스 소프트웨어로 불법 이전했고, 이를 자금조달에 오용했다"고 주장했었다.
[저스틴 선 "중국 규제 당국, 홍콩을 암호화폐 도입 시범지로 간주"]
블룸버그에 따르면 저스틴 선 트론(TRX) 창시자가 "중국 규제 당국은 홍콩을 암호화폐 도입의 시범지로 보고 있다. 현재 홍콩은 암호화폐를 포용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앞서 그는 "다음 암호화폐 강세장은 중국이 주도하게 될 것"이라고 트윗한 바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