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큰포스트 브리핑] 데이터 "BTC 가격, 평균 채굴비용 보다 저렴" 外

| 토큰포스트 기자

[데이터 "BTC 가격, 평균 채굴비용 보다 저렴"]

크립토슬레이트(cryptoslate)가 글래스노드 데이터를 인용, 비트코인 가격이 채굴 비용보다 저렴하다고 평가했다. 데이터에 따르면 현재 1 BTC 채굴 비용은 18,800 달러로, 거래 가격(코인마켓캡 기준 16,777.24 달러) 보다 높다. 이는 채굴 난이도 회귀 모델(Difficulty Regression Model)을 기반으로 한 데이터로, 해당 모델은 비트코인 채굴자의 생산원가를 추정할 때 사용된다. 미디어는 "FTX가 파산 신청한 이후 비트코인 가격이 채굴 난이도 회귀 모델 수치 아래로 하락했으며, 이후 해당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FTX 채권자, 에스크로 월렛 락업 16억 달러 우선상환 요청 계획]

크립토슬레이트(cryptoslate)에 따르면 FTX 채권자들이 에스크로 월렛에 락업된 16억 달러 상당의 자금에 대한 우선 상환을 요청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FTX 사용자를 대리하는 로펌 에버셰스 서덜랜드(Eversheds Sutherland)는 "고객 자금은 FTX 파산 재산의 일부가 아닌 에스크로 자산에 속한다. 이러한 이유로 델라웨어 파산 법원에 우선 상환을 요청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미국 파산법에 따르면 이자 목적으로 보유한 자산은 기업 자산인 반면, 이익이 없는 자산의 경우 고객의 자산으로 분류된다. 미디어는 "이와 비슷한 선례가 통과된 적 있어, 법원이 이들의 요청을 승인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유니스왑 재단, 거버넌스 프로세스 변경 제안서 통과]

유니스왑(UNI) 재단이 공식 트위터를 통해 거버넌스 프로세스 변경을 위한 제안이 100% 가까운 찬성률로 통과됐다고 밝혔다. 제안서에는 유니스왑 거버넌스가 온체인 투표에 선행하는 오프체인 스냅샷 투표 관련 요구사항을 개편하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미 증시 3대 지수 상승 마감]

미 증시 3대 지수가 상승 마감했다.

S&P500: +1.48%

나스닥: +1.54%

DOW: +1.60%

[오픈오션, 올인원 크로스체인 스왑 플랫폼 출시]

DEX 애그리게이터 오픈오션(OpenOcean)이 공식 트위터를 통해 원클릭 크로스체인 스왑 어그리게이터를 출시했다고 발표했다. 이용자는 이를 통해 이더리움, BNB체인, 폴리곤, 아비트럼, 아발란체, 팬텀 등 네트워크에서 자산을 교환(Swap) 및 연결(Bridge)할 수 있다.

['챕터11 파산보호 신청' 코어사이언티픽 "건설 중 시설 매각 가능성 높다"]

텍사스 남부파산법원에 챕터 11 파산보호를 신청한 미국 암호화폐 채굴 업체 코어 사이언티픽(NASDAQ: CORZ)의 최고채굴책임자 러셀 칸(Russell Cann)이 최대 1기가와트 규모의 시설을 매각할 가능성이 있다고 더블록과의 인터뷰에서 말했다. 그는 "현재 운영 중인 채굴시설을 매각할 가능성은 거의 제로에 가깝다. 현재 건설 중인 시설을 매각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의 목표는 최대 기업이 되는 것이 아닌 수익성이 가장 높은 기업이 되는 것이다. 챕터 11 파산보호 신청을 통해 효율성을 높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영국 법원, 크레이그 라이트 명예훼손 소송 피고에 90만 파운드 판결]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영국 고등법원 판사 마틴 체임벌린(Martin Chamberlain)이 비트코인 개발자이자 팟캐스터인 피터 맥코맥이 사토시 나카모토를 자처하는 크레이그 라이트에게 법정 다툼에 따른 비용으로 약 90만 영국 파운드(약 14.2억 원)를 지불해야 한다고 판결했다. 앞서 8월 마틴 체임벌린 판사는 크레이그 라이트가 피터 맥코막에 제기한 명예훼손 소송에서 원고가 허위 증거를 제시했다고 판결, 피고의 발언이 라이트의 평판에 해를 끼친 건 맞다면서 피고에 1파운드의 손해배상금만 지불하라고 판결한 바 있다.

[바하마 판사, SBF 미국 송환 승인]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바하마 판사가 샘 뱅크먼 프리드(SBF) FTX 창업자의 미국 송환을 승인했다. 앞서 코인니스는 SBF가 21일(현지시간) 미국으로 송환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SBF는 21일 비상업용 항공기를 통해 미국으로 송환될 예정이며, 미국 연방수사국(FBI)이 그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코인베이스 인스티튜셔널 "알트코인 윈터, 2023년말까지 이어진다"]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크립토포테이토가 코인베이스 인스티튜셔널이 발행한 시장 전망 보고서를 인용, 암호화폐 특히 알트코인의 겨울은 2023년까지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디어는 "2022년 크립토 디레버리징으로 인해 알트코인 투자 의지가 심각한 영향을 받았으며, 회복되는데 수개월이 더 걸릴 것으로 보인다. 약세장은 최소 18개월 이상 지속된다. 이를 미루어보면 2023년 하반기까지 현재 가격 수준이 유지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해당 보고서는 지속 가능한 토크노믹스, 생태계의 성숙도, 상대적 시장 유동성 등의 이유로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이 상대적으로 주목받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메타버스 플랫폼 업랜드, 유니세프 브라질과 파트너십... 교육 프로그램 출시]

투데이에 따르면 메타버스 플랫폼 업랜드(Upland)이 암호화폐 교육 프로그램 출시를 위해 UN 산하 유니세프 브라질(UNICEF Brazil)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이들은 18~24세 및 24~29세 청소년을 위한 암호화폐, 블록체인, 웹3 교육 프로그램을 출시할 계획이다. 업랜드는 파트너십을 기념하기 위한 NFT를 출시할 예정으로, 판매 수익금은 유니세프에 기부된다.

[데이터 "11월 WBTC 교환, 역대 최대...공급량 24% 이상 감소"]

크립토 뉴스, 마켓 인사이트 플랫폼 언폴디드(Unfolded)가 트위터를 통해 "델파이 디지털(Delphi Digital) 데이터에 따르면, 11월 총 3.06만 WBTC가 (BTC로)교환됐다. 이는 토큰 출시 이후 가장 큰 규모다. 이후 WBTC의 공급은 24% 이상 감소했다"고 분석했다. 이와 관련해 언폴디드는 "12월 현재 2.91만 WBTC가 교환됐으며, 11월 기록을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데이터 "이더리움 top 100 고래, 하룻밤새 약 724억 SHIB 출금"]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유투데이가 웨일스탯의 데이터를 인용 "이더리움 상위 100개 고래 지갑에서 하룻밤 새 724.6억개 이상의 시바이누(SHIB) 토큰의 출금이 발생했다"고 분석했다. 이와 관련해 미디어는 "21일(현지시간) 기준 상위 100개 주소의 전체 SHIB 토큰의 가치는 48,082,44 달러로 20일 기준 48,697,308 달러보다 약 60만 달러 감소했다. 현재 USD 기준 가격으로 72,463,768,115개에 달한다"고 덧붙였다.

[블룸버그 "SBF, 21일 미국 송환 예정"]

블룸버그 통신이 샘 뱅크먼 프리드(SBF) FTX 창업자가 21일(현지시간) 미국으로 송환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SBF는 21일 비상업용 항공기를 통해 미국으로 송환될 예정이며, 미국 연방수사국(FBI)이 그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앞서 코인니스는 SBF가 바하마 법원의 범죄인 본국(미국) 인도 절차에 이의 제기를 포기했으며, 이에 따라 범죄인 인ㄴ도 관련 서류에 서명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멀티체인 디파이 플랫폼 루빅, 커브 파이낸스 적용]

멀티체인 디파이 플랫폼 루빅(Rubic)이 공식 트위터를 통해 스테이블코인 거래 플랫폼 커브 파이낸스(Curve Finance)를 적용했다고 밝혔다. 루빅 측은 "커브의 안정적인 풀을 통해 이용자에게 저렴한 수수료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리도파이낸스 "솔라나 기반 리도 v2 업그레이드 완료"]

유동성 스테이킹 솔루션 리도파이낸스(LDO)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솔라나 기반 리도 v2 업그레이드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리도파이낸스는 "솔라나 기반 리도 v2에서는 검증자 이코노미에 변화가 있었다. 100% 커미션 노드를 없애고 최대 노드 커미션을 5%로 설정했다. 또한, 검증자는 블록 및 스테이킹 보상으로 stSOL이 아닌 SOL을 받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암호화폐 월렛 세이프팔, 톤과 파트너십 체결]

유투데이에 따르면 암호화폐 지갑 세이프팔(SafePal)이 톤(The Open Network, TON)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톤 이용자는 세이프팔을 통해 암호화폐를 이체할 수 있다. 톤은 커뮤니티 보조금을 활용, 세이프팔을 솔루션 기술 개발을 지원한다는 설명이다.

[구글, 아태지역 웹3 책임자로 전 블록파이 부사장 영입]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구글이 아시아·태평양 웹3 책임자로 전 블록파이 아시아 담당 부사장 리시 람찬다니(Rishi Ramchandani)를 영입했다. 그는 구글에서 클라우드 서비스 고객과 파트너 엔지니어링, 웹3 분야 등을 맡게될 예정이다.

[美 네오뱅크 코그니, 웹3 월렛 출시]

더블록에 따르면 미국 네오뱅크 코그니(Cogni)가 인앱 비수탁형 월렛을 출시했다고 발표했다. 코그니는 "해당 월렛을 통해 사용자는 KYC 프로세스 진행 후 암호화폐를 자체 보관할 수 있다"며 "향후 일부 거래소들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암호화폐 구매 서비스도 제공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파산 위기설' 앰버그룹, 3억 달러 시리즈 C 투자 유치]

더블록에 따르면 최근 파산 위기설에 휩싸였던 암호화폐 서비스 기업 앰버그룹(Amber Group) 펜부시캐피털 주도로 3억 달러 규모의 시리즈 C 투자를 유치했다. 기업 평가액 등 다른 구체적인 사항은 공개되지 않았다. 앞서 블룸버그 통신은 지난 16일 앰버그룹이 FTX로 피해를 입은 고객들을 구제하기 위해 3억 달러 상당의 자금 조달에 나섰다고 보도한 바 있다.

[올해 해킹·러그풀 피해액 487억 달러 '역대 최대']

디앱레이더가 2022년 리뷰 보고서를 발표하고 올해 암호화폐 업계에 해킹, 러그풀 등이 모두 312건 발생했다고 전했다. 이로 인한 손실 규모는 487억 4000만 달러로, 비트코인이 탄생한 2009년 이후 최대 규모다.

[분석 "BTC SOPR, 3년래 최저치...장기 보유자 대비 단기 보유자 이익 커"]

크립토퀀트 기고자 가아(Gaah)가 "비트코인 SOPR(홀더들이 이득 혹은 손실을 보고 판매하고 있는지 여부를 보여주는 지표)이 3년래 최저치인 약 0.53을 기록했다. 이 비율이 1.00 이상으로 올라가야만 새로운 강세장을 기대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해당 값이 낮을수록 장기 보유자의 이익이 단기 보유자의 이익보다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현재 수치는 BTC 단기 보유자가 장기 보유자보다 더 많은 이익을 내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역사적으로 약세장일 때는 SOPR이 1.00 미만으로 내려갔으며, 해당 수치가 1.00을 넘으면 BTC 가격이 최소 3배 이상 상승하는 흐름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유럽중앙은행 "내년 하반기 내 디지털유로 설계 마무리"]

파인엑스트라에 다르면 유럽중앙은행(ECB)이 디지털유로 프로젝트 관련 보고서를 발표하고 "내년 하반기 디지털유로 설계를 마무리할 것"이라고 밝혔다. 보고서는 "내년 가을 디지털유로 연구 단계를 결과를 검토한 뒤, 프로젝트 실현 단계 진행 여부를 결정할 것이다. 모든 프로젝트가 마무리되면 유럽에서 2026년 안에 디지털유로가 상용화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팍스풀, ETH 상장 폐지...사기 거래 급증 이유]

P2P 암호화폐 거래소 팍스풀(Paxful) 공동 창업자 레이 유세프(Ray Youssef)가 트위터를 통해 "팍스풀에서 이더리움(ETH)을 상장 폐지(kick off)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번 결정은 우리 플랫폼과 사용자의 무결성을 지키기 위한 선택이다. 팍스풀은 그간 사용자 활동을 모니터링 해왔는데, ETH와 관련된 사기 거래가 증가했음을 발견했다. 이 때문에 사용자 간 합법적 거래가 어려워졌기 때문에 특단의 조치가 필요했다. ETH 상장 폐지가 팍스풀의 재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수익 창출보다 사용자 보호가 더 중요하다고 판단했다. 우리는 ETH 상장 폐지를 통해 사용자에게 보다 안전한 거래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마스크네트워크, 마스토돈 인스턴스 파우넷 인수]

더블록에 따르면 마스크 네트워크(MASK)가 탈중앙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마스토돈의 인스턴스(서버) 파우넷(Pawoo.net)을 인수했다. 파우넷은 마스토돈의 두번째로 큰 인스턴스로 사용자는 약 80만명이다. 인수에 따라 마스크 네트워크가 파우넷을 운영 및 관리하게 됐다.

[코인베이스 유럽·커스터디 인터내셔널, 아일랜드 가상자산사업자 등록]

파인엑스트라에 따르면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의 유럽 본부와 커스터디 인터내셔널이 아일랜드에서 VASP(가상자산사업자)로 등록했다. 이에 따라 아일랜드에서 합법적으로 가상자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

[나이지리아 암호화폐 보유자 2200만명... 아프리카 최다]

모로코 싱크탱크 PCNS의 최근 조사에 따르면 아프리카 33개국 중 암호화폐 보유자가 가장 많은 국가는 나이지리아인 것으로 나타났다. 나이지리아의 암호화폐 보유자는 약 2212만명으로, 아프리카 전체 암호화폐 보유자(약 5530만명)의 약 40%를 차지했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암호화폐 보유자는 771만명으로 2위, 케냐가 600만명으로 3위에 올랐다.

[웨이브 USDN 디페깅 심화...0.5달러선 붕괴]

웨이브(WAVES) 생태계 스테이블코인 USDN 디페깅이 심화되며 0.5달러 선이 무너졌다. 앞서 업비트, 빗썸은 지난 8일 공식 사이트를 통해 웨이브(WAVES)를 유의 종목으로 지정한다고 공지한 바 있다. 당시 유의 종목 지정 사유로는 웨이브가 스테이블코인 USDN의 담보물로 사용되지만, 최근 USDN의 디페깅 현상이 해소되지 않고 있어 예기치 못한 가치 급변동이 발생할 수 있다고 업비트 등은 설명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USDN은 현재 10.38% 하락한 0.4942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영국 광고위, 크립토닷컴 NFT 관련 광고 금지]

더블록에 따르면 영국 광고표준청(ASA)이 크립토닷컴의 NFT관련 광고를 금지했다. 문제가 된 광고는 지난 7월부터 페이스북에 게재된 모든 NFT 관련 광고다. ASA는 "해당 광고는 투자의 위험과 거래 수수료에 대한 적절한 설명이 없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크립토닷컴은 "최근 암호화폐 관련 협의서에 NFT가 제외돼, ASA 규제에 NFT가 적용되지 않을 것이라 생각했다"며 반박했지만, ASA는 광고 금지 판결을 유지했다고 더블록은 부연했다.

[설문조사 "글로벌 소비자 5명 중 1명은 암호화폐 보유자"]

코인텔레그래프가 글로벌 경영컨설팅 업체 액센츄어(Accenture)의 설문조사 결과를 인용해 소비자 5명 중 1명은 암호화폐 보유자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암호화폐 보유 목적을 묻는 질문에는 28%가 '장기 투자를 위해'라고 답했다. 이어 22%는 단순 호기심으로 인해 암호화폐를 매수해 보유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또 암호화폐 월렛에 대해 신뢰하고 있다고 답한 비율은 23%로 집계됐다. 이번 설문조사는 지난 8~9월, 13개국에서 16,0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펙실드 "데리비트 추정 주소, 최근 10일 간 알라메다로 1만 ETH 이체"]

펙실드가 트위터를 통해 "'데리비트9'으로 라벨링된 주소가 알라메다 추정 주소로 2000 ETH(약 242만 8000만 달러 상당)를 이체했다. 해당 주소는 최근 10일 간 1만 ETH를 같은 주소로 이체했다"고 밝혔다.

[쟁글 보고서 "내년엔 블록체인 대규모 채택 움직임 가속화 전망"]

가상자산 투자정보 데이터 플랫폼 쟁글이 2023년 전망 보고서를 통해 "블록체인 생태계 인프라가 시장 상황과 무관하게 꾸준히 발전하고 있으며 웹2 기업들이 시장에 본격 진입함에 따라 블록체인의 대규모 채택(mass adoption) 움직임은 가속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이번 크립토윈터는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을 제외하고는 별다른 서비스도 없어 BTC의 생존에 의문을 갖던 4년 전과는 상황이 많이 다르다. 블록체인 인프라 발전과 콘텐츠 확장의 방향성은 그대로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美 알래스카, 암호화폐 기업 규제 강화... 내년부터 송금 라이선스 취득 의무화]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미국 알래스카 주가 내년부터 암호화폐 기업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기로 했다. 알래스카 주는 내년 1월 1일부터 시행되는 주 내 '송금 규정'에 암호화폐를 포함했다. 이에 따라 암호화폐 관련 업체들이 알래스카에서 서비스를 운영하려면 송금 라이선스를 취득해야 한다.

[알케미페이, 비트킵과 파트너십...법정화폐 이용한 암호화폐 구매 지원]

법정화폐-암호화폐 결제 솔루션 알케미페이(ACH)가 웹3 멀티체인 지갑 비트킵(BitKeep)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비트킵 사용자는 알케미페이가 제공하는 게이트웨이를 통해 법정화폐로 암호화폐를 구매할 수 있다.

[디파이 인큐베이터 AQRU, 런던 기반 암호화폐 로펌 지분 인수]

코인게이프에 따르면 디파이 인큐베이터 AQRU PLC가 런던 기반 암호화폐 전문 로펌 로우빔(LawBEAM)의 지분을 인수했다. 구체적인 인수 규모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상당한 규모라고 코인게이프는 설명했다. 이번 인수를 통해 AQRU는 암호화폐 업계를 위한 법률 및 규제 솔루션을 개발 및 구축할 계획이다

[프랑스 암호화폐 투자자 단체, 바이낸스 형사고소]

로이터에 따르면 프랑스 암호화폐 투자자가 바이낸스에 대한 형사고소장을 제출했다. 이들은 파리 검찰청에 고소장을 제출하며 "바이낸스가 당국 승인을 받기 전 서비스를 홍보해 대중을 오도했다"고 주장했다. 바이낸스는 올해 5월 프랑스 금융시장청(AMF)으로부터 라이선스를 취득했는데, 이 전부터 프랑스에서 거래소 홍보를 시작했다는 게 투자자 측의 주장이다. 다만 고소장을 제출했다고 해서 검찰이 정식 수사를 시작하는 건 아니라고 로이터는 설명했다.

gerrard@tokenpost.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