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큰포스트 마감 브리핑] 에이치닥, 英 연방 가이아나서 법정화폐 스테이블코인 발행 外

| 토큰포스트 기자

[에이치닥, 英 연방 가이아나서 법정화폐 스테이블코인 발행]

HN그룹의 블록체인 개발 기술 기업 에이치닥테크놀로지(HDAC, 이하 에이치닥)는 남아메리카에 위치한 영국 연방 국가 가이아나에서 법정화폐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한다고 9일 밝혔다. 에이치닥은 가이아나 금융당국으로부터 가이아나 달러(GYD) 스테이블코인 발행, 거버넌스 관련 승인을 모두 확보했다. 에이치닥이 발행할 예정인 가이아나 달러(GYD) 스테이블코인은 가이아나 중앙은행에 100% 담보를 예치한 후 발행되므로 안정성에 특히 강점을 갖고 있다는 설명이다. 한편 에이치닥은 지난해 유럽 시장에서 법정화폐 담보형 스테이블 코인 RCHF(스위스프랑), REUR(유로)를 발행하기 위해 스위스 메르키 바우만(Maerki Baumann) 은행과 협력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씨티그룹 CEO "디지털화폐 서비스 제공 전 규제 진전 신중히 평가할 것"]

제인 프레이저 씨티그룹 최고경영자(CEO)는 니혼게이자이신문과의 9일자 서면 인터뷰에서 암호화폐 시장을 강타한 FTX 파산 사태와 관련 "규제의 필요성이 부각됐다"고 평가했다. 그는 "암호화폐 사업자는 다른 금융기관과 마찬가지로 자본과 유동성, 리스크 관리 기준을 따라야 한다"며 "씨티는 (디지털 화폐 관련)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기 전에 규제 진전을 신중하게 평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그는 "미연준은 2023년 5월까지 5.5% 정도로 금리를 올린 뒤 연말까지 이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연준은 지난 12월 연방시장공개위원회(FOMC)에서 최종금리 중간값으로 5.1%를 제시했는데, 이보다 더 강도 높은 긴축을 예견한 것이다. 이어 미국이 올해 후반 완만한 경기침체 국면에 접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홍콩 재정국장 "토큰화 녹색채권 발행 예정...청약 판매 예정"]

홍콩 현지 미디어 rthk에 따르면, 천마오보(陈茂波) 홍콩 재정사 사장(재정국장)이 최근 한 행사에 참석해 "홍콩 정부는 곧 토큰화된 녹색채권을 발행할 예정이며, 청약을 통해 이를 기관 투자자들에게 판매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날 그는 "최근 파산하는 암호화폐 거래소들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홍콩은 우수 암호화폐 기업들의 주요 거점으로 거듭나고 있다. 정부는 시장 상황에 맞는 적절한 규제 환경을 제공하고자 하며, 웹3 및 기타 기술의 잠재력을 충분히 발휘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다. 물론 금융안정성을 저해하지 않고 투자자의 안전이 보장되는 것이 전제다. 정부는 또 규제기관과 협력해 여러 암호화폐 관련 파일럿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으며, 암호화폐 기술의 장점과 응용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홍콩은 세계 각지의 암호화폐 기업들을 환영한다"고 강조했다.

[전 FTX US CEO "FTX US 운영 정보, 적절한 때에 공유 계획"]

더블록에 따르면 전 FTX US 최고경영자(CEO) 브렛 해리슨(Brett Harrison)이 FTX US 운영에 대한 정부를 공유할 계획이라고 트위터를 통해 밝혔다. 그는 FTX US에 대해 해리슨이 무엇을 알고 있는지 묻는 질문에 "적절한 때에 공유할 것"이라고 트윗했다. 그는 FTX 붕괴 사태가 발생하기 전인 지난해 9월 CEO직을 사임했다.

[3대 선물 거래소 BTC 무기한 선물 롱숏 비율]

코인니스 마켓 모니터링에 따르면, 미결제 약정 규모 기준 세계 3대 암호화폐 마진 거래소 내 최근 24시간 BTC 무기한 선물 롱·숏 포지션 비율은 다음과 같다.

1. 바이낸스 (BTC-USDT, 시장 점유율 23.67%)

롱 51.53% | 숏 48.47%

2. 비트겟 (BTC-USDT, 시장 점유율 17.88%)

롱 49.99% | 숏 50.01%

3. 바이비트 (BTC-USDT, 시장 점유율 15.09%)

롱 52.71% | 숏 47.29%

[호주 거래소 스위프트엑스, 1/10 예치 이자 서비스 중단]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호주 암호화폐 거래소 스위프트엑스(Swyftx)가 1월 10일(현지시간)부터 암호화폐 예치 이자 서비스 '언 프로그램'(Earn program) 운영을 중단한다. 해당 서비스에 예치된 사용자 자산은 운영 중단과 동시에 사용자의 지갑으로 반환된다. 스위프트엑스는 해당 서비스 중단의 이유로 현지 암호화폐 상품 규제 명확성의 부재를 꼽았다. 이와 관련 스위프트엑스는 "일부 사용자들에게는 실망스러운 소식일 수 있지만, 해당 프로그램을 재개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업비트, XRP 보유자 대상 FLR 에어드랍 지원]

업비트가 2020년 12월 12일 09시 기준 리플(XRP) 보유자 대상 플레어네트워크(FLR) 에어드랍을 지원한다고 공지했다. 오늘 안으로 지급되며 FLR 출금은 10일 11시부터 지원 예정이다.

[인도 중앙은행 총재 "디지털자산, 근본 가치 없어 조만간 붕괴"]

인도 중앙은행 총재 샤크티칸타 다스(Shaktikanta Das)가 파이낸셜타임스 인터뷰에서 "인도 중앙은행은 정부에 디지털자산을 합법화하지 않도록 권고함으로써 최근 시장 붕괴로부터 투자자들을 보호하는 데 보탬이 됐다"며 "디지털자산은 근본 가치가 없고 순전히 투기 상품이기 때문에 조만간 붕괴될 것"이라고 말했다.

[위메이드, 1/31 ‘미르M’ 글로벌 서비스 출시]

위메이드가 MMORPG ‘미르M: 뱅가드 앤 배가본드(이하 미르M)’을 오는 31일 글로벌 시장에 정식 출시한다. ‘미르M’은 ‘미르의 전설2’에 현대적 해석을 더해 복원한 미르 IP 정통 계승작이다. 글로벌 버전은 지난해 8월 한국에 출시된 ‘미르M’에 블록체인 요소를 접목했다. 정식 출시와 함께 거버넌스 토큰 ‘도그마(DOGMA)’와 게임 토큰 ‘드론(DRONE)’을 비롯한 ‘미르M’의 토크노믹스, 특히 P&E(Play and Earn) 게임 플랫폼 ‘위믹스 플레이’를 기반으로 ‘미르M’과 ‘미르4’의 인터게임 이코노미를 선보인다.

[분석 "11시간 전 스타크넷토큰 공급량 7% 이동"]

웹3 분석 플랫폼 스코프 프로토콜(Scope Protocol)이 트위터를 통해 "11시간 전 '0x5c21'로 시작하는 주소가 스타크웨어(StarkWare) 자체 토큰인 스타크넷토큰(STRK) 공급량의 7%에 해당하는 694,895,781 STRK를 다른 주소들로 이체했다. 해당 물량은 스타크넷 토큰 민터 주소로부터 받은 물량과 초기 배포 물량으로 구성돼 있다. 앞서 스타크웨어는 스타크넷토큰(STRK)이 이더리움 메인넷에 배포된다고 전한 바 있다. STRK는 거버넌스 토큰으로 판매되지 않는다.

[노매드 해커, 토네이도캐시로 150만 달러 상당 ETH 이체]

블록체인 보안 업체 펙실드에 따르면, 크로스체인 암호화폐 브릿지 노매드(Nomad) 해커가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이더리움 지갑에서 암호화폐 트랜잭션 믹싱 프로토콜 토네이도캐시(TORN)로 오늘 1,205 ETH가 이체됐다. 이체 당시 시세 기준 이는 약 150만 달러 상당이다. 지난해 8월 노매드는 익스플로잇(취약점 공격)에 노출돼 약 1.86억 달러 상당의 암호화폐를 도난당한 바 있다.

[나노랩스 창업자 "블록체인, 응용의 시대... 홍콩의 새로운 기회"]

국 채굴용 반도체 제조사 나노랩스의 창업자 쿵지엔핑(孔剑平)이 홍콩에서 개최된 '파워 웹3 혁신자 포럼'에 참석해 "블록체인은 이제 응용의 시대에 이르렀다"고 진단했다. 이와 관련 그는 "블록체인 기술 발전은 지금 세 번째 단계에 와있다. 첫 번째는 비트코인이 주도하는 시대, 두 번째는 이더리움이 주도하는 금융 애플리케이션 위주의 블록체인 시대였다. 지금은 응용의 시대다. 지난해에는 NFT 등 블록체인 기반 프로토콜이 두각을 나타냈다. 중국 대륙이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기술에 소극적인 정책을 펼치고 있는 반면 홍콩 정부는 응용 분야의 블록체인 기술을 환영하고 있다. 이는 홍콩에게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메이투 창업자 "웹3, 20년 후 인터넷에 비견될 혁신적 산업"]

량의 암호화폐를 보유한 것으로 알려진 중국 뷰티 앱 개발사 메이투(Meitu) 창업자 차이원셩(蔡文胜)이 최근 홍콩에서 개최된 '파워 웹3 혁신자 포럼'에 참석해 "웹3 산업은 인터넷에 비견될만큼 우리 사회를 혁신적으로 바꿔놓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그는 "블록체인, 웹3 기술은 비트코인, 이더리움(ETH)으로 대표되는 '암호화폐'에 국한되지 않는다. 블록체인과 웹3는 인프라 혁신이다. 코인의 거래에 활용되는 기술은 그러한 혁신의 일부분에 불과하다"고 덧붙였다.

[폴리곤 고래 주소, 바이낸스로 900만 MATIC 이체...$760만 규모]

블록체인 온체인 데이터 분석 업체 룩온체인에 따르면 특정 폴리곤(MATIC) 고래 주소가 약 2시간 전 760만 달러 상당의 900만 MATIC을 바이낸스로 이체했다. 이 주소는 지난해 10월 28일, 11월 15일에도 바이낸스에 MATIC을 이체했다. 이 주소가 현재까지 바이낸스에 이체한 MATIC 물량은 4,417만 달러 상당의 5,200만 MATIC이다. 또 해당 주소의 MATIC 보유량은 2,746개(2,309만 달러)로 파악됐다. 코인마켓캡 기준 MATIC은 현재 7.30% 오른 0.8598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밀크파트너스, 말레이시아 전자지갑 서비스와 맞손]

블록체인 기반 포인트 통합 플랫폼 밀크(MLK) 운영사 밀크파트너스가 말레이시아 대표 전자지갑 서비스 부스트(Boost)와 제휴를 맺고 공동 마케팅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부스트는 다국적 통신 기업 악시아타(Axiata) 그룹이 운영하는 기업이다. 말레이시아 내 현지 기업이 많이 사용하는 지갑 중 하나로, 이용자 수는 1000만 명이 넘는다.

[멕시코, 2025년 CBDC 출시 계획]

현지 미디어 엘솔드멕시코(elsoldemexico)에 따르면 멕시코 정부가 오는 2025년 중으로 CBDC(중앙은행 발행 디지털화폐)를 출시할 계획이다. 멕시코 중앙은행은 "멕시코 페소 CBDC는 현재 프로젝트에 할당된 예산과 개발 일정 등을 고려했을 때, 2024년까지 준비를 마치고 2025년에 출시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대형 채굴풀 CEO "ETH, 3~5월 본격 상승 전망...현재 가격대 다신 안온다"]

중국계 대형 마이닝풀 BTC.TOP 창업자이자 오피니언 리더 장줘얼(江卓尔)이 8일(현지시간) 자신의 웨이보를 통해 "이더리움(ETH)은 올해 3~5월부터 본격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며, 영원히 지금의 바닥 구간을 벗어날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와 관련 그는 "EIP-1559 소각 메커니즘 도입 후 ETH 네트워크 상의 신규 토큰 발행량은 큰 폭으로 감소했다. 머지(PoS 전환) 전 ETH의 연간 인플레율은 3.59% 였지만, 오늘날 ETH 인플레율은 약세장 중 트랜잭션이 상대적으로 적음에도 0.01% 대를 기록하고 있다. 이는 ETH 가격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개인적으로 ETH는 다음 상승장의 선봉장이 될 것 같다. BTC보다 앞서 본격 상승 랠리를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ETH는 현재 3.27% 오른 1,301.98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암호화폐 VC 타이거 글로벌, 스타트업 투자 펀드 지원 축소 계획]

암호화폐 업계 VC 타이거 글로벌이 스타트업 투자 VC 펀드에 연락해 당초 약정했던 투자금액을 낮추고 싶다는 의사를 표명했다고 디인포메이션이 소식통을 인용해 전했다. 스타트업 시장 부진 및 투자 수익률 저조로 인해 타이거 글로벌의 후원자들과 일부 파트너가 투자를 반대했기 때문이라고 소식통은 말했다. 1년전 타이거 글로벌은 스타트업 투자에 주력하는 수십개 VC 펀드에 10억달러 출자를 약속한 바 있다. 앞서 블룸버그는 타이거 글로벌이 FTX에 대한 투자금 3800만 달러를 상각처리했다고 전한 바 있다.

[라이트코인 해시레이트 사상 최고치 경신]

이트코인(LTC) 재단이 공식 트위터를 통해 LTC 해시레이트가 8일(현지시간) 763.63TH/s를 기록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고 밝혔다. 코인마켓캡 기준 LTC는 현재 7.96% 오른 81.70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gerrard@tokenpost.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