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큰포스트 마감 브리핑] JP모건 CEO "비트코인은 분산형 폰지 사기" 外

| 토큰포스트 기자

[JP모건 CEO "비트코인은 분산형 폰지 사기"]

유투데이에 따르면, 미국 투자은행 JP모건의 제이미 다이먼(Jamie Dimon) 최고경영자(CEO)가 제41회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에서 "비트코인은 분산형 폰지 사기"라고 말하며 비트코인에 대한 비판적 입장을 재차 밝혔다. 제이미 다이먼은 2017년 "비트코인은 사기"라면서 "JP모건 트레이더의 비트코인 거래가 적발되면 즉시 해고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바이프로스트, BFC 스테이킹 입출금 일시 중단]

멀티체인 미들웨어 플랫폼 바이프로스트(BFC)가 트위터를 통해 "BFC 스테이킹 입출금을 일시 중단한다"며 "컨트랙트 내 BFC 락업을 방지하고 스테이킹된 모든 BFC를 메인넷으로 안전하게 이전하기 위한 조치"라고 밝혔다. 앞서 바이프로스트는 바이프로스트 인센티브 테스트넷(BIT2)을 출시, 메인넷 출시 전까지 운영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네스트리, NFT 상세정보 제공 서비스 론칭]

네스트리가 NFT 정보채널 ‘NTFs’ 에 신규 서비스 '컬렉션(Collection)'을 추가한다고 밝혔다. 해당 서비스는 NFT시장의 주요 컬렉션 순위를 리스팅하고 각 컬렉션별로 오버뷰(OverView), 홀더(Holder), 액티비티(Activity)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각 컬렉션의 독립적인 커뮤니티 공간을 제공한다.

[SEC, 리플사 2020년 이전 재무제표 봉인 요청 반대]

립토베이직에 따르면, 리플사가 약식 판결 신청 관련 제출 서류 중 11개 범주에 걸친 900개 이상의 문서 봉인을 요청한 가운데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부분적 반대 의견을 제출했다. 리플사는 민감한 비즈니스 및 금융 정보, 제3자의 민감한 개인 비즈니스 정보 등 보호를 이유로 꼽았으나, SEC는 리플사가 정보 공개로 야기되는 피해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하며, 지나치게 광범위한 정보 봉인 요청은 거부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SEC는 특히 2020년 이전의 재무제표, XRP 판매 관련 계약 조건을 완전히 봉인하려는 리플사의 요청에 전적으로 반대한다고 밝혔다.

[카이브, 1분기 말 메인넷 론칭]

탈중앙화 데이터 보관 솔루션 프로젝트 카이브(KYVE)가 공식 블로그를 통해 로드맵을 공개하며 1분기 말 메인넷을 론칭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또한 오라클, 제네시스 밸리데이터 프로그램도 출시 예정이며 연말까지 버그바운티, 해커톤, 그랜트 프로그램, 웹/앱 V3 릴리즈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카이브는 작년 6월 900만 달러의 투자 유치를 진행한 바 있다.

[홍콩 재경사무국고 장관 "홍콩, 中 본토와 별개로 자체 암호화폐 규제 마련 가능"]

크리스토퍼 후이 홍콩 재경사무국고(FSTB) 장관이 코인데스크와 인터뷰에서 "홍콩은 중국 본토의 개입 없이 자체적으로 암호화폐 규제를 마련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중국 본토와 홍콩은 하나의 국가이지만 서로 다른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으며 홍콩은 자체 규제 및 법률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며 "(규제로 인해) 중국을 떠나는 암호화폐 회사들이 홍콩으로 오기를 환영한다"고 말했다. 또한 "암호화폐는 투자 수단에 가깝다"고 평가했다. 다만, 새로 출범한 홍콩통화기금(Hong Kong Monetary Fund)이 암호화폐 회사에 대한 투자를 고려할 것인지 대해선 "그들은 그들만의 규정이 있다"며 말을 아꼈다.

[3대 선물 거래소 BTC 무기한 선물 롱숏 비율]

코인니스 마켓 모니터링에 따르면, 미결제 약정 규모 기준 세계 3대 암호화폐 마진 거래소 내 최근 24시간 BTC 무기한 선물 롱·숏 포지션 비율은 다음과 같다.

1. 바이낸스 (BTC-USDT, 시장 점유율 24.16%)

롱 50.44% | 숏 49.56%

2. 비트겟 (BTC-USDT, 시장 점유율 16.19%)

롱 51.68% | 숏 48.32%

3. 바이비트 (BTC-USDT, 시장 점유율 15.32%)

롱 49.71% | 숏 50.29%

[데이터 "후오비 글로벌 분기 수익 2년새 98%↓"]

크립토퀀트가 트위터를 통해 "지난 2년간 바이낸스, OKX 연간 수익은 10배, 4배 증가했다. 반면 후오비 글로벌 분기 수익은 2021년 2분기 이후 98% 감소했다"고 밝혔다.

[룩스레어 "트위터 유료 인증 서비스 신청 후 계정 일시 동결"]

NFT 마켓플레이스 룩스레어(LOOKS)의 공식 트위터 계정이 차단된 것과 관련, 룩스레어 중국 팀은 "트위터 유료 인증 서비스인 트위터 블루 신청 후 계정이 일시 동결돼 트위터에 이를 보고한 상태"라고 전했다.

[월가 투자은행 절반 이상 "미 최종금리 5.00∼5.25% 전망"]

연합뉴스에 따르면 한국은행은 뉴욕사무소가 지난 5일 현지 12개 투자은행(IB)을 상대로 자체 서베이를 진행한 결과 절반이 넘는 7곳이 미국의 최종 정책금리 수준을 5.00∼5.25%로 전망했다고 밝혔다. 두 달 전인 지난 11월 4일 조사 당시에는 3분의 1인 4곳이 5.00∼5.25%라고 응답한 것과 비교하면 3곳이 늘어난 셈이다. 다만 제롬 파월 의장을 비롯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고위 인사들의 거듭 부인에도 불구하고 연준이 연내 피벗(pivot·통화정책 방향 전환)에 나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연준은 향후 정책 기조가 충분히 제약적인 수준에 도달할 수 있도록 점진적인 금리 인상을 지속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또한 최종 정책금리 수준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상·하방 리스크에 대해 균형적인 스탠스를 유지하면서 금융 여건이 근거 없이 완화(unwarranted easing)되지 않도록 정책 커뮤니케이션을 강화해나갈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빗썸, 오늘 17시 원화·BTC 마켓에 FLR 상장]

빗썸이 오늘 17시 원화/BTC 마켓에 플레어(FLR)를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입금은 오늘 15시 오픈된다.

[BofA "올해 중반쯤 경기침체 리스크 소멸"]

뱅크오브아메리카(BofA)가 올해 중반이면 침체 리스크가 사라지게 될 것으로 전망했다. BofA는 마켓워치에 "연준과 유럽중앙은행(ECB)의 공격적인 금리인상 정책으로 상반기에 경기침체 리스크가 확대되겠지만, 올해 5~6월 정점을 찍은 뒤 시장에서 점차 사라지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세바스찬 래들러(Sebastian Raedler) 뱅크오브아메리카 수석 전략가는 올해 상반기에 미국과 유럽 경제가 침체 국면에 진입하면서 매우 취약해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지난해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각국 중앙은행이 시행한 공격적인 통화정책 여파가 아직 시장에 모두 반영되지 않았다"면서 "고강도 긴축에 따른 경제 피해가 올해 상반기 중 시장을 위축시킬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미국과 유럽에서는 주택 시장을 중심으로 이미 침체 신호가 나타나고 있다"면서 "유럽의 높은 에너지 가격도 시장을 압박하는 요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웹3 재단, 39개 프로젝트에 생태계 보조금 지원]

폴카닷(DOT) 개발사 웹3 재단이 10일 공식 블로그를 통해 제16차 생태계 지원 프로그램 웨이브(Wave)에 선정된 39개 프로젝트를 공개했다. 웹3 UI 프로젝트 6개, 블록체인 모듈 프로젝트 12개, 툴·API·프로그래밍 언어 프로젝트 16개 등이다. 웹3 재단은 지난해 150개 프로젝트를 포함해 지금까지 총 480여개 프로젝트에 보조금을 지급했다고 덧붙였다.

[보고서 "美 재무부 토네이도캐시 제재에 이용량 68% 감소"]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블록체인 분석 업체 체이널리시스가 보고서를 통해 "미국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OFAC)의 토네이도캐시 제재 이후 이용량이 68% 감소했으나, 완전 근절에는 실패했다"고 진단했다. 보고서는 "토네이도캐시 제재로 인해 프론트엔드는 사용이 불가능해졌지만, 스마트 컨트랙트는 무기한 실행될 수 있기 때문에 기술적으로는 누구나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OFAC의 제재는 토네이도캐시의 폐쇄가 아니라 사용자들의 사용 의지를 줄이는 정도의 성과만 올렸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NFT 마켓플레이스 룩스레어 트위터 계정 접속 차단]

NFT 마켓플레이스 룩스레어(LOOKS)의 공식 트위터 계정이 차단됐다. 아직 정확한 이유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현재 해당 계정에 접속하면 '운영원칙을 위반하면 계정을 차단 조치한다'는 내용이 표시되고 있다.

[아스타 네트워크, 퍼블릭 테스트넷에 XVM 출시]

폴카닷(DOT) WASM+EVM 스마트 컨트랙트 허브 아스타네트워크(ASTR)이 퍼블릭 테스트넷에서 맞춤형 인터페이스 세트 XVM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XVM은 EVM과 WASM 스마트 컨트랙트 간에 양방향 호출을 원활하게 한다는 것이 아스타네트워크의 설명이다.

[외신 "코인마켓캡 에어드랍 프로모션서 시스템 조작 정황 발견"]

코인텔레그래프가 블록체인 광고 솔루션 SaTT(SATT)를 인용해 지난 12월 코인마켓캡에서 진행한 SATT 에어드랍 과정에서 시스템 조작 정황이 발견됐다고 보도했다. 미디어는 "에어드랍 당시 25,000개의 지갑에 각각 4,000 SATT를 지급 하기로 했는데, 에어드랍 이후 SATT를 수령한 20,953개의 지갑이 보유 물량을 단 21개의 지갑으로 '자동 전송'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에어드랍 물량의 84%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에어드랍이 끝난 뒤 해당 월렛의 매도세가 유입되면서 토큰 가격이 70% 급락했다. 웹3 알고리즘 거래 네트워크인 토큰봇 창립자 샤운 뉴썸(Shaun Newsum) 역시 코인마켓캡 에어드랍 프로모션에서 비슷한 경험을 했다고 말했다. 그는 '에어드랍을 수령한 4000개의 지갑 중 3300개의 지갑이 1개의 지갑으로 토큰을 전송한 사실이 파악됐다'고 했다. 이 때문에 에어드랍을 노린 봇(Bot)이 활용됐거나 시스템이 조작된 것 아니냐는 의구심이 나오고 있다. 코인마켓캡 측은 '에어드랍 과정에서 악의적인 활동이나 시스템 조작은 사실상 불가능하지만, 다시 한 번 시스템을 점검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설명했다.

[코인원, XRP 보유자 대상 FLR 에어드랍 지원]

코인원이 2020년 12월 12일 09시 기준 리플(XRP) 보유자 대상 플레어네트워크(FLR) 에어드랍을 지원한다고 공지했다. 1월 11일까지 지급되며 FLR 출금 일정은 별도로 안내될 예정이다.

[아르카, 43만 APE 코인베이스로 이체...$204만 수준]

룩온체인에 따르면 암호화폐 중심 투자회사 아르카(Arca)가 약 9시간 전 204만 달러 상당의 언스테이킹 물량 434,407 APE를 코인베이스로 이체했다. 아르카가 지난 6일부터 10일까지 코인베이스로 보낸 APE는 총 559,408개(평균 4.6 달러)다. 아르카는 지난해 12월 바이낸스에서 평균 4.1 달러에 504,700 APE를 인출한 바 있다.

[상위 100개 이더리움 고래 지갑, 24시간 WETH·WBTC 매집]

상위 100개 이더리움 고래 지갑이 지난 24시간 동안 가장 많이 구매한 토큰은 다음과 같다. 스테이블코인은 제외.

1. WETH $135,975

2. WBTC $9,671

3. AWETH $7,452

4. SHIB $3,002

5. COTI $2,925

6. CRV $2,500

7. NMR $945

[솔라나 결제 프로토콜 지벡 V2 정식 출시]

솔라나 생태계 결제 프로토콜 지벡(ZBC)이 공식 트위터를 통해 V2를 정식 출시했다고 밝혔다. 지벡은 "사용자는 오는 12일 23시 59분(현지시간)까지 V1에 보유 중인 자금을 V2로 옮겨야 한다"고 설명했다. 앞서 지벡은 지난 9월 V2 베타 버전을 출시한 바 있다. 코인마켓캡 기준 ZBC는 현재 3.64% 내린 0.01077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뉴프리다오 공격자, 토네이도캐시로 1,200 BNB 이체]

블록체인 보안 업체 펙실드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뉴프리다오(NFD)를 공격했던 해커가 탈취 자금 가운데 1,200 BNB(31만 달러)를 암호화폐 트랜잭션 믹싱 프로토콜 토네이도캐시로 이체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코인니스는 뉴프리다오가 3차례에 걸친 플래시론 공격을 당해 125만 달러 상당의 자금을 도난당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gerrard@tokenpost.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