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큰포스트 마감 브리핑] 한국·홍콩, 가상자산 관련 외환범죄 공조 강화한다

| 토큰포스트 기자

[한국·홍콩, 가상자산 관련 외환범죄 공조 강화한다]

관세청이 가상자산과 연계된 불법 외환거래 등을 단속하기 위해 홍콩 관세 당국과 외환 범죄 관련 정보 교환을 활성화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윤태식 관세청장은 지난 15일(현지시간) 홍콩에서 호푸이샨 홍콩 관세청장과 양자 면담을 하고 이러한 방안을 논의했다. 현재 관세청은 현재 수사 중인 불법 의심 외환거래 자금 60% 이상이 홍콩 소재의 법인으로 흘러간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이에 따라 양국 관세 당국은 불법 외환거래와 관련된 정보 교환을 위해 외환 범죄 단속 협력에 관한 양해각서(MOU) 체결도 추진하기로 했다.

[폭탄 테러 단체에 암호화폐 자금 송금…국내 첫 적발]

국내 거주하던 외국인들이 UN이 지정한 테러단체에 암호화폐를 송금한 사실이 경찰과 국가정보원 공조 수사 끝에 적발됐다. 해외 테러단체에 현금이 아닌 암호화폐 송금이 확인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안보수사국은 "우즈베키스탄 국적 A씨는 1000만원 상당의 현금을 홍콩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USDT로 환전, 테러단체 측으로 입금했다. 카자흐스탄 국적 B씨도 테러 자금 명목에 자금이 쓰인다는 사실을 알고도 100만원 상당 암호화폐를 송금했다. 이들을 테러방지법 및 테러자금금지법 위반 혐의로 구속 송치했다"고 밝혔다.

[썸씽, 라이브워치 통한 실시간 유통량 모니터링 구축 완료]

블록체인 기반 소셜 노래방 앱 썸씽(SSX)이 가상자산 정보플랫폼 전문기업 크로스앵글의 실시간 유통량 모니터링 시스템 라이브워치(Live Watch)에 온보딩을 완료했다고 16일 밝혔다. 라이브워치는 실시간으로 유통량을 감지하고 가상자산의 유통 계획을 제공하는 모니터링 서비스다.

[코인원 PICA 유의종목 지정]

코인원이 피카(PICA)를 유의종목으로 지정했다고 공지했다. 코인원 거래지원 유지심사 항목 중 하나인 프로젝트 외부평가 기준을 미달했다는 이유에서다. 지정 기간은 3월 2일 23:59까지다.

[지난 24시간 글로벌 주요 암호화폐 기업 투자 유치 현황]

지난 24시간 전세계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기업 9곳이 총 6390만 달러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 각 기업별 투자 유치 내역은 다음과 같다.

[美 기술 정책 전문가, 리플 소송 법원에 힌먼 연설 공유 요청]

리플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간의 '미등록 증권 판매' 소송을 지속적으로 추적해온 미국 연방 검사 출신 변호사 제임스 K. 필란(James K. Filan)이 트위터를 통해 "기술 정책 전문가 로슬린 레이튼(Roslyn Layton)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 리플(XRP) 소송 관련 윌리엄 힌먼(William Hinman) 전 SEC 이사의 연설 자료 공유를 법원에 요청했다"고 밝혔다. 힌먼의 연설은 리플과 SEC 간 '미등록 증권 판매' 소송의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증거 자료다.

[암호화폐 프라이빗 키 강제 공개 방지 법안, 美 와이오밍주 하원 통과]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미국 와이오밍주 하원의회가 암호화폐 프라이빗 키를 공개하도록 강제하는 것을 금지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해당 법안은 지난 2월 15일 의회를 통과했고, 올 7월 1일부터 시행된다. 해당 법안은 "어떤 사람도 민사, 형사, 행정, 입법 또는 기타 절차를 통해 프라이빗키를 다른 사람에게 알려주도록 강요할 수 없다"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룩온체인 "다수 기관 펀드, 2/10 이후 BTC 시장에 16억 달러 투입"]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 업체 룩온체인(Lookonchain)이 "2월 10일 이후 다수 펀드가 비트코인 시장에 16억 달러를 쏟아 부으면서, 최근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 상승을 주도했다"고 진단했다. 룩온체인은 "10일 이후 서클에서의 USDC 입출금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다수 기관이 서클에서 16억 USDC를 인출하고 2억 USDC만 예치했다. 과거 여러 차례 언급된 바 있는 한 익명 펀드는 지난 10일부터 0x308F로 시작하는 주소를 통해 서클에서 1.5억 USDC를 인출해 거래소로 이체했다. 이 펀드는 0xad6e로 시작하는 또 다른 주소를 통해 서클에서 3.97억 USDC를 인출해 거래소로 이체했다. 이외에도 또 다른 펀드 소유 주소(0x3356로 시작)는 서클에서 9.53억 USDC를 인출, 거래소 이체했고, 팔콘X(FalconX)와 관련된 펀드도 서클에서 1.4억 USDC를 인출했다. 최근 BTC 상승은 이와 관련된 것으로 추측된다"고 분석했다. 앞서 룩온체인은 올해 암호화폐 가격 상승 전 익명의 펀드가 시장에 대규모 자금을 투입하기 시작했다고 전한 바 있다.

[코인원 2/22 FLOW 입출금 일시 중단...네트워크 업그레이드]

코인원이 2월 22일 18시 플로우(FLOW) 네트워크 업그레이드로 인해 입출금을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이오스네트워크재단 "3월 말 메인넷서 EOS EVM 출시 예정"]

이오스네트워크재단(ENF)이 최근 상위 30개 블록 프로듀서(BP)들과 가진 월간 회의에서 "오는 3월 말 EOS 메인넷에 EOS EVM을 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 이날 회의에서는 바이낸스에 이오스 기반 USDT 상장 추진, 메사리에 EOS 소개 보고서 발행 등 내용이 언급된 것으로 전해졌다. 코인마켓캡 기준 EOS는 현재 6.03% 오른 1.11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뉴욕 연은 총재 "인플레 잡으려면 성장 둔화와 고용 악화 불가피"]

존 윌리엄스 뉴욕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가 "인플레 통제를 위해 미 연준이 더 많은 일을 해야 한다"면서 "이런 노력에는 성장 둔화와 고용 악화를 필요로 한다"고 밝혔다. 16일(현지시간) 블룸버그에 따르면 윌리엄스 총재는 "통화정책의 기어는 인플레이션을 2%까지 끌어내리는 방향으로 쉼없이 움직일 것"이라며 "우리는 이 일이 끝날 때까지 과정을 계속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당국자들이 금리를 '충분히 제한적인 곳'에 두기 위해 '목표 범위에서 지속적인 인상'이 적절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연준에서 밝힌 기존의 자신 발언을 반복했다. 또한 "올해 GDP 성장률이 1%로 둔화되고 실업률도 4.0~4.5%로 상승할 것으로 본다"며 "현재 시장에서 보이는 일부 하락 지표들은 물가상승률을 2%로 끌어내리기에 충분하지 않다"고 말했다.

[애널리스트 "메이커다오 창업자, 오늘 223만 달러 상당 LDO 매도"]

암호화폐 온체인 데이터 애널리스트 비트코인엠버(BicoinEmber)가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온체인 데이터에 따르면, 룬 크리스텐슨(Rune Christensen) 메이커다오(MKR) 창업자는 오늘 암호화폐 상승장을 틈타 탈중앙화 P2P 거래소 제로엑스(ZRX)를 통해 약 80만 LDO를 매도, 223만 DAI로 환전했다. 평균 매도가는 2.78 달러"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그는 "룬 크리스텐슨의 지갑에는 아직 680만 LDO가 남아있다"고 덧붙였다. 코인마켓캡 기준 LDO는 현재 9.62% 오른 2.80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레이어1 블록체인 샤디움, 스핑크스 베타넷 1.1 버전 출시]

레이어1 블록체인 프로젝트 샤디움(SHM)이 공식 트위터를 통해 스핑크스 베타넷 1.1 버전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해당 버전에서는 1.0 버전에서 발견된 일부 버그가 수정됐으며, 설치 프로그램, 대시보드 및 운영자 CLI 등이 개선됐다는 게 샤디움 측의 설명이다. 샤디움은 앞서 지난 2월 2일 스핑크스 베타넷 1.0 버전을 출시한 바 있다.

[바이낸스, 2/17 BTC/RON·AGIX/USDT·APT/ETH 거래페어 추가]

바이낸스가 2월 17일 17시(한국시간) BTC/RON, AGIX/USDT 및 APT/ETH 거래페어 지원을 추가한다고 공지했다.

[업비트 2/22 FLOW 입출금 일시 중단... 네트워크 업그레이드]

업비트가 플로우(FLOW)의 네트워크 업그레이드로 인해 22일 18시 FLOW 입출금 서비스를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비트멕스 창업자 추정 주소, 34.1만 BLUR 수령]

블록체인 보안 전문 업체 펙실드(PeckShield)에 따르면 비트멕스 공동 창업자 아서 헤이즈(Arthur Hayes) 라벨링 주소가 특정 주소(0x62ac로 시작)로부터 341,000 BLUR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코인마켓캡 기준 BLUR은 현재 46.48% 오른 1.14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애니모카브랜드, 웹3 댄스 배틀 플랫폼 '버추어 아트'에 전략적 투자]

블록체인 및 NFT 게임 개발 및 투자사 애니모카브랜드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웹3 댄스 배틀 플랫폼 버추어 아트(Virtual Arts)에 전략적 투자를 단행했다고 밝혔다. 단, 투자금은 공개되지 않았다. 버추어 아트는 웹3 콘텐츠 확대에 투자금을 활용할 방침이다.

[작년 게임파이 시총, $270억→$33억]

크립토슬레이트가 게임파이 토큰의 전체 시가총액이 지난해 초 270억 달러에서 같은해 말 33억 달러까지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보도했다. 같은 기간 월간 거래량은 31억 달러에서 8000만 달러로 약 97% 감소했다. 단, 게임파이 분야의 투자 유치는 2021년 29억 달러에서 2022년 54억 달러로 늘어났다. 특히 블록체인 및 NFT 게임 개발 및 투자사 애니모카브랜드는 게임파이 투자 건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컴파운드, 멀티체인 지원 '코멧' 위한 ENS 하위 도메인 초기화 제안 부결]

디파이 대출 프로토콜 컴파운드(COMP)가 멀티체인을 지원하는 세번째 버전 코멧(Comet, Compound III) 배포를 위해 ENS 하위 도메인을 초기화하는 내용의 거버넌스 제안을 상정했으나 부결됐다. 찬성율은 100%였으나, 참여표가 273,484표로 의결정족수(40만표)에 미치지 못했다. 앞서 컴파운드는 지난해 8월 코멧 업그레이드 준비를 완료했으며 거버넌스 제안 상정과 온체인 투표를 거쳐 가동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코인마켓캡 기준 COMP는 현재 8.38% 오른 53.15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집멕스, 채권자에 '고객 자금 100% 반환 계획서' 발송]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지난해 출금을 중단한 싱가포르 소재 암호화폐 거래소 집멕스(Zipmex)가 고객 자금 반환 프로세스를 포함한 계획서를 채권자들에게 발송했다. 오는 2월 21일까지 해당 안건에 대해 찬반 투표를 진행해 최종 결정될 예정이다. 해당 계획서가 찬성 통과되면 고객들은 집멕스 자체 월렛인 Z월렛을 통해 자금을 100% 반환 받을 수 있다는 것이 집멕스의 설명이다.

[플레이댑, P2P 서버 제공업체 프라우드넷 인수...美 게임 시장 진출]

블록체인 서비스 플랫폼 플레이댑(PLA)이 공식 블로그를 통해 P2P 서버 네트워크 제공업체 프라우드넷을 인수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인수는 미국 게임 시장 진출을 위한 공격적 행보라는 게 플레이댑 측의 설명이다. 또 플레이댑은 프라우드넷 인수를 통해 온라인 멀티플레이어 게임 플레이를 위한 서버 안정성, 신뢰 가능한 기술 개발 환경을 제공할 예정이다. 코인마켓캡 기준 PLA는 현재 14.31% 오른 0.2573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남성 패션 잡지 GQ, 3/8 NFT 출시...구독권 등 제공]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글로벌 남성 패션 잡지 GQ가 오는 3월 8일 NFT를 출시한다. NFT 보유자에게는 GQ 구독권, 상품, 라이브 이벤트 참여 기회 등이 제공된다. NFT는 총 1,661종이 발행될 예정이며, 가격은 약 330달러 상당의 0.1957 ETH로 책정됐다.

[보안업체 "北 라자루스, 하모니 해킹 자금 중 600만 달러 세탁"]

블록체인 보안 전문 업체 펙실드(PeckShield)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북한의 해커 그룹 라자루스(Lazarus)가 지난해 하모니(ONE) 생태계 크로스체인 브릿지 호라이즌을 공격해 빼돌린 자금을 일부 세탁했다"고 밝혔다. 펙실드는 "라자루스는 장기간 소액 거래로 대량의 자금을 세탁하는 일명 '필 체인 레이어링 프로세스'를 통해 600만 달러 상당의 ETH를 세탁했다. 이후 이 자금을 특정 주소(0xbae5로 시작)에 넣고, 다시 일부 ETH를 USDT로 교환했다. 해당 USDT는 바이비트와 후오비에 나눠 이체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美 폭스사, 미국판 '복면가왕' 연계 NFT 판매]

엔터테인먼트 전문 미디어 버라이어티에 따르면 폭스 엔터테인먼트가 미국판 '복면가왕(The Masked Singer)'과 연계한 NFT 판매에 나선다. 시청자들은 복면가왕 출연자 가운데 다음 라운드 예상 진출자를 투표하면 포인트를 받을 수 있으며, 이를 모아 NFT를 구매할 수 있다. NFT는 개당 49.99 달러에 판매되며, 1,050개가 발행될 예정이다.

[외신 "홍콩 암호화폐 규제, 미국보다 엄격해"]

유력 암호화폐 미디어 우블록체인이 "홍콩은 라이선스 의무화라는 체계를 통해 암호화폐 거래소를 규제하고 있다. 이를 통해 거래소에 상장된 코인을 모니터링하고, 암호화폐 광고도 금지하고 있다. 실제로 홍콩의 암호화폐 규제 환경은 오늘날 미국보다 엄격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앞서 브라이언 암스트롱 코인베이스 최고경영자(CEO)는 16일 트위터를 통해 "미국의 암호화폐 규정은 불명확하다. EU, 영국, 홍콩 등 국가들은 열려있는 암호화폐 정책을 펼치며 산업을 주도하고 있으며, 미국은 장기적인 금융 허브의 지위를 잃을 수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망고마켓 해커 "탈취 자금 중 6,700만 달러 반환...책임 다 했다"]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솔라나(SOL) 기반 탈중앙화 거래소 망코마켓(MNGO)를 해킹해 약 1.14억 달러 상당의 암호화폐를 탈취한 해커 아브라함 아이젠버그(Avraham Eisenberg)의 변호인들이 15일(현지시간) 법원에 제출한 자료를 통해 "망고마켓 해킹에서 챙긴 1.14억 달러 상당의 암호화폐 중 6,700만 달러를 망고마켓 측에 반환했다. 피해를 입었던 모든 관계자들은 망고마켓 트레저리를 통해 자산을 회수할 수 있었으며, 이로써 사건이 종결됐다고 생각했고 망고 측으로부터 고소를 당하기 전 어떤 소식도 듣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한편 아이젠버그를 고소한 망고마켓 개발사 망고랩스 측은 당시의 합의가 해커의 강압에 의해 체결됐기 때문에 무효로 봐야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웹3 ID 스타트업 아스펙타, 美 스탠퍼드대와 파트너십 체결...해커톤 지원]

웹3 ID 구축 스타트업 아스펙타(Aspecta)가 공식 채널을 통해 미국 스탠퍼드 대학교와 기술 지원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아스펙타는 2월 17일(현지시간) 스탠퍼드 대학교가 주관하는 해커톤인 트리핵스의 독점 기술 파트너로 참여한다. 트리핵스의 주요 파트너사 및 후원사로는 세쿼이아캐피털, Y콤피네이터, 오픈AI, 포어사이트벤처스, BNB체인 등이 참여할 예정이다. 또 아스펙타는 스탠퍼드와의 장기 전략적 파트너십을 구축해, 글로벌 개발자 커뮤니티를 만들겠다고 덧붙였다.

[비오신, BNB체인 킥스타트 프로그램 공식 보안 감사 업체로 선정]

블록체인 보안 전문 업체 비오신이 BNB체인(BNB) 킥스타트 프로그램(BNB Chain Kickstart Program)의 공식 보안 감사 서비스 업체로 선정됐다. 이를 통해 BNB체인과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강화한다는 게 비오신 측의 설명이다. BNB체인은 지난해 12월 생태계 개발자 및 프로젝트 등을 지원하는 스타터 팩 프로그램인 킥스타트를 출범한 바 있다. 코인마켓캡 기준 BNB는 현재 8.90% 오른 322.11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美 투자자문사 "미 국채 수익률 5%, 2007년 이후 처음"]

미국 투자 자문사 펜션 파트너스(Pension Partners) 연구 총괄 찰리 빌레로(Charlie Bilello)가 트위터를 통해 "국채 수익률이 5%를 넘은 것은 2007년 이후 처음"이라고 말했다.

[아스타, 도요타 후원 해커톤에 400여 팀 참가]

아스타(ASTR)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도요타가 후원하는 아스타 해커톤에 전세계 400 여 팀이 참가했다고 밝혔다. 해커톤에서 입상한 개발자들은 도요타의 비즈니스 의사결정 및 팀 관리 효율화를 위한 사내 DAO(분산형자율조직) 구축에 참여할 예정이다. 해커톤은 아스타 네트워크의 첫 번째 메타버스 COSMIZE 이벤트홀에서 개최된다.

[데이터 "전날 이더리움 일일 소각량 6,481 ETH...지난해 5월 이후 최]

블록체인 빅데이터 플랫폼 OK링크에 따르면, 전날 이더리움 네트워크 일일 ETH 소각량이 6,481.86 ETH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5월 중순 이후 가장 많은 일일 소각량이다. 코인마켓캡 기준 ETH는 현재 9.61% 오른 1,694.42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홀로그램랩스, 유명 NFT 컬렉션 퍼지펭권 3D 버전 지원]

유명 NFT 프로젝트 퍼지펭귄이 NFT 제작사 홀로그램랩스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협업을 통해 홀로그램 측은 퍼지펭귄 NFT의 3D 버전 제작을 지원하며, 퍼지펭귄 보유자들의 3D 아바타를 이번주에 한해 무료로 지급할 예정이다.

[보이저 추정 주소, 바낸US·코베로 1.5만 ETH 등 전송...총 2870만 달러 규모]

블록체인 보안 전문 업체 펙실드(PeckShield)에 따르면 보이저 추정 주소가 2,530만 달러 상당의 15,000 ETH를 바이낸스US와 코인베이스로, 또 340만 달러 상당의 250억 SHIB을 코인베이스로 전송했다. 총 2,870만 달러 규모다. 앞서 보이저는 지난해 9월 7일 FTX에서 105,000 ETH를 인출한 바 있다.

[비프렌즈, NFT 소각 및 보상 플랫폼 '번 아일랜드' 출시]

NFT 프로젝트 비프렌즈(VeeFriends)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디플레이션 플랫폼인 번 아일랜드(Burn Island)를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비프렌즈 보유자는 번 아일랜드에서 NFT를 소각해 보상을 받을 수 있다. 번 아일랜드를 통한 첫번째 소각은 2월 21일(현지시간)부터 3월 2일까지 가능하다.

[스테픈, 제네시스 스니커 보유자 대상 GMT 에어드랍 예고]

우블록체인에 따르면, M2E 프로젝트 스테픈(GMT)이 제네시스 스니커(Genesis sneaker) NFT 보유자 대상 대규모 에어드랍을 예고했다. 회색 신발 보유자에게는 4,000 GMT, 녹색 신발 보유자에게는 8,000 GMT, 파란색 신발 보유자에게는 16,000 GMT, 보라색 신발 보유자에게는 32,000 GMT가 할당될 예정이다.

gerrard@tokenpost.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