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기준금리 3.50% 동결...비트코인·이더리움 동반 하락]
한국은행이 최근 경기 둔화 흐름과 가팔랐던 금리 인상의 효과를 지켜보기 위해 1년 만에 기준금리를 동결했다고 23일 밝혔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 이날 오전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에서 기준금리를 현행 연 3.50%로 유지했다.
기준금리 동결은 지난해 2월 이후 1년 만의 일이다.
금통위는 작년 4월부터 지난달까지 사상 처음 7연속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한 바 있다. 이번 동결 결정은 그간의 기준금리 인상 행진을 깨뜨렸다.
한편, 토큰포스트 마켓 오전 10시 기준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이 동반 하락한 가운데 암호화폐 시장이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
비트코인은 24시간 전보다 0.86% 하락한 2만 4149달러(환화 약 3146만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더리움은 1.07% 하락한 1639.93 달러 (환화 약 213만원)에 거래 되고 있다.
외환시장 불안도 커지고 있다. 미국의 긴축 지속 우려에 1200원 초반대까지 내려갔던 원·달러 환율도 전날 1304.9원에 거래를 마치는 등 2개월 만에 1300원을 다시 넘어섰다.
[매크로 하이브 "미 금리 8%까지 올려야 인플레 통제 가능"]
시장조사업체 매크로 하이브(Macro Hive)는 "최근 발표된 미국의 1월 경제 데이터가 인플레이션 재점화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면서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연준이 기준금리를 8%까지 올려야 한다"고 밝혔다. 뉴욕 연방준비은행 출신이자 매크로 하이브의 수석 전략가 드워 프레코(Dwor-Frecaut)는 연준이 공격적인 금리인상에 나서도 시장이 충분히 견뎌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녀는 "지난 10년 사이 미국의 가계 부채가 줄어들고 대차대조표가 매우 견조해졌다"면서 "연준의 긴축 통화정책에 대한 강력한 면역력이 생겼다"고 평가했다. 전략가는 인플레이션 상승 배경에 '임금·물가 소용돌이'가 있다고 진단했다. '임금·물가 소용돌이'란 임금이 오르면 물가가 오르고, 물가가 오르면 임금이 올라서 마치 소용돌이처럼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며 상승하는 현상을 뜻한다.
[프랙스 파이낸스, 목표 담보율 100% 상향 거버넌스 제안 통과]
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 프로토콜 프랙스 파이낸스(Frax Finance)의 목표 담보율(Collateral Ratio, CR)을 100%로 상향하는 거버넌스 제안이 통과됐다. 거버넌스 제안자는 "프랙스는 부분 알고리즘 담보로 인해 덜 안전한 옵션이라는 인상을 주며, 현재의 92% CR을 유지한다고 해서 얻을 수 있는 것은 없다"고 이유를 밝혔다. 해당 거버넌스 제안의 투표는 2월 18일 시작돼 23일 종료됐으며, 98.08%의 찬성으로 통과됐다.
[메타마스크 브릿지, 아비트럼·옵티미즘 지원]
메타마스크는 오늘 새벽 메타마스크 브릿지(MetaMask Bridges)가 레이어2 네트워크인 아비트럼, 옵티미즘 지원을 시작했다고 공지했다. 이로써 메타마스크 브릿지 지원 네트워크는 기존 이더리움, 아발란체, BNB체인, 폴리곤을 포함해 6개로 늘었다.
[캐나다 자산운용사 이볼브, 디지털자산 보조 수탁업체로 코인베이스 선정]
PR뉴스와이어에 따르면 캐나다 소재 자산운용사 이볼브(Evolve)가 자사 디지털 자산의 보조 커스터디안(Custodians)으로 코인베이스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코인베이스는 캐나다 토론토 증권거래소에 상장돼 거래되는 1억 4800만 달러 규모의 디지털 자산 ETF 커스터디를 맡게 된다. 이볼브의 운용 자산은 총 52억 달러 수준이다.
[솔라나 웹3폰 사가 NFT 민팅 앱 공개]
솔라나 모바일은 솔라나 웹3폰 사가(Saga) 앱 민티 프레쉬(Minty Fresh)를 공개했다. 민티 프레쉬는 NFT 민팅 앱으로, 누구나 사가에서 직접 NFT를 민팅할 수 있다. 솔라나 모바일은 "현재 NFT 민팅은 누구나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컴퓨터로 복잡한 단계를 거쳐야 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민티 프레쉬를 사용하면 사가로 사진을 찍고 몇 초 안에 온체인 NFT로 변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코인베이스 COO "NFT 사업 포기 안 한다"]
디크립트에 따르면 에밀리 최(Emilie Choi) 코인베이스 COO가 "코인베이스 NFT를 가치있는 프로젝트로 보고 있다. 우리는 여기서 중장기적인 기회를 보고 있으며, 사업을 중단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그녀는 "과거보다 프로젝트에 더 적은 인원을 투입하고 있다"고 말했다. 코인베이스 NFT는 지난 한 주 동안 41건의 거래와 4900달러 상당의 거래대금을 기록했다. 반면 같은 기간 오픈씨, 블러의 거래량은 303,000건, 53,000건에 달했다.
[위믹스 재단, 위믹스 투자 승인 프로그램 'WAIT 프로토콜' 신설]
위메이드는 위믹스(WEMIX) 재단이 위믹스 투자 승인 프로그램 WAIT(Wemix Approves Investment Transparently) 프로토콜을 발표했다고 밝혔다. WAIT 프로토콜이 시행되면, 위믹스 투자는 제안, 심의, 확정 등 3단계를 거쳐 결정된다. 재단과 실무 조직이 위믹스 투자를 제안하면, 투자위원회(Investment Committee)와 위믹스의 노드카운슬파트너인 40 원더스의 과반수 찬성을 차례로 얻어야 투자 집행이 최종 승인된다. 제안 내용과 투표 결과는 40 원더스 웹사이트에 공개된다. 신설 조직인 투자위원회는 위믹스 커뮤니티에 대한 객관적 시각을 지닌 외부 인사 2명과 위메이드 대표이사, 총 3인으로 구성될 예정이다.
[10T 홀딩스 설립자, 10억 달러 규모 암호화폐 사모펀드 조성 준비]
블록웍스에 따르면 글로벌 사모펀드 10T 홀딩스(10T Holdings) 설립자 댄 타피에로(Dan Tapiero)가 10억 달러 규모의 암호화폐 사모펀드 출시를 준비하고 있다. 미디어는 "댄 타피에로는 올 3분기 사모펀드 출시를 목표로 브레반 하워드 헤지펀드(Brevan Howard hedge fund) 공동 설립자인 앨런 하워드(Alan Howard) 등 거물급 투자자들로부터 10억 달러를 조달하고 있다. 이 펀드는 디지털 자산 관련 기업 가운데 중장기적으로 성장 가능성이 큰 곳들을 골라 포트폴리오에 담는 것이 특징이다. 아울러 그는 향후 10T 홀딩스와 새로운 사모펀드 회사 최고경영자(CEO)직을 겸임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인도 웹3 게임 스타트업 크라토스, 2천만 달러 시드 투자 유치]
더블록에 따르면 인도 웹3 게임 스타트업인 크라토스 스튜디오(Kratos Studios)가 밸류에이션 1억5000만 달러로 2천만 달러 시드 투자를 유치했다. 이번 시드 라운드는 액셀(Accel)이 주도했으며, 프로서스 벤처스(Prosus Ventures), 코트사이드 벤처스(Courtside Ventures), 넥서스 벤처 파트너스(Nexus Venture Partners), 나자라 테크놀로지스(Nazara Technologies) 등이 함께 참여했다. 크라토스 스튜디오는 일드 길드 게임즈(YGG) DAO의 서브 DAO인 IndiGG를 인수한 바 있다.
[빗썸 오늘 SHIB, LM 원화마켓 추가]
빗썸이 오늘 오후 3시 시바이누(SHIB), 레저메타(LM)가 원화 마켓에 추가된다고 공지했다. 입금은 오늘 오후 12시 오픈된다.
[수이 네트워크, 테스트넷 웨이브3 검증자 모집]
레이어1 블록체인 수이(Sui)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테스트넷 웨이브3(Wave 3) 검증자를 모집한다고 밝혔다. 신청 접수는 오는 27일 16시 59분(한국시간)까지 진행된다.
[美 공매도 제왕 "코인베이스, 올해 폭등했지만 공매도 생각 변함없어"]
월가에서 '공매도 제왕'으로 불리는 짐 차노스(Jim Chanos) 키니코스 어소시에이츠(Kynikos Associate) 회장이 CNBC와의 인터뷰에서 "코인베이스가 올해 70% 이상 폭등하고 있지만 펀더멘탈이 약한 만큼 추가 상승여력이 제한적일 것이다. 코인베이스에 대한 공매도 포지션을 유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는 "올해 상당수 투자자들이 암호화폐 시장 생존에 베팅했기 때문에 코인베이스가 폭등할 수 있었다. 하지만 코인베이스가 개인 투자자에 대한 수수료율 인상으로 수익을 내고 있는데 이는 지속 가능한 사업 모델이 아니다. 고객 예금에 대한 이자를 지불하지 않는 점도 향후 코인베이스의 발목을 붙잡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코인베이스는 지난해 4분기 실적에서 매출 6.29억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애널리스트 예상치(5.88억 달러)를 상회한 수준이다.
[익명 해커 "트위터, 트위터 코인 기능 추가 중"]
익명의 화이트 해커 'Tree of Alpha'가 트위터를 통해 "트위터가 '트위터 코인' 기능을 추가하기 시작했다. 현재 지원되는 코인 구매 방법은 스트라이프(Stripe)가 유일하며, 이 코인으로 무엇을 할 수 있는지는 확인중이다"라고 밝혔다. 트위터는 스크린샷 내 트위터코인 결지 페이지에서 "사용자는 코인을 사용해 훌륭한 트윗을 한 크리에이터를 후원할 수 있으며, 사용하지 않은 코인은 지갑에 보관된다"고 설명하고 있다.
[작년 환치기 5.2조 '역대 최대'…中 통한 가상자산이 대부분]
지난해 적발된 불법 외환거래 중 환치기 적발 금액이 5조2399억 원을 넘어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환치기 대부분은 외국보다 국내에서 가상자산이 높은 가격에 거래되는 이른바 ' 김치 프리미엄'을 노린 가상자산 환치기로 중국을 통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송언석 국민의힘 의원이 관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전체 환치기 적발금액 중 가상자산을 이용한 환치기 적발금액은 2018년 7841억 원(10건)에서 2022년 4조7566억 원(12건)으로 6.1배 증가했다. 가상자산 환치기 1건당 평균 금액은 2018년 784억 원에서 2022년 3964억 원으로 3180억 원(4.1배) 늘었다. 가상자산 환치기 국가별로는 2017년부터 2022년까지 중국이 3조2833억 원(23건)으로 가장 많았고 홍콩 2조5483억 원(7건), 호주 4170억 원(1건), 일본 1302억 원(2건), 필리핀 442억 원(2건), 기타 381억 원(1건 ) 순으로 나타났다.
[크립토 '공포·탐욕 지수' 56...탐욕 유지]
암호화폐 데이터 제공 업체 알터너티브(Alternative)의 자체 추산 '공포·탐욕 지수'가 전날 대비 3 포인트 내린 56을 기록했다. 탐욕 단계가 유지됐다. 해당 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시장의 극단적 공포를 나타내며, 100에 가까울수록 극단적 낙관을 의미한다. 공포 탐욕 지수는 변동성(25%), 거래량(25%), SNS 언급량(15%), 설문조사(15%), 비트코인 시총 비중(10%), 구글 검색량(10%) 등을 기준으로 산출된다.
[폴리곤 블록체인은 정상 가동 중...블록 익스플로러만 오류 겪어]
코인데스크가 트위터를 통해 "폴리곤 블록체인 익스플로러 폴리스캔이 서비스 문제를 겪었으며, 폴리곤 블록체인 자체는 정상 가동 중"이라고 전했다. 앞서 코인데스크는 폴리곤이 한시간 이상 블록을 처리하지 못하면서, 체인에 이슈가 생겼을 수 있다고 보도했다.
gerrard@tokenpost.kr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