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큰포스트 마감 브리핑] '증시 강세론자' 야데니 "美 경제 연착륙 확률 40%...증시 희망 있어" 外

| 토큰포스트 기자

['증시 강세론자' 야데니 "美 경제 연착륙 확률 40%...증시 희망 있어"]

월가의 대표적인 증시 강세론자 에드 야데니(Ed Yardeni) 야데니 리서치 대표가 미국 경제 연착륙(Soft Landing) 가능성을 주장하고 나섰다. 그는 고객들에게 보낸 서한을 통해 "인플레이션 재점화, 기업 실적 둔화, 고강도 긴축 리스크에도 불구하고 미국 경제가 여전히 좋은 위치에 있다. 우선 미국 경제를 둘러싼 4가지 시나리오가 있는데 각각 ▲연착륙(40%) ▲디스인플레이션 무착륙(20%) ▲인플레이션 무착륙(20%) ▲경착륙(20%)이다. 미국의 국내총생산(GDP)이 더 높아지고 인플레이션이 3~4%까지 떨어질 경우 미국 경제가 연착륙에 성공할 것이다. 단, 인플레이션이 완화되고 실질 GDP가 2~3% 수준으로 집계되는 디스인플레이션 무착륙 시나리오의 가능성도 20%에 달한다. 이 시나리오라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견조한 경제 상황을 고려해 미국의 기준금리를 5.50%~5.75% 수준까지 올릴 수 있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하드웨어 월렛 원키, 시리즈 A+ 펀딩서 기업가치 $8500만 평가]

암호화폐 하드웨어 월렛 원키(OneKey)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기업 가치 8500만 달러로 평가받으면 시리즈 A+ 투자 유치를 마쳤다고 밝혔다. 투자금은 공개되지 않았다. 이번 투자는 IOSG 벤처스가 주도했다. 앞서 코인니스는 지난해 9월 원키가 2000만 달러 규모 A 시리즈 투자를 유치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카이버스왑, 체인지 파이낸스와 파트너십]

탈중앙화 유동성 네트워크 플랫폼 카이버네트워크(KNC) 산하 토큰 스왑 플랫폼 카이버스왑(KyberSwap)이 공식 트위터를 통해 DEX 애그리게이터 체인지 파이낸스(Chainge Finance)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체인지 파이낸스는 사용자 이용 편의 향상을 위해 카이버스왑의 애그리게이터 API를 활용하게 된다. 카이버 스왑은 조만간 보다 구체적인 파트너십 내용을 공유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코인마켓캡 기준 KNC는 현재 2.60% 오른 0.8671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3AC 보유 NFT 시리즈, 강제 매각 수순...총 60여종 매물로 나온다]

더블록에 따르면 파산한 암호화폐 헤지펀드 쓰리애로우캐피털(3AC)이 보유한 NFT 시리즈가 강제 매각될 예정이다. NFT 매각은 3AC 파산 관재인 테네오(Teneo)가 약 28일 이내에 진행할 예정이다. 미디어는 "이번에 매물로 나오는 NFT 시리즈는 크립토펑크 등 모두 59종으로 대부분 블루칩으로 분류된다. 테네오 측은 해당 NFT의 가격이 총 640만 달러 수준이라고 설명했으나, 이는 바닥가를 기반으로 했기 때문에 실제 가격은 한결 높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로이터 "美 재무장관, 인도 재무장관 만나 암호화폐 논의"]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과 인도 재무장관 니르말라 시타라만(Nirmala Sitharaman)이 만나 암호화폐 자산에 대한 건전성에 대해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이날 자리에서 글로벌 국가 채무 문제 등도 함께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인도는 현재 G20 의장국 을 맡고 있으며, 니르말라 시타라만 장관은 지난 14일 "G20은 현재 암호화폐 채굴 및 규제에 대해 세부적으로 논의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레이어1 블록체인 칸토, 올 들어 일일 활성 주소·트랜잭션 수 널뛰기]

코인데스크가 블록체인 데이터 플랫폼 아르테미스(Artemis)의 데이터를 인용해 레이어1 블록체인 칸토(Canto)의 일일 활성 주소 및 트랜잭션 수가 급등·락을 보이고 있다고 보도했다. 지난 1월 1일 기준 트랜잭션을 1개라도 전송한 주소 수는 244개였으나, 2월 3일에는 27,000여개로 10,968% 증가했다. 같은 기간 일일 트랜잭션 수는 2,400개에서 119,000개로 4,858% 늘었다. 하지만 지난 20일 기준으로 일일 활성주소와 트랜잭션 수는 각각 2,400개, 22,700개로 감소했다. 월별로 살펴보면 이같은 변동폭은 더 극적인 수준인 것으로 나타나며, 이는 칸토의 네트워크 활동이 급격히 위축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NFT 플랫폼 아트블록 CTO "오픈씨, 블러와 달리 로열티 정책 유지 방침"]

NFT 플랫폼 아트블록(Art Blocks) 최고기술책임자(CTO) 제이콥 록랜드(Jacob Rockland)가 트위터를 통해 "최근 오픈씨와 블러(BLUR)가 로열티 정책을 일부 조정했는데, 아트블록은 현행 로열티 정책을 유지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로열티 제도는 창작자와 구매자 모두를 위한 든든한 기둥이다. 우리는 이런 관점에서 NFT 창작자에게 긍정적인 경험을 제공해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믿고 있다"고 강조했다.

[美 디지털 상공회의소 "SEC, 암호화폐 규제하려면 의회로부터 권한 받아야"]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미국 워싱턴 소재 디지털 상공회의소(Chamber of Digital Commerce)가 작년 SEC가 코인베이스 전 직원을 내부자거래 혐의로 기소한 것과 관련하여 "이는 집행에 의한 규제의 확장이다. 2차 시장 거래를 증권 거래로 규정하려는 것이기 때문에 기각되어야 한다"고 탄원서를 제출했다. 상공회의소는 탄원서에 '유통 시장 거래를 증권 거래로 볼 수 없다'고 판결한 LBRY vs. SEC의 최근 사례를 인용했다. 또한, 상공회의소 측은 "SEC의 디지털 자산 시장 침범은 의회의 승인을 받은 적이 없다. 규제 당국은 먼저 의회로부터 권한을 부여받아야 한다는 대법원 판례도 존재한다"며 집행에 의한 규제를 비판했다.

[콘플럭스, 알케미페이와 파트너십...현지 법정화폐로 암호화폐 구매가능]

콘플럭스(CFX)가 법정화폐-암호화폐 결제 솔루션 알케미페이(ACH)와 파트너십을 맺었다고 공식 블로그를 통해 밝혔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콘플럭스 사용자는 현지 법정화폐를 사용해 암호화폐를 구매할 수 있게된다.

[플라이빗, 차세대 엔진 '넥스트 플라이빗' 개발 완료]

코인거래소 플라이빗(FLYBIT)의 운영사 한국디지털거래소가 내부 전문 인력들이 직접 설계·개발한 차세대 거래 엔진 ‘넥스트 플라이빗’(Next FLYBIT)을 거래소 시스템에 적용했다고 23일 밝혔다. 넥스트 플라이빗은 대량의 주문을 지연 없이 처리하는 고성능 엔진이다. 엔진 성능을 대폭 향상함과 동시에 내 자산 조회와 시장가 주문 등 UI/UX 차원의 편의성도 함께 개선했다.

[스포티파이, NFT 보유자 대상 선별 음원 서비스 테스트]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4억 8900만 사용자를 보유한 음원 플랫폼 스포티파이(Spotify)가 NFT 보유자를 대상으로 사용자가 지갑을 연결하면 선별된 음악을 들을 수 있는 '토큰 지원 재생 목록(token-enabled playlists) 서비스를 테스트 중이다. 해당 서비스는 현재 미국, 영국, 독일, 호주, 뉴질랜드의 안드로이드 사용자 중 플루프, 문버드, 킹쉽, 오버로드 NFT 보유자만 이용이 가능하다. 큐레이션된 재생목록은 3개월의 테스트 기간 동안 지속 업데이트 되며, 커뮤니티 회원은 고유 링크를 통해서 액세스가 가능하다 .

[보바 네트워크 개발사 엔야랩스, 마케팅 및 커뮤니케이션 책임자 신규 영입]

체인와이어에 따르면 보바 네트워크(BOBA)의 개발을 맡고 있는 엔야랩스가 글로벌 마케팅 및 커뮤니케이션 책임자로 커티스 슐라우프만(Curtis Schlaufman)을 영입했다. 그는 캐나다 기반 크립토 자산 거래 서비스 상장사인 밸러(Valour.Inc)에서 마케팅 및 커뮤니케이션VP를 역임한 바 있다.

[전 CFTC 의장 "미 SEC '스테이킹 금지 유형' 명확히 제시해야"]

티모시 마사드(Timothy Massad) 전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 의장이 포캐스트와의 인터뷰에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어떤 유형의 스테이킹이 허용되고, 금지돼야 하는지 보다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SEC가 최근 글로벌 거래소 크라켄의 스테이킹 서비스에 제재를 가한 것은 일정 부분 납득할 수는 있다. 크라켄의 경우, 투자 권유 행위를 했고 이는 투자 계약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SEC의 제재 조치가 크라켄 스테이킹 서비스만의 문제인지, 스테이킹 서비스 자체의 문제인지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스테이블코인 시총 점유율, 11개월 연속 하락세]

크립토컴페어 스테이블코인&CBDC 보고서에 따르면 스테이블코인 시가총액 점유율은 현재 11.4%로, 1월 12.31%에서 감소했다. 2022년 4월 이후 가장 낮은 점유율이며, 11개월 연속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다. 뉴욕금융서비스국으로부터 발행 중단 명령을 받은 BUSD 시총은 계속 감소 중인 반면 USDT 시총은 $20억 증가했다. 보고서는 "2월 13일 BUSD/USDT 거래량이 676% 급증한 걸로 미루어 봤을 때 BUSD 상당 부분이 거래소에서 USDT로 교환됐음을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2월 USDT 스테이블코인 시장 점유율은 48.7%에서 51.7%로 증가해 2021년 10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상위 100개 이더리움 고래 지갑, 24시간 MATIC·BIT 매집]

상위 100개 이더리움 고래 지갑이 지난 24시간 동안 가장 많이 구매한 토큰은 다음과 같다. 스테이블코인은 제외.

1. MATIC $271,562

2. BIT $175,145

3. WETH $28,511

4. SYN $23,967

5. LINK $18,546

[인플루언서 "美 법원, '커스터디아 소송 기각' 연준 요청 거부"]

약 2만 명의 트위터 팔로워를 보유한 크립토 인플루언서 앤드류(Andrew)가 트위터를 통해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마스터 계정 부여와 관련한 크립토 뱅크 커스터디아(Custodia) 소송을 기각해달라고 요청했으나 법원이 이를 거부했다"고 밝혔다. 그는 "법원전자기록물(PACER) 홈페이지에서 이같은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이번 결정은 디지털자산 기업들이 보다 우호적인 환경에서 법적 조력을 받을 수 있는 하나의 선례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커스터디아 뱅크는 연준의 회원 은행 가입 반려 및 마스터 계정 신청 거부 등은 차별적 대우라며 법원에 이의를 제기한 바 있다.

[가상인간 NFT 프로젝트 헤일로, 3월 중 퍼블릭 토큰 판매 예정]

웹3 디지털 ID 솔루션 업체 라이프폼(Lifeform)의 가상인간 NFT 프로젝트 헤일로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오는 3월 중으로 자체 토큰 HALO에 대한 퍼블릭 세일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토큰은 HALO 홀더, HALO 아바타 홀더, 라이프폼 등 헤일로 및 라이프폼 생태계에 에어드랍 될 예정이다. 헤일로는 조만간 구체적인 에어드랍 계획을 발표할 계획이다.

[디오픈네트워크 커뮤니티, TON 10.8억개 보유 비활성 주소들 동결]

텔레그램에서 파생된 레이어1 블록체인 프로젝트 디오픈네트워크(TON) 네트워크가 개발한 온체인 거버넌스 플랫폼 톤보트(Ton.vote)에서 최근 48개월 동안 전송 이력이 없는 TON 소유 비활성 주소들을 4년간 동결하자는 거버넌스 제안이 통과됐다. 이에 따라 해당 주소가 보유하고 있는 TON 10.8억개도 함께 동결됐다. TON 유통량의 약 20% 수준이다. 해당 거버넌스 제안은 찬성률 91.75%로 통과됐다. 코인마켓캡 기준 TON은 현재 3.86% 오른 2.46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바이낸스, 2/24 SSV/USDT·VIB/USDT 거래페어 추가]

바이낸스가 2월 24일 17시(한국시간) SSV/USDT 및 VIB/USDT 거래페어를 추가한다고 공지했다.

[보이저디지털 채권단, FTX·알레메다와 청구권 포기 등 합의]

보이저디지털의 무담보 채권자 위원회(UCC)가 트위터를 통해 FTX 및 알라메다 리서치와 청구권 포기 등을 합의했다고 밝혔다. UCC는 "이번 합의에 따라 알라메다는 보이저에 대한 7500만 달러 상당의 청구권을 철회하거나, 이를 보이저 운영회사(OPCO)에 기부하는 2가지 방안 중 한 가지를 선택하기로 했다. 또 알라메다는 해당 청구권에 대한 분배 권한도 모두 포기하며, 보이저의 챕터 11 파산 계획에도 반대하지 않기로 합의했다"고 설명했다.

[언스토퍼블도메인, 웹3 도메인 얼라이언스 가입]

암호화폐 웹 도메인 제공업체 언스토퍼블도메인(Unstoppable Domains)이 공식 트위터를 통해 웹3 도메인 얼라이언스에 가입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언스토퍼블도메인은 '특허 침해 방지 협약'을 준수해야 한다. 해당 얼라이언스에는 블록체인닷컴과 레어러블(Rarible) 등 52개사가 회원으로 가입돼 있다.

[비콘체인 출시 후 밸리데이터 226명 퇴출...전체 0.04%]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이더리움 코어 개발자 슈퍼피즈(Superphiz)가 트위터를 통해 "2022년 12월 1일 비콘체인 출시 이후 이더리움 생태계에서 퇴출(Slashed)된 밸리데이터는 226명이며 이는 전체 밸리데이터 528,834명의 0.04%에 불과하다"고 전했다. 이더리움 생태계에서의 퇴출은 밸리데이터가 지분 증명 합의 규칙을 위반할 경우 네트워크에서 밸리데이터를 제거하는 것을 말한다. 듄애널리틱스에 따르면 현재 전체 이더리움 중 14.05% 가량이 스테이킹된 상태다.

[이더리움 ICO 참여 주소, 새 주소로 5055 ETH 전송]

룩온체인에 따르면 3년 동안 휴면 상태였던 한 이더리움(ETH) 주소가 약 2시간 전 830만 달러 상당의 5,055 ETH를 새 주소로 전송했다. 과거 이더리움 ICO에 참여했던 이 주소는 이더리움 제네시스에서 개당 0.31 달러에 10,100 ETH를 받은 바 있다.

[이더리움 재단, 작년 4분기 교육 활동 등에 437만 달러 지원]

우블록체인에 따르면 이더리움 재단이 지난해 4분기 네팔, 헝가리, 우크라이나 등에 437만 달러를 지원했다고 밝혔다. 지원금은 대부분 지역 사회에 기부하거나 교육 활동 등에 쓰였다.

gerrard@tokenpost.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