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옐런 美 재무장관 "암호화폐 관련 활동 금지 않했다"]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트코인닷컴에 따르면,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이 25일(현지시간) 인도 벵갈루루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 회의를 마친 후 로이터와의 인터뷰에서 "미국은 암호화폐 관련 활동을 완전히 금지하지 않았지만, 암호화폐에 대한 강력한 규제 프레임워크를 마련하는 것은 중요하다"고 말했다. 앞서 코인니스는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과 인도 재무장관 니르말라 시타라만(Nirmala Sitharaman)이 G20 재무장관 회의서 암호화폐 자산에 대한 건전성과 글로벌 규제에 관한 논의를 진행했다"고 전한 바 있다.
[PGI "연준 금리 인하, 2024년까지 기대 말라"]
자산운용사 프린시펄 글로벌 인베스터스(PGI)의 시마 샤 수석 글로벌 전략가는 26일(현지시간) CNBC 방송에 출연해 "올해도 인하는 절대 없을 것"이라며 2024년까지 연준의 금리 인하를 기대해선 안 된다고 말했다. 특히 강한 물가와 지연된 경기 침체 전망이 이어진 가운데 인플레를 부채질하는 강력한 노동 시장은 2024년까지는 금리 인하가 어려울 것이란 목소리에 힘을 싣고 있다. 샤 전략가는 현재 인플레이션 수치를 추적해 이를 1970년대 주기와 비교하면 매우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다며 금리를 너무 일찍 인하하면 인플레이션이 더 오를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편 골드만삭스는 2분기까지 금리가 5.38%에 달할 것으로 예상하면서 내년 첫 3개월에 5.13%로 첫 금리 인하가 단행될 것으로 보고 있다.
[플레이놈, '더문랩스'로 사명 변경]
최근 빗썸에 레저메타(LM)를 상장한 플레이놈이 사명을 '더문랩스'로 변경했다고 27일 밝혔다. LM코인은 레저메타버스 프로젝트의 기축통화로 더문랩스는 이번 사명 변경 이후 레저메타버스 프로젝트의 사업을 확장할 계획이다. 레저메타버스 프로젝트는 자체 개발한 메인넷인 레저메타버스 블록체인과 독자적으로 구축한 A2E(Act To Earn) 기반 보상 모델을 중심으로 한 다오(DAO)프로젝트다. 기존 사명인 플레이놈은 향후 더문랩스 산하의 사업 부문으로 존재한다.
["비트코인은 재물 아냐"…'사기·무고' 40대, 검찰 구형의 '절반' 판결]
코스닥 회사 인수에 실패한 피해자를 속여 12억원을 챙긴 암호화폐 전문가에게 1심에서 징역 3년 6개월이 선고되자 검찰이 "더 무거운 처벌이 필요하다"며 항소했다. 27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공판3부는 온라인 게임사 대표이자 암호화폐 전문가 A씨(43)에 대한 1심 판결에 대해 지난 17일 항소를 제기했다. A씨는 2018년 암호화폐 사업을 추진하던 B씨에게 코스닥 회사 우회 인수를 제안했다. 그러나 B씨는 인수에 실패해 큰 손실을 봤다. A씨는 잃은 투자금을 해결해주겠다고 속여 B씨에게서 12억원을 가로챈 혐의를 받는다. 또 암호화폐 약 14억1400만원어치를 가로챘다며 B씨를 허위 고소한 혐의도 있다. 검찰은 A씨의 죄가 무겁다며 7년을 구형했는데, 재판부는 3년 6개월을 선고했다. 투자자로부터 받은 비트코인을 빼돌려 개인 채무 변제에 사용한 횡령 혐의를 무죄라고 판단해서다. 대법원 판례에 따르면 암호화폐는 형법상 횡령 대상인 재물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이다.
[3대 선물 거래소 BTC 무기한 선물 롱숏 비율]
코인니스 마켓 모니터링에 따르면, 미결제 약정 규모 기준 세계 3대 암호화폐 마진 거래소 내 최근 24시간 BTC 무기한 선물 롱·숏 포지션 비율은 다음과 같다.
1. 바이낸스 (BTC-USDT, 시장 점유율 28.73%)
롱 50.46% | 숏 49.54%
2. 바이비트 (BTC-USDT, 시장 점유율 14.03%)
롱 51.01% | 숏 48.99%
3. 비트겟 (BTC-USDT, 시장 점유율 12.5%)
롱 49.77% | 숏 50.23%
[치아네트워크 CEO "리플, SEC 소송서 패소 전망"]
유투데이에 따르면, 치아네트워크(XCH) CEO 진 호프만(Gene Hoffman)이 27일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리플(XRP)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의 '미등록 증권 판매' 소송에서 패소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와 관련 그는 "리플은 SEC에 증권 등록을 하기 전 XRP를 외부에 판매하는 실수를 저질렀다. 판매 행위가 없었으면 증권으로 볼 수 있는 여지도 없다. 치아네트워크는 XCH를 소유하고 있지만 토큰을 판매한 적은 없다. XCH 관련 모든 거래는 '농부들이 농사를 지어 결실을 가져가는 것'과 같이 설계됐다. 치아는 리플의 실수를 반복하지 않도록 설계됐다"고 덧붙였다. 호프만은 앞서 "작업증명(PoW) 기반 코인들은 유가증권으로 볼 수 없지만, ETH, XRP, FTT, SOL, AVAX, ADA 등은 모두 유가증권에 해당한다"고 지적한 바 있다.
[뉴트리노 커뮤니티, 거버넌스 일시 중단 제안 부결]
웨이브(WAVES) 기반 스테이블코인 프로토콜 뉴트리노 프로토콜(구 USDN, 현 XTN) 커뮤니티가 명확한 로드맵이 제시될 때까지 거버넌스 시스템을 일시 비활성화하자는 거버넌스 제안을 부결시켰다. 제안에 대한 찬성률은 92%였지만 투표 수가 정족수에 도달하지 못해 부결됐다. 앞서 노트리노 측은 현재 시스템 상 투명성과 방향성이 부족하며, 특히 웨이브(WAVES) 기반 디파이 풀 바이어스(Vires Finance)에 락업된 XTN 토큰의 상황이 불분명해 커뮤니티 내 혼란이 커지고 있다며 거버넌스를 일시 중단하자고 제안했다.
[Aave V2 이더리움 풀 BUSD 준비금 동결 제안 통과]
Aave V2 이더리움 풀에서 BUSD 준비금을 동결하는 것과 관련된 제안이 100%의 찬성률로 통과됐다. 해당 제안은 미국 규제당국의 BUSD 제재로 인해 BUSD 유통량이 결국 제로(0)에 수렴할 것이라는 판단 하에 Aave 커뮤니티가 상정한 것이다. 앞서 팍소스는 미국 뉴욕금융감독국(NYDFS)의 지시로 BUSD 발행을 중단하기로 했다.
[솔라나 "네트워크 문제 원인 아직 조사 중"]
솔라나(SOL)가 공식 사이트를 통해, "25일(현지시간) 네트워크에 문제가 발생한 것과 관련해서 근본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며 현재 조사 중이다"라고 말했다. 솔라나측은 "솔라나 메인넷 베타가 심각한 성능 저하를 겪었으며, 결국 밸리데이터들은 네트워크 재시작을 선택하게 됐다. 성능 저하로 인해 검증자 노드는 자동으로 투표 전용 모드로 전환되었으며, 이는 데이터 사용 불가 시 네트워크가 복구될 수 있도록 설계된 '안전 모드'이다. 합의가 진행되는 동안 네트워크는 어떠한 사용자 트랜잭션도 처리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26일(현지시간) 기준 솔라나 메인넷 베타가 재시작되었으며, 네트워크는 사용자 트랜잭션 처리를 재개했다.
[상위 100개 이더리움 고래 지갑, 24시간 WETH·wstETH 매집]
상위 100개 이더리움 고래 지갑이 지난 24시간 동안 가장 많이 구매한 토큰은 다음과 같다. 스테이블코인은 제외.
1. WETH $800,752
2. wstETH $718,009
3. MATIC $33,262
4. stETH $16,116
5. WBTC $8,136
6. SHIB $2,813
[치아네트워크 CEO "리플, SEC 소송서 패소 전망"]
유투데이에 따르면, 치아네트워크(XCH) CEO 진 호프만(Gene Hoffman)이 27일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리플(XRP)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의 '미등록 증권 판매' 소송에서 패소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와 관련 그는 "리플은 SEC에 증권 등록을 하기 전 XRP를 외부에 판매하는 실수를 저질렀다. 판매 행위가 없었으면 증권으로 볼 수 있는 여지도 없다. 치아네트워크는 XCH를 소유하고 있지만 토큰을 판매한 적은 없다. XCH 관련 모든 거래는 '농부들이 농사를 지어 결실을 가져가는 것'과 같이 설계됐다. 치아는 리플의 실수를 반복하지 않도록 설계됐다"고 덧붙였다. 호프만은 앞서 "작업증명(PoW) 기반 코인들은 유가증권으로 볼 수 없지만, ETH, XRP, FTT, SOL, AVAX, ADA 등은 모두 유가증권에 해당한다"고 지적한 바 있다.
[뉴트리노 커뮤니티, 거버넌스 일시 중단 제안 부결]
웨이브(WAVES) 기반 스테이블코인 프로토콜 뉴트리노 프로토콜(구 USDN, 현 XTN) 커뮤니티가 명확한 로드맵이 제시될 때까지 거버넌스 시스템을 일시 비활성화하자는 거버넌스 제안을 부결시켰다. 제안에 대한 찬성률은 92%였지만 투표 수가 정족수에 도달하지 못해 부결됐다. 앞서 노트리노 측은 현재 시스템 상 투명성과 방향성이 부족하며, 특히 웨이브(WAVES) 기반 디파이 풀 바이어스(Vires Finance)에 락업된 XTN 토큰의 상황이 불분명해 커뮤니티 내 혼란이 커지고 있다며 거버넌스를 일시 중단하자고 제안했다.
[Aave V2 이더리움 풀 BUSD 준비금 동결 제안 통과]
Aave V2 이더리움 풀에서 BUSD 준비금을 동결하는 것과 관련된 제안이 100%의 찬성률로 통과됐다. 해당 제안은 미국 규제당국의 BUSD 제재로 인해 BUSD 유통량이 결국 제로(0)에 수렴할 것이라는 판단 하에 Aave 커뮤니티가 상정한 것이다. 앞서 팍소스는 미국 뉴욕금융감독국(NYDFS)의 지시로 BUSD 발행을 중단하기로 했다.
[솔라나 "네트워크 문제 원인 아직 조사 중"]
솔라나(SOL)가 공식 사이트를 통해, "25일(현지시간) 네트워크에 문제가 발생한 것과 관련해서 근본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며 현재 조사 중이다"라고 말했다. 솔라나측은 "솔라나 메인넷 베타가 심각한 성능 저하를 겪었으며, 결국 밸리데이터들은 네트워크 재시작을 선택하게 됐다. 성능 저하로 인해 검증자 노드는 자동으로 투표 전용 모드로 전환되었으며, 이는 데이터 사용 불가 시 네트워크가 복구될 수 있도록 설계된 '안전 모드'이다. 합의가 진행되는 동안 네트워크는 어떠한 사용자 트랜잭션도 처리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26일(현지시간) 기준 솔라나 메인넷 베타가 재시작되었으며, 네트워크는 사용자 트랜잭션 처리를 재개했다.
[상위 100개 이더리움 고래 지갑, 24시간 WETH·wstETH 매집]
상위 100개 이더리움 고래 지갑이 지난 24시간 동안 가장 많이 구매한 토큰은 다음과 같다. 스테이블코인은 제외.
1. WETH $800,752
2. wstETH $718,009
3. MATIC $33,262
4. stETH $16,116
5. WBTC $8,136
6. SHIB $2,813
[ETH 코어 개발자 "골리 테스트넷 언젠가 폐쇄"]
이더리움 개발자 팀 베이코가 트위터를 통해 "골리(Goerli) 테스트넷은 언젠가 폐쇄될 것이며 세폴리아를 비롯한 다른 테스트넷에서 더 많은 ETH이 발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디지털자산기본법 또 '패싱'...규제 공백에 투자자 피해 우려]
인을 비롯한 디지털자산(가상자산)의 기준 법령이 될 '디지털자산기본법'이 이번에도 정무위원회 문턱을 넘지 못했다. 국회는 27일 오전 10시, 법안심사 제1소위원회를 열었지만 가상자산 관련 종합 법안으로 불리는 디지털자산기본법과 관련해 논의하지 못했다. 이날 17개의 가상자산 관련 법안이 상정됐으나 자본시장법 개정안 등으로 인해 후순위로 밀리면서 논의에 실패한 것. 현재 국회에는 국민의힘에서 디지털자산특별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는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이 대표 발의한 '디지털 자산 시장의 공정성 회복과 안심거래 환경 조성을 위한 법률 제정안'과 국회 정무위원장을 맡고 있는 백혜련 더불어민주당의원이 대표 발의한 '가상자산 불공정거래 규제 등에 관한 법률안'이 계류 중이다. 정치권은 지난해 안에 디지털자산기본법을 마련하겠다는 의지를 밝혀왔으나 지난달에 이어 이번달 정무위 법안심사제1소위원회에서도 통과는커녕 논의에도 실패했다. 이에 따라 규제 공백은 더욱 길어질 것으로 보인다.
[美 블록체인 전문 변호사 "게리 겐슬러 SEC 위원장 말이 법은 아냐"]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미국 암호화폐 로비 그룹 블록체인협회(Blockchain Association)의 최고정책책임자이자 블록체인 전문 변호사 제이크 체르빈스키(Jake Chervinsky)가 "게리 겐슬러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장의 의견이 법은 아냐"라고 말했다. 앞서 겐슬러 SEC 위원장은 한 인터뷰에서 "비트코인을 제외한 거의 모든 암호화폐 거래는 SEC의 규제 관할에 속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이에 체르빈스키는 "SEC가 모든 토큰에 대한 관할권을 개별 소송을 통해 법정에서 입증할 때까지 어떤 토큰도 규제할 권한을 갖지 못한다"고 덧붙였다. 또 비트코인매거진 기고자이자 미국 변호사인 로건 볼린저(Logan Bolinger)는 "암호화폐의 증권 여부 판단은 게리 겐슬러가 아닌 법원이 내린다"고 강조했다.
[코인원, CELEB 투자 주의 안내]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원이 방금 전 공식 사이트를 통해 셀럽큐(CELEB) 투자에 주의해야 한다고 공지했다. 이와 관련 코인원은 "지난 2월 22일 셀럽큐 재단 관계자에 대한 수사가 진행 중이라는 기사가 보도돼 해당 가상자산의 시세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코인원 원화마켓 기준 CELEB은 현재 3.21% 내린 5.285 원에 거래되고 있다.
[XNO 개발사 나노랩스, 코인베이스에 상표권 침해 소송 제기]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암호화폐 나노(XNO) 개발사 나노랩스가 최근 미국 캘리포니아 북부 지방법원에 미국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가 상표권을 침해했다며 고소했다. 이와 관련 나노랩스 측은 "코인베이스는 지난해 6월 27일 '나노 비트코인 선물 계약'(Nano Bitcoin futures contract), 지난해 8월 29일 '나노 이더리움 선물 계약'(Nano Ether futures contract)을 출시했다. 그들이 출시한 파생상품의 이름은 자사의 디지털 화폐인 나노와 유사하거나 동일하다. 코인베이스와 나노랩스가 상대하는 소비자들은 모두 디지털 화폐 투자자 및 사용자들이다. 특히 나노는 지난 2018년부터 XNO 상장을 목적으로 코인베이스 측과 접촉했었기 때문에 그들은 '나노'라는 브랜드를 인지하고 있었다. 코인베이스의 상표권 침해로 나노랩스는 브랜드 정체성이 약화됐고, 경제적 손실이 발생했다"고 주장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XNO는 현재 1.19% 오른 0.9098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지난주 블러 거래량, 판매량, 월렛 수 사상 최대]
블록체인 분석업체 난센이 지난주 블러의 거래량, 판매량, 월렛 수 모두 사상 최대치에 달했다고 전했다. 지난주 블러 거래량은 39.4만 ETH($6.53억), 주간 판매량은 352,051건, 고유 월렛 수는 54,119개를 기록했다. 지난 7일간 블러 가스 소비량은 8,618 ETH를 나타냈다.
[레딧 '아바타' NFT 시총 1억 달러 돌파]
듄애널리틱스 데이터에 따르면, 미국 최대 온라인 커뮤니티 레딧(Reddit)이 폴리곤(MATIC) 네트워크에서 발행한 '아바타' NFT(Reddit Collectible Avatar)의 시가총액이 1억 달러를 돌파했다. 현재 레딧의 NFT 시총은 102,368,927 달러를 기록하고 있으며, 10,615,730개가 발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레딧은 지난해 7월 자체 NFT 아바타 마켓플레이스를 출시한 바 있다.
[이더리움 비콘체인 스테이킹 물량 1700만개 돌파]
OK링크에 따르면 이더리움 비콘체인 스테이킹 물량이 지난 2월 25일부로 1700만 ETH를 넘어섰다. 현재 1710만 ETH를 웃돌고 있다. 이더리움 공급량의 14.36%가 스테이킹된 상태다.
[스타게이트 커뮤니티, $150만 POL 유니스왑 LP풀→벨로드롬 이전 제안]
옵티미즘 DEX 벨로드롬(Velodrome)을 새로운 STG 허브로 만들자는 안건이 스타게이트 커뮤니티에 올라왔다. $150만 POL을 유니스왑 LP 풀에서 (APR이 더 높은) 벨로드롬으로 이전하는 제안이다. 벨로드롬 TVL은 $3억 수준이다. 현재 스타게이트는 이더리움, 아발란체, 폴리곤, 팬텀, BNB체인, 옵티미즘, 아비트럼 7개 체인에 걸쳐 프로토콜 유동성을 보유 중이다.
[아비트럼, 온체인 계정 수 300만 개 돌파...활성 유저 비율 78.1%]
듄애널리틱스 데이터에 따르면, 27일 기준 이더리움(ETH) 레이어2 네트워크 아비트럼의 온체인 사용자 계정 수가 300.4만 개를 기록했다. 그중 활성 계정 수는 234.7만 개를 기록, 활성 유저 비율은 약 78.1%를 나타냈다. 현재 아비트럼 체인 상에 배치된 스마트 컨트랙트 수는 1,580,279 개, 온체인 락업 암호화폐 규모는 44.24억 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분석 "BTC, 온체인 데이터 상 저점 나왔다...지금 횡보는 강세장에 유리"]
크립토퀀트 기고자 BinhDang이 "비트코인 온체인 데이터 중 6개월~12개월된 UTXO의 실현가격(평균 온체인 취득가)이 12개월~18개월된 UTXO의 실현가격과 교차할 때 BTC 가격의 저점이 나왔다. 따라서 이번 사이클서 저점은 이미 나왔을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이어 그는 "새로운 강세장을 시작하기에 앞서 200주 이동평균이라는 저항선을 돌파해야하는 비트코인은 충분한 휴식이 필요하다. 따라서 지금의 횡보는 이어질 강세장에 더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2015~2016년의 휴식기가 2019년 폭등장을 만들어냈듯 충분히 긴 횡보도 지속 가능한 성장을 구현해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BTC는 현재 1.65% 오른 23,542.45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닥터둠' 루비니 "인플레 6% 임박…주식·채권 수년간 고통"]
'닥터 둠' 누리엘 루비니 뉴욕대학교 교수는 인플레이션이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어 주식과 채권이 앞으로 몇 년 동안 고통을 견뎌야 한다고 경고했다. 그는 "인플레이션이 6%에 가깝게 유지돼 기존 자산에 큰 손실이 발생할 것"이라며 이같이 내다봤다. 루비니 교수는 "중앙은행이 인플레이션과 싸우기 위해 금리를 올리는 것과 부채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금리를 낮추는 것 사이에서 갈팡질팡할 것"이라며 "이로 인해 가격이 통제 불능 상태에 빠지고 큰 불황으로 경제가 타격을 입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이 시나리오에서 주식은 30%까지 폭락할 수 있다"며 "채권 및 주식과 같은 '전통적인' 투자에서 벗어나 단기 채권, 물가 연동 채권, 원자재, 금과 같은 귀금속을 포함한 인플레이션 헤지에 투자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gerrard@tokenpost.kr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